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世說新語序
易稱 書不盡言하고 言不盡意라하니 然則書者 言之餘響이요 而言者 意之景測也 是以 莫逆之旨 恒存乎相視하고 糟粕之喩 無與於心傳이니 由百世之下 讀其書하여 而欲想見其爲心 不亦遠乎 此立言者之所以難也
晉人 雅尙淸談하여 風流映於後世한대 而臨川王 生長晉末하여 沐浴浸溉하여 述爲此書하니 至今諷習之者 猶能令人舞蹈하여 若親覩其獻酬
儻在當時하여 聆樂衛之韶音하고 承殷劉之潤響하면 貫心入脾리니 尙書 爲之含笑하고 平子 由斯絶倒 不亦宜乎 盖晉人之談 所謂言之近意 而臨川此書 抑亦書之近言者也
余幼而酷嗜此書하고 中年彌甚하여 恒著巾箱하고 鉛槧數易하며 韋編欲絶이라 第其句或勾棘하고 語近方言하니 句深則難斷하고 語異則難通이라 積思累校하여 小獲疏明이나 終乎闕疑하여 以遵聖訓이라
至於孝標一注博引旁綜하여는 前無古人하니 裴松之三國志註 差得比肩이로대 而頗爲俗夫攙入叔世之談하니 恨不能盡別淄澠하여 時一標出하여 以洗卯金氏之冤이라
初雖閟之帳中이나 旣欲公之炙嗜한대 參知喬公 見之하고 亟相賞譽하여 卽授梓人이라 爰綴末章 敍所繇梓하니 是編也成 吾豈敢謂二氏之忠臣이리오 抑庶幾不爲風雅之罪人乎인저
萬曆庚辰秋 吳郡王世懋하노라


세설신어世說新語≫ 서문
주역周易≫에 라 하였으니, 그렇다면 글이란 말의 여운餘韻이요 말이란 뜻을 헤아리는 그림자이다. 이리하여 은 마음을 전하는 것과는 아무 상관이 없게 된다. 그렇다면 백 세대 이후에 그 사람의 책을 읽어 그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고자 하는 것은 너무 우활하지 않은가. 이것이 책을 저술하는 것[입언立言]이 어려운 이유이다.
나라 사람들이 평소 청담淸談을 숭상하여 풍류가 후세에 전해졌는데, 진대晉代 에 나고 자라 그러한 풍류에 젖어 이 책을 저술하였다. 그리하여 오늘날까지 그것을 외고 익히는 것이 여전히 사람들로 하여금 춤추게 하여 마치 술잔을 주고받는 그들의 모습을 직접 보는 것과 같게 한다.
만일 당시에 살아 의 낭랑한 소리를 듣고 의 부드러운 음성을 들었다면, 그들의 절묘한 담론이 심장을 관통하고 비장에 들어가게 되었을 것이니, 이 당연하지 않겠는가. 대개 나라 사람의 청담은 말이 뜻에 가까운 경우이고, 임천臨川(유의경劉義慶)의 이 책은 또한 글이 말에 가까운 경우라 이를 만하다.
내가 어려서부터 이 책에 매우 탐닉하였고 중년에는 더욱 심하여 항상 책상자 속에 넣어두고 〈필사하느라〉 분필과 서판書板을 자주 갈았으며 〈책을 묶은〉 가죽 끈이 거의 끊어지려 하였다. 다만 구절이 더러 난삽하고 언어가 방언方言에 가까우니, 구절이 심오하면 판단하기 어렵고 말이 다르면 알아듣기 어려운 법이라 깊이 생각하고 여러 번 교정하여 약간 소통되게 하였으나,
왕세무王世懋왕세무王世懋
널리 인용하고 사방으로 종합한 는 이전에 〈이 정도로 주석을 낸〉 고인古人이 없었으니 의 ≪삼국지三國志가 약간 이에 비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속부俗夫들이 말세의 담론을 그 속에 상당히 집어넣었는데, 그것을 다 분별하고 그때마다 일일이 드러내어 의 원한을 풀어줄 수 없었던 것이 한스럽다.
처음에는 이 책을 장막 속에 감춰두었으나 이윽고 공공公共의 즐길 거리로 삼고자 하였는데 이 보고는 매우 칭찬하고 즉시 에게 주어 간행하게 하였다. 이제 마지막 장을 끝내고 간행하게 된 까닭을 서술하니, 이 책을 완성함에 내 어찌 감히 충신忠臣이라 이를 수 있겠는가. 풍아風雅의 죄인이 되지 않기만 바랄 뿐이다.
만력萬曆 경진년庚辰年(1580) 가을에 오군吳郡가 찬술하다.


