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殷荊州 有所識 作賦하니 束晳慢戱之流注+① 文士傳曰 “晳, 字廣微, 陽平元城人, 漢太子太傅踈廣後也. 王莽末, 廣曾孫孟達, 自東海避難元城, 改姓, 去踈之足, 以爲束氏. 晳博學多識, 問無不對. 康中, 有人自嵩高山下, 得竹簡一枚, 上兩行科斗書. 司空張華以問晳, 晳曰:‘此明帝顯節陵中策文也.’ 檢校果然. 曾爲〈䴵賦〉諸文, 文甚俳謔. 三十九歲卒, 元城爲之廢市.” 甚以爲有才하여 語王恭하되
適見新文한대 甚可觀이라하고
便於手巾函中 出之 王讀할새 笑之不自勝이나 王看竟 旣不笑하고 亦不言好惡하며 但以如意帖之而已하니 悵然自失이라
【頭註】
劉云 “甚得體慢戱, 何足復贊?”
王云 “如見其情狀.”


13-19 은형주殷荊州의 어떤 지인이 를 지었는데, 이는 속석束晳처럼 장난스럽게 대충 지은 작품과 같은 부류였다.注+장즐張騭의 ≪문사전文士傳≫에 말하였다. “속석束晳광미廣微로, 양평陽平 원성元城 사람이며, 나라 태자태부太子太傅 소광踈廣의 후손이다. 왕망王莽 〈정권〉 말엽에 소광의 증손 소맹달踈孟達동해東海로부터 원성元城으로 피난하여 을 바꾸었는데, ‘’자에서 ‘’자를 제거하여 으로 을 삼았다. 속석은 박학다식하여 질문마다 대답하지 못하는 것이 없었다. 〈 무제武帝태강太康 연간(280~289)에 어떤 사람이 숭고산嵩高山 아래에서 한 쪽을 주웠는데, 그 위에 가 두 줄로 쓰여 있었다. 사공司空 가 이것을 가지고 속석에게 물었더니, 속석이 ‘이것은 명제明帝(유장劉莊)의 현절릉顯節陵 안에 있던 입니다.’ 하였다. 조사하여 살펴보니 과연 그의 말과 같았다. 〈속석은〉 일찍이 〈병부䴵賦〉 등 여러 문장을 지었는데, 문장이 매우 해학적이다. 39세에 세상을 떠나자, 원성에서 그를 위해 시장의 상행위를 정지하였다.” 은형주는 〈그에게〉 재주가 있다고 확신하여 왕공王恭에게 말하였다.
“마침 새로운 문장을 보았는데 매우 볼 만합니다.”
〈은형주가〉 즉시 수건함手巾函에서 〈그 문장을〉 꺼내 보여주었다. 왕공이 읽는 동안 은형주는 주체하지 못할 정도로 웃었는데, 왕공은 끝까지 보고 난 뒤에 웃지도 않고 역시 가타부타 말하지 않고는 다만 로 눌러 놓았을 뿐이었으니, 은형주가 머쓱해하면서 실망했다.
두주頭註
유신옹劉辰翁:장난스럽게 대충 지은 작품에 딱 맞으니, 어찌 다시 말할 만하겠는가.
왕세무王世懋:그 상황을 〈직접〉 보는 것 같다.


역주
역주1 殷仲堪 : ?~399. 陳郡 長平 사람으로, 관직이 晉나라 荆州刺史에 이르렀다. 王恭이 조정의 신하를 토벌하는 데에 호응했고, 왕공이 죽은 뒤에 桓玄․楊佺期에 대항하다가 환현에게 습격당해 자살하였다.
역주2 竹簡 : 魏晉시대 晉나라 太康 2년(281)에 汲郡 사람인 不準이 魏나라 襄王의 묘소를 도굴하면서 얻은, 수레 수십 대 분량의 竹書를 이른다. ≪紀年≫․≪易經≫․≪易繇陰陽卦≫․≪卦下易經≫․≪公孫段≫․≪國語≫․≪名≫․≪師春≫․≪瑣語≫․≪梁丘藏≫․≪繳書≫․≪生封≫․≪大曆≫․≪穆天子傳≫․≪圖詩≫ 및 雜書인 ≪周食田法≫․≪周書≫․≪論楚事≫․≪周穆王美人盛姬死事≫ 등 모두 75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先秦의 蝌蚪文字로 되어 있다. 晉 武帝가 荀勗에게 편찬하도록 하여 荀勗․衛恒․束晳․和嶠 등이 정리하여 ≪中經≫이라 하였는데, 원래의 죽간은 전해지지 않는다. ≪진서≫ 〈武帝紀〉에는 “咸寧 5년(279)에 小篆으로 된 古書 10여만 자를 얻었다.” 하였다.(≪晉書≫ 〈武帝紀〉․〈荀勗列傳〉․〈束晳列傳〉)
역주3 科斗文字 : 篆字 이전에 사용된 고대의 글자로, 모양이 올챙이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蝌蚪라고도 쓴다.
역주4 張華 : 232~300. 范陽 方城 사람으로, 字는 茂先이다. 西晉시대 정치가․문학가․장서가로, 惠帝 때 光祿大夫를 지냈으며 박학다식하기로 유명하였고, 저서로 ≪博物志≫가 있다.
역주5 策文 : 고대에 황제의 묘소에서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던 哀策文이다.
역주6 如意 : 효자손처럼 생긴 佛具의 하나로, 뼈․대나무․뿔․쇠 따위로 만든다.
역주7 (元)[太] : 저본에는 ‘元’으로 되어 있으나, ≪晉書≫ 〈武帝紀〉에 의거하여 ‘太’로 바로잡았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