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支道林談 善標宗會 而章句 或有所遺 時爲守文者所陋하니 謝太傅 聞而善之하고
之相馬 略其玄黄하고 取其駿逸注+① 列子曰 “秦穆公謂伯樂曰 ‘子之年長矣. 有可使求馬乎?’ 伯樂對曰 ‘良馬, 可以形容筋骨相也. 天下之馬者, 若滅若没, 若亡若失. 臣之子皆下才也. 臣有所與九方皐, 其相馬, 非臣之比也.’ 穆公見之, 使行求馬. 三月而反, 報曰 ‘已得之, 在沙丘.’ 穆公曰 ‘何馬?’ 對曰 ‘牝而黄.’ 使人往取之, 牡而驪. 公不悅, 召伯樂曰 ‘敗矣, 子之所使求馬者. 牝牡弗能知, 又何馬之能知也?’ 伯樂曰 ‘若皐之所觀, 天機也. 得其精而忘其麤, 在其內而忘其外.’ 馬至, 果天下之良馬也.”이라하다


15-71 지도림支道林은 담론할 때 결론을 잘 도출했지만 장구章句는 더러 빠뜨렸으므로 당시 문구를 중시하는 사람들의 지탄을 받았다. 사태부謝太傅(사안謝安)가 그 말을 듣고 칭찬하여 말하였다.
“이는 바로 구방인九方歅(구방고九方皐)이 말을 살필 때 털빛이 검은지 누른지는 무시하고 그 말의 뛰어난 점을 취한 격이다.”注+① ≪열자列子≫ 〈설부說符〉에 말하였다. “에게 ‘그대는 나이가 들었다. 자손 중에 말을 구해오게 할 만한 자가 있는가?’라고 하니, 백락이 ‘〈일반적인〉 좋은 말은 외형과 근골筋骨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만, 천하의 명마名馬는 〈그런 특징이〉 전혀 없는 것 같기도 하고 숨겨진 것 같기도 하며 사라진 것 같기도 하고 잃어버린 것 같기도 합니다. 신의 자식은 모두 〈말을 알아볼〉 재주가 없습니다만, 신이 어울리는 구방고九方皋라는 자는 말을 알아보는 것이 신에 비할 바가 아닙니다.’라고 대답하였다. 목공이 그를 만나 보고나서 말을 구해오게 하였다. 〈구방고가〉 석 달 만에 돌아와 보고하기를, ‘말을 찾았습니다. 에 있습니다.’라고 하니 목공이 ‘어떤 말인가?’라고 묻자 ‘암말이고 황색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사람을 시켜 그 말을 구하게 하였는데 수말이고 흑색黑色이었다. 공이 기뻐하지 않고 백락을 불러 말하였다. ‘그대가 말을 구해오게 한 자는 참 형편없구나. 말의 색깔과 암수도 구별하지 못하는 자가 어찌 말을 제대로 알아볼 수 있겠는가.’ 백락이 말하기를, ‘구방고가 살피는 것은 천리마로서의 타고난 능력이니, 〈그것은〉 그 능력의 정수를 찾고 부실한 점은 잊는 것이고 말의 내면을 살피고 그 외면은 잊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말이 도착하였는데 과연 천하의 명마名馬였다.”


역주
역주1 【補】 : 저본에는 ‘補’가 없으나, 이 일화는 ≪世說新語≫가 아닌 ≪何氏語林≫에 있으므로 ‘補’를 보충하였다.
역주2 秦穆公 : 春秋시대 秦나라의 군주로 B.C. 660~B.C. 621년에 재위하였다.
역주3 伯樂 : B.C. 680~B.C. 610. 본명은 孙阳이고, 郜国(지금의 山东省 菏泽市 成武县) 사람이다. 秦穆公때 말을 잘 알아보는 능력으로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相马学에 관한 著作으로 ≪伯乐相马经≫이 유명하다.
역주4 沙丘 : 古地名으로, 지금의 河北省 廣宗县 북쪽에 있다.
역주5 九方歅 : 春秋시대에 말을 잘 알아보는 相马家로, 본명은 九方皐이고 九方歅, 九方堙은 별명이다.
역주6 子姓 : 子孫을 말한다. ≪世說音釋≫에 “姓은 子이다.”라고 하였다.
역주7 色物 : 色은 純色, 物은 雜色을 말한다. ≪世說音釋≫에서는 “物은 ‘毛物’이니, 모든 畜生은 털빛으로 구별한다.”라고 하여 조금 달리 보았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