역주
역주1 글로는……못한다 : ≪周易≫ 〈繫辭傳 上〉에 나오는 孔子의 말이다.
역주2 막역한……있고 : ≪莊子≫ 〈大宗師〉에 子桑戶․孟子反․子琴張 세 사람이 늘 서로 만나고 벗하며 마음에 거스르는 것이 없는 막역한 친구가 되었다는 내용이 있다.
역주3 술지게미에……것 : ≪莊子≫ 〈天道〉에, 齊 桓公이 堂 위에서 책을 읽는 것을 輪扁이 보고는 그것은 이미 죽은 옛사람이 먹다가 남긴 술지게미일 뿐이라고 한 말을 가리킨다. 즉 여기서 술지게미에 불과하다고 비유한 것은 ‘책’을 말한다.
역주4 臨川王 : 劉義慶(403∼444)을 가리킨다. 彭城(지금의 江蘇 徐州市) 사람이다. 劉宋의 宗室로, 臨川王에 봉해졌다. 그는 이름난 문학가이자 정치가로 尙書省 左僕射(좌복야), 荊州刺史, 南兗州刺史 등을 지냈다. 성품이 담박하고 욕심이 없으며 文史를 애호하였기 때문에 士人과 문인들이 그의 주변에 많이 모여, 당시의 명사인 袁淑․陸展․何長瑜․鮑照 등이 막하에 있었다. 저술로 ≪徐州先賢傳≫․≪幽明錄≫․≪宣驗記≫ 등이 있었다고 하나 모두 산실되어 전하지 않고 ≪世說新語≫만이 전해지고 있다.
역주5 樂廣(악광) : ?~304. 字는 彥輔이고, 南陽(山東省) 사람이다. 西晉 때의 官員으로 관직이 상서령에 이르렀다. 당시에 談論의 名手로 명성이 높았고 樂令이라고도 불렸다. 성품이 담박하고 儉約하였으며 멀리 내다보는 안목이 있었고, 욕심이 없었으며 남과 경쟁하려는 마음이 없었다.(≪晉書≫ 〈樂廣傳〉)
역주6 衛玠 : 286~312. 字는 叔寶이고, 어릴 때 이름은 虎이다. 河東 安邑(山西省) 사람이다. 太子洗馬였을 때 西晉 말의 난리를 피해 江南으로 내려갔다가 27세 때 죽었다. 용모가 준수하고 풍채가 좋았으며 담론에 뛰어나 당시에 추앙을 받았다.(≪晉書≫ 〈衛玠傳〉)
역주7 殷浩 : 303(?)~356. 東晉의 관원이자 軍人으로, 字는 深源이고, 陳郡 長平 사람이다. 젊어서부터 식견과 도량으로 명성이 높았고, 숙부 殷融과 함께 ≪老子≫․≪易經≫에 심취하였으며 담론에 뛰어났다. 建武將軍, 揚州刺史를 지냈으며, 북벌전쟁을 수행하다가 실패하여 庶人으로 폐해졌다가 病死하였다.(≪晉書≫ 〈殷浩傳〉)
역주8 劉惔 : ?~?. 字는 眞長이고 어릴 때 이름은 道生이다. 沛國 相縣 사람으로, 劉耽의 아들이다. 東晉 때의 淸談家로 이름 높으며 丹楊尹을 지냈다. 그 누이는 謝安의 夫人이다. ≪老子≫와 ≪莊子≫에 심취하였고 자연에 순응하였다. 36세 때 단양윤으로 재임 중 임지에서 죽었다.
역주9 尙書(何晏)가……짓고 : ≪世說新語補≫ 〈言語〉에 나오는 일화를 가리킨다. 尙書인 何晏이 ≪周易≫에 능통한 管輅의 담론을 듣고 미소 지으며, 요체를 아는 말은 번거롭지 않다고 칭찬하는 말을 하였다.
역주10 平子(王澄)가……것 : ≪世說新語補≫ 〈賞譽〉에 나오는 일화를 가리킨다. 王澄 자신도 뛰어난 인재였으나 그는 젊어서부터 衛玠의 담론을 들을 때마다 극도로 찬탄하였다고 한다.
역주11 마지막에……따랐다 : ≪論語≫ 〈爲政〉에 祿을 구하는 방법을 묻는 子張에게 孔子가 “많이 듣고 의심나는 것은 비워두며 그 나머지를 신중하게 말하면 잘못이 적다.”라고 답한 구절이 있다. 여기서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라 의심나는 것은 비워두어 오류를 적게 하였다는 말이다.
