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3)

세설신어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劉令言 始入洛注+① 劉氏譜曰 字令言, 彭城叢亭人. 祖瑾, 樂安長, 父, 魏洛陽令. 納歷司隷校尉.” 見諸名士而歎曰
王夷甫 太解明하고 樂彦輔 我所敬이요 張茂先 我所不解 周弘武 巧於用短注+② 王隱晉書曰 “周恢, 字弘武, 汝南人. 祖斐, 永寧少府, 父隆, 州從事. 恢仕至秦相, 秩中二千石.”하고 杜方叔 拙於用長注+③ 晉諸公贊曰 “杜育, 字方叔, 襄城鄧陵人, 杜襲孫也. 育幼便岐嶷, 號神童. 及長, 美風姿, 有才藻, 時人號曰杜聖. 累遷國子祭酒. 洛陽將沒, 爲賊所殺.”이라하다
【頭註】
王云 “或作太鮮明.”


17-15 유령언劉令言(유납劉納)이 처음 낙양洛陽에 들어왔을 때에注+① ≪유씨보劉氏譜≫에 말했다. “유납劉納영언令言으로 팽성彭城 총정叢亭 사람이다. 조부 유근劉瑾악안현장樂安縣長, 부친 유차劉䖕나라 때 낙양현령洛陽縣令이었다. 유납은 사예교위司隷校尉를 지냈다.” 여러 명사名士들을 보고 감탄했다.
왕이보王夷甫(왕연王衍)는 너무나 이해가 빠르고 총명하며, 악언보樂彦輔(악광樂廣)는 내가 존경하는 사람이고, 장무선張茂先(장화張華)은 내가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이고, 주홍무周弘武(주회周恢)는 단점을 활용하는 데 뛰어나고,注+왕은王隱의 ≪진서晉書≫에 말했다. “주회周恢홍무弘武으로 여남汝南 사람이다. 조부 주비周斐, 부친 주륭周隆였다. 주회는 벼슬이 진상秦相에 이르렀고 봉록은 이었다.” 두방숙杜方叔(두육杜育)은 장점을 활용하는 데 서툴다.”注+③ ≪진제공찬晉諸公贊≫에 말했다. “두육杜育방숙方叔으로 양성襄城 등릉鄧陵 사람이며 두습杜襲의 손자이다. 두육은 어려서부터 몹시 총명해 신동神童으로 불렸고, 장성해서는 풍모와 태도가 아름답고 재주와 글솜씨가 있어 당시 사람들이 ‘두성杜聖’으로 불렀다.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국자좨주國子祭酒에 이르렀다. 적에게 살해되었다.”
두주頭註
왕세무王世懋:〈‘태해명太解明’이〉 어떤 데에서는 ‘태선명太鮮明’으로 되어 있다.


역주
역주1 永寧少府 : 永寧은 삼국시대 위나라에 있었던 太后의 궁 이름이다. 漢나라 이후로 태후의 궁실에는 황제의 궁실처럼 衛尉․少府․太僕의 三卿을 두어 궁실의 사무를 관장하게 하였다.
역주2 從事 : 漢나라 이후로 三公 및 州郡의 長官은 모두 僚屬을 자신의 뜻대로 뽑았는데, 이를 ‘從事’라고 칭했다.
역주3 中二千石 : 漢代 관리의 爵秩이다. 二千石은 실제로는 1년에 1,440석을 받아서 2천 석에 차지 않았고, 中二千石이 2,160석을 받았다. 한나라 때 중앙 정부의 九卿이 모두 중이천석이었기 때문에 중이천석은 구경의 代稱으로 쓰였는데, 구경은 太常․光祿勳․衛尉․太僕․廷尉․大鴻臚․宗正․司農․少府이다.
역주4 洛陽이……때 : ‘永嘉의 亂’을 말하는 것으로, 西晉 懷帝 때인 永嘉 5년(311)에 匈奴族의 劉淵이 세운 漢나라가 永平城 전투에서 진의 주력부대를 섬멸하고 낙양을 공격하여 함락하고 회제를 포로로 잡은 일이 있었다.
역주5 : ≪晉書≫ 〈劉隗列傳〉, ≪通志≫ 〈劉隗列傳〉, ≪冊府元龜≫ 〈總錄部 品藻〉 등에는 ‘訥’로 되어 있다.
역주6 : ≪世說新語≫와 ≪李卓吾批點世說新語補≫(安永本) 주석에 인용된 ≪劉氏譜≫에는 ‘甝(함)’으로 되어 있다.

세설신어보(3)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