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張參軍 少有思理注+① 南史曰 “張譏, 字直言, 淸河武城人. 祖僧寶, 梁太子洗馬, 父仲悅, 梁尙書祠部郞. 譏幼聰俊, 有思理. 十四通孝經․論語, 篤好玄言. , 官始安王記室參軍.” 爲國子助敎한대 周弘正 在國學하여 發周易題할새 弘正第四弟弘直 亦在講席이라 參軍 與弘正論義할새 弘正 理小屈하니 弘直 危坐厲聲하여 助其申理 參軍正色曰
今日義集 辯正名理 雖知兄弟急難이나 四公不得有助라하다
弘正 語人曰
吾每登坐 見張譏在席하면 使人懍然注+② 南史曰 “周弘正, 字思行. 父寶始, 梁司徒․祭酒. 弘正幼孤, 及弟弘讓․弘直, 爲伯父捨所養. 十歲通老子․周易. 官至國子祭酒. 弘直, 字思方, 幼聰敏, 仕梁爲湘東王記室參軍.”이라하다


9-25 【장참군張參軍(장기張譏)은 젊을 때부터 깊은 사고력이 있었다.注+① ≪남사南史≫ 〈장기열전張譏列傳〉에 말하였다. “장기는 직언直言으로, 청하淸河 무성武城 사람이다. 조부 장승보張僧寶는 〈남조南朝나라의 태자세마太子洗馬를, 부친 장중열張仲悅은 양나라의 상서사부랑尙書祠部郞을 역임하였다. 장기는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사변 능력이 있었다. 14세에 ≪효경孝經≫과 ≪논어論語≫에 통달하고, 현담玄談을 매우 좋아하였다. 〈그의〉 아들 장효칙張孝則기실참군記室參軍을 역임하였다.” 국자감國子監조교助敎로 있을 때, 당시 주홍정周弘正이 국자감에서 ≪주역≫의 논제를 강론했는데 주홍정의 넷째 아우 주홍직周弘直도 역시 강론의 자리에 참석하였다. 장참군이 주홍정과 의미를 토론할 때 주홍정의 논리가 조금 막히자, 주홍직이 꼿꼿이 앉아 목소리를 높여 〈막힌〉 논리를 펼칠 수 있도록 주홍정을 도와주었다. 장참군이 정색하면서 말하였다.
“오늘의 의집義集(경전의 의미를 연구하는 모임)은 명리名理(사물의 이름과 이치를 분석하는 이론)를 논변하여 바로잡는 자리이니, 비록 는 점을 알지만, 사공四公(주홍직)께서는 도움을 주면 안 됩니다.”
주홍정이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내가 매번 〈강론하기 위해〉 자리에 올랐을 때마다 장기가 자리에 있는 것을 보면 나의 간담을 서늘하게 합니다.”注+② ≪남사南史≫ 〈주랑열전周朗列傳〉에 말하였다. “주홍정周弘正사행思行이다. 부친 주보시周寶始는 〈남조南朝나라의 사도司徒좨주祭酒를 역임하였다. 주홍정은 어릴 때 부친을 여의어 그 아우 주홍양周弘讓주홍직周弘直과 함께 백부인 주사周捨에게 양육되었다. 10세에 ≪노자老子≫와 ≪주역周易≫에 통달하고, 관직이 국자좨주國子祭酒에 이르렀다. 주홍직은 사방思方으로, 어릴 때부터 총명하였고, 양나라에서 벼슬하여 상동왕湘東王(원제元帝 소역蕭繹)의 기실참군記室參軍이 되었다.”


역주
역주1 始安王 : 南朝시대 陳나라 後主의 넷째 아들 陳深으로, 후주의 寵姬인 張貴妃의 아들이며, 字는 承源이다. 至德 元年(583)에 시안왕에 봉해지고, 얼마 뒤에 軍師將軍과 揚州刺史가 되었다. 禎明 2년(588)에 황태자 陳胤이 폐위되자 후주가 황태자로 삼았다.(≪陳書≫ 〈後主十一子列傳〉)
역주2 형제끼리는……해결해준다 : 원문은 ‘急難’인데, ≪시경≫ 〈小雅 常棣〉에 “할미새가 언덕에 있으니, 형제가 어려움을 구원하네.[脊令在原 兄弟急難]” 하였다.
역주3 [子孝則] : 저본에는 ‘子孝則’이 없으나, ≪南史≫ 〈張譏列傳〉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