역주12 劉孝標 : 462∼521. 孝標는 자이고 이름이 峻이다. 법명은 法武이다. 平原(지금의 山東省 平原縣) 사람이다. 南朝의 文學家로, 劉義慶이 편찬한 ≪世說新語≫의 주석을 낸 것으로 이름이 났으며 그의 문장 역시 당시에 칭송을 받았다. 그는 난리 중에 태어나 어려서 식구들과 헤어져 부자인 劉實의 집에 팔려갔는데 학문을 좋아하고 항상 밤낮으로 책을 읽어 清河 崔慰祖는 그를 “書淫”이라 불렀다 한다. 泰始 5년(469)에 北魏가 青州를 점령하자, 平城(지금의 山西省 大同市)에서 出家하였다가 얼마 뒤 還俗하였다. ≪梁書≫와 ≪南史≫에 모두 傳이 있다.(≪南史≫ 〈劉懷珍傳附劉峻傳〉)
역주13 裴松之 : 372∼451. 東晉 말∼南朝 宋 초의 정치가로, 字는 世期이며 河東郡 聞喜縣 사람이다. 元嘉 6년(429)에 宋 文帝의 명으로 陳壽의 ≪三國志≫에 주석을 달았는데, 여러 기록을 수집하고 많은 이설을 모아 완성하였으므로, 황제가 보고 “裴世期의 이름은 오래도록 남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한다. ≪晉記≫를 저술하였으나, 이후 소실되었다.(≪宋書≫ 〈裴松之傳〉)
역주14 卯金氏 : 卯金은 ‘劉’라는 글자의 破字이다. ≪後漢書≫ 〈光武帝紀 上〉에 “卯金이 덕을 닦아 천자가 된다.[卯金修德爲天子]”라는 讖記가 돌았다는 구절에 대해 唐나라의 李賢이 “卯金은 劉字이다.”라고 주를 달았다. 여기서는 ≪세설신어≫에 주를 단 劉峻(劉孝標)을 가리킨다.
역주15 參知 喬公 : 喬懋敬(?∼?)을 가리킨다. 교무경은 字가 允德이고, 直隸 松江府 上海縣 사람이다. 軍籍에 속하며, 明 嘉靖 44년(1565) 進士 출신이다.(王能憲, ≪世說新語硏究≫ 74쪽) 이와는 달리 ≪世說音釋≫에서는 교공은 喬正寧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교정녕은 자가 景叔이고 耀州 사람이다. 가정 무술년(1538)에 進士가 되었고 河南에서 벼슬하여 四川按察使에 발탁되었다. ≪丘隅集≫이 있다.
역주16 梓人 : ‘梓’는 木板에 글자를 새기는 것을 말하므로, 梓人은 판각하는 사람이다.(≪世說音釋≫)
역주17 두 분 : ≪세설신어≫의 저자인 劉義慶과 ≪세설신어≫에 주를 단 劉峻(劉孝標)을 가리킨다.
역주18 王世懋 : 1536∼1588. 字가 敬美이고 號가 麟州․損齋․牆東生이다. 直隸 太倉(지금의 江蘇省) 사람이다. 南京刑部尙書이자 史學家인 王世貞의 아우이며 嘉靖 38년 進仕 출신이다. 南京禮部主事, 陝西福建提學副使를 지내고 南京太常少卿에 올랐다. 저술로 ≪王儀部集≫․≪二酋委譚摘錄≫․≪名山游記≫․≪奉常集詞≫․≪窥天外乘≫․≪藝圃擷餘≫ 등이 있다. ≪明史≫ 〈王世貞傳〉에 그의 傳이 붙어 있다.
역주19 引(宮)[商]刻羽 : 저본에는 ‘引宮刻羽’로 되어 있는데, ≪文選≫ 권45 〈對楚王問〉에 의거하여 ‘宮’을 ‘商’으로 바로잡았다. 楚(戰國)나라 宋玉이 楚王의 질문에 답하기를 “引商과 刻羽에 流徵(유치)를 섞어 연주하니, 나라 사람 중에 따라 화답하는 자가 몇 명에 불과하였습니다.”라고 한 말에서 원용한 말이다. 古樂律의 音階에는 宮․商․角․徵(치)․羽와 變徵․變宮이 있는데, 商聲은 五音 중에 가장 높아 ‘引’이라 칭하고, 羽聲은 비교적 가늘어 ‘刻’이라 칭한다. 따라서 “引商刻羽”는 원래 曲調가 가장 높고 聲律을 요구하는 연주를 뜻하나, 여기서는 담론에 조리가 있고 次序가 있음을 빗대어 표현한 것으로 보고 ‘절묘한 담론’으로 번역하였다.(≪世說音釋≫)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