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3)

세설신어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楊德祖 爲魏武主簿時 作相國門한대 始搆榱桷 魏武自出看하고 使人題門作活字하고 便去 楊見即令壞之하고 既竟
門中活 闊字 王正嫌門大也注+① 文士傳曰 “魏武爲丞相, 修常白事, 知必有反覆教, 豫爲答對數紙, 以次牒之而行. 敕守者曰‘, 必教出相反覆, 按此次第連答之.’ 已而風吹, 紙次亂, 守者不別, 而遂錯誤. 公怒推問, 修慚懼. 然以所白甚有理, 終亦是修.”라하다


21-1 양덕조楊德祖(양수楊修)가 위무제魏武帝(조조曹操)의 주부主簿가 되었을 때 을 만들고 있었는데, 처음에 서까래를 얹었을 때 위무제가 친히 나와서 보고는 사람을 시켜 자를 쓰게 하고 갔다. 양덕조가 〈그것을〉 보고 즉시 그 문을 허물게 하고 다 허물자 말하였다.
가운데 ‘’자가 있는 것은 자이니, (조조)께서는 즉 문이 큰 것을 싫어하신 것이다.”注+에 말하였다. “위무제魏武帝가 승상이었을 때 양수楊修는 늘 일을 아뢸 때마다 반드시 반복되는 지시가 있음을 알고 미리 몇 장의 종이에 답변을 적어 차례대로 문건을 만들어놓고 행하였다. 〈이 일을〉 맡은 자에게 신칙하기를, ‘지난번에 상주한 일은 반드시 지시가 반복되어 나올 것이니, 너는 이것을 살펴 차례대로 연이어 대답하라.’라고 일렀다. 얼마 뒤에 바람이 불어 〈답변을 적은〉 종이의 차례가 뒤섞이자 맡은 자가 분별하지 못하여 마침내 착오가 생겼다. 공이 노하여 심문하니 양수가 부끄럽고 송구해하였다. 그러나 그가 아뢴 말이 매우 조리가 있어 결국 또 양수를 옳게 여겼다.”


역주
역주1 相國의 門 : 相國은 官名으로, 春秋戰國 때부터 楚나라를 제외한 각국은 모두 相이라는 관직을 설치하고 相國, 相邦, 丞相으로 불렀으며, 百官의 수장으로 삼았다. 秦나라와 漢나라 때 그 지위가 丞相과 같아졌으며 이후 宰相의 존칭이 되었다. 여기서 상국은 曹操의 丞相府를 가리킨다.
역주2 文士傳 : 晉나라의 張隱이 편찬한 史部 傳記類에 속하는 책으로, 원본은 5권이었으나 산실되었고 지금 魯迅이 집록한 輯本 등이 남아 있다.
역주3 向白事 : 지난번에 상주했던 일을 말한다.(≪世說箋本≫)
역주4 : 너[汝]이다.

세설신어보(3)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