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3)

세설신어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孔文舉年十歲 隨父到洛이라 時李元禮有盛名하고 爲司隸校尉러니 詣門者皆儁才清稱及親戚이라야 乃通이라 文舉 至門謂吏曰
我是李府君親이라하고
既通前坐 元禮問曰
君與僕有何親고하니
對曰
昔先君仲尼與君先人伯陽으로 有師資之親하니 是僕與君으로 奕世爲通好也니이다
元禮及賓客 莫不奇之 太中太夫陳韙後至한대 人以其語語之하니 韙曰
小時了了라도 大未必佳라하거늘
文舉曰
想君小時 必當了了라하니
韙太踧踖注+① 融别傳曰 “融四歲, 與兄食梨, 輒引小者. 人問其故, 答曰‘小兒法當取小者.’ 年十歲, 隨父詣京師, 河南尹李膺有重名. 融欲觀其爲人, 遂造之, 膺問‘父祖, 嘗與僕周旋乎?’ 融曰‘然. 先君孔子與君先人李老君, 同德比義, 而相師友, 則融與君, 累世通家也.’ 衆坐莫不歎息, 僉曰‘異童子也.’ 太中大夫陳韙後至, 同坐以告, 韙曰‘人小時了了者, 長大未必能奇.’ 融應聲曰‘即如所言, 君之幼時, 豈實慧乎?’ 膺大笑, 顧謂融曰‘長大必爲偉器.’”이라


22-5 공문거孔文舉(공융孔融)가 열 살 때 부친을 따라 낙양洛陽에 갔다. 당시 이원례李元禮(이응李膺)는 성대한 명성이 있었고 사례교위司隸校尉였기 때문에 그 집에 찾아온 사람은 모두 뛰어난 인재나 깨끗한 명성을 지닌 사람들이거나 내외 친척이라야 문을 통과할 수 있었다. 공문거가 문에 이르러 아전에게 말하였다.
“나는 이부군李府君의 친척이다.”
문을 통과하고서 〈이원례〉 앞에 앉았다. 이원례가 물었다.
“그대는 나와 어떤 친분이 있는가?”
공문거가 대답하였다.
“옛날에 나의 선조인 중니仲尼(공자)께서 에게 이 있으니, 저는 어르신과 수 세대에 걸친 친분이 있는 셈입니다.”
이원례와 빈객들이 모두 그를 기이하게 여겼다. 태중태부太中太夫 진위陳韙가 뒤늦게 도착하였는데 다른 사람이 그에게 〈공문거가〉 한 말을 이야기해주자, 진위가 말하였다.
“어렸을 때 똑똑하다고 커서 다 훌륭해지는 것은 아니지.”
공문거가 말하였다.
“당신은 어렸을 때 분명 똑똑하셨나 봅니다.”
진위가 몹시 어쩔줄 몰라 하였다.注+① 〈공융열전孔融別傳〉에 말하였다. “공융孔融이 네 살 때 형과 함께 배를 먹는데, 번번이 작은 배를 집었다. 사람들이 그 이유를 묻자 그가 대답하기를, ‘작은 아이는 응당 작은 것을 먹는 법입니다.’라고 하였다. 열 살 때 부친을 따라 수도에 갔는데, 하남윤河南尹 이응李膺이 명망이 두터웠다. 공융이 그의 인물됨을 관찰하고 싶어 마침내 그를 찾아갔다. 이응이 ‘그대의 부친이나 조부가 나와 교유한 적이 있는가?’라고 묻자 공융이 대답하였다. ‘그렇습니다. 나의 선조인 공자께서 당신의 선조인 이로군李老君가 비등하였으니, 공융과 당신은 수 세대에 걸쳐 통교通交한 집안입니다.’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감탄하지 않는 자가 없어 모두 말하기를, ‘신기한 동자이다.’라고 하였다. 태중대부太中大夫 진위陳韙가 뒤늦게 도착하였는데, 같은 좌석에 있던 이가 〈공융이 한 말을〉 알려주자, 진위가 ‘어렸을 때 똑똑한 사람이 장성하여서 반드시 기인奇人이 되는 건 아니지.’라고 말하였다. 공융이 〈그 말을 듣자마자〉 곧바로 소리쳐 말하기를, ‘말씀하신 대로라면 당신은 어렸을 때 아마도 참 총명하셨겠죠?’라고 하였다. 이응이 크게 웃고 공융을 돌아보며 말하였다. ‘장성하여서는 반드시 큰 그릇이 되겠구나.’”


역주
역주1 당신의 선조인 伯陽 : 백양은 老子의 字이다. 노자(李耳)는 성이 李氏이므로 李膺의 선조라고 한 것이다.(≪史記≫ 〈老子韓非列傳〉)
역주2 나의……친분 : 老子가 周나라 藏書室의 史로 있을 때 공자가 그를 찾아와 禮에 대해 물었다는 일화가 있다.(≪史記≫ 〈老子韓非列傳〉)
역주3 中表 : 조부와 부친의 여자형제의 자녀, 조모나 모친의 형제자매의 자녀에 해당하는 친척을 말한다.
역주4 高明 : 漢나라 사람들은 後輩를 부를 때 高明이라 하였다. 고명이란 人性이 ‘강직하고 솔직하다.[高亢明爽]’는 의미이다.(≪世說音釋≫)

세설신어보(3)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