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傅茂遠 泊然靜處하고 不妄交遊注+① 南史曰 “傅昭, 字茂遠, 北地靈州人, 晉司隷校尉咸七世孫. 蒞官常以清靜, 居朝廷無所請謁. 普通五年爲散騎常侍.”하니 袁司徒注+② 宋書曰 “袁粲, 字景倩, 陳郡陽夏人, 太尉淑兄子也. 父濯早卒, 祖母哀其幼孤, 名之曰‘愍孫’. 好學有才, 淸整持風操. 著妙德先生傳以自况, 嘗慕荀奉倩, 改名爲粲, 字景倩. 齊王功德旣重, 天命有歸, 粲以身受顧託, 不欲事二姓, 由是遇害.” 每經其戶 輒歎曰
經其戶 寂若無人이나 披其帷 其人斯在하니 豈得非名賢이리오하다


2-15【부무원傅茂遠(부소傅昭)은 담박하게 고요히 거처하고 함부로 교유하지 않았다.注+① ≪남사南史≫ 〈부소전傅昭傳〉에 말하였다. “부소傅昭무원茂遠이고 북지北地 영주靈州 사람이며 나라의 사예교위司隷校尉 부함傅咸의 7대손이다. 관직에 있을 때 항상 청렴하고 담박하였으며 조정에 있을 때 청탁하는 법이 없었다. 보통普通 5년(524)에 산기상시散騎常侍가 되었다.” 원사도袁司徒(원찬袁粲)가注+② ≪송서宋書≫ 〈원찬전袁粲傳〉에 말하였다. “원찬袁粲경천景倩이고 진군陳郡 양하陽夏 사람이며, 태위太尉 원숙袁淑의 형의 아들이다. 부친 원탁袁濯이 일찍 죽자 조모가 어려서 고아가 된 그의 처지를 불쌍히 여겨 ‘민손愍孫’이라 이름하였다. 학문을 좋아하고 재능이 있었으며 청정淸整하고 풍조風操를 지녔다. 〈묘덕선생전妙德先生傳〉을 저술하여 자신을 빗대었으며 일찍이 을 사모하여 이름을 이라 바꾸고 이라 하였다. 제왕齊王(소도성蕭道成)의 공덕이 이미 막중하여 천명天命이 그에게 돌아갔는데, 원찬은 자신이 천자의 유조遺詔를 받았다는 이유로 두 성씨姓氏를 섬기려 하지 않아 이로 인해 죽임을 당하였다.” 그의 집 문을 지날 때마다 탄식하며 말하였다.


역주
역주1 荀奉倩 : 三國시대 魏나라 사람으로 이름이 ‘粲’이고 字가 ‘奉倩’이다. 清談을 잘하였으며 보통 사람과 교유하지 않았다. 29세에 죽었다. ≪世說新語≫ 〈惑溺〉에 일화가 보인다.
역주2 景倩 : 이때의 ‘景’은 사모한다는 뜻이고, ‘倩’은 荀奉倩을 가리킨다.(≪世說音釋≫)
역주3 그의……있으니 : 그의 사람됨이 담박하고 고요하여 외형적으로는 도덕이 없는 것처럼 보이나 그의 마음속에 도덕이 있음을 빗대어 말한 것이다.(≪世說講義≫)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