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謝公時 逋亡하여 多近竄南塘下諸舫中하니 或欲求一時摉索이어늘 謝公 不許하고
若不容置此輩 何以爲京都注+① 續晉陽秋曰 “自中原喪亂, 民離本域, 江左造創, 豪族并兼, 或客寓流離, 名籍不立. 太元中, 外禦强氐, 蒐簡民實, 三吳頗加澄檢, 正其里伍, 其中時有山湖遁逸往來都邑者. 後將軍安方接客時, 人有於坐言 ‘宜糾舎藏之失者.’ 安每以厚德化物, 去其煩細, 又以强寇入境, 不宜加動人情, 乃答之云 ‘卿所憂在於客耳. 然不爾, 何以爲京都?’ 言者有慚色.”아하다
【頭註】
劉云 “此語有可, 有不可. 遊手尙可容, 軍政不可忽也.”
湖一作胡.


6-21 사공謝公(사안謝安) 때 군졸 중에 도망한 자들이 대부분 가까이 남당南塘에 있는 선박들 안에 숨었다. 어떤 이가 일시에 수색하기를 원하자 사공이 허락하지 않고 말하였다.
“만약 이 무리를 용납하지 않는다면 注+① ≪속진양추續晉陽秋≫에 말하였다. “중원中原(낙양洛陽) 땅이 전란에 휩싸이고부터 백성이 본래 살던 곳을 떠나 강좌江左(건강建康)에서 새 출발을 하였는데, 호족이 이들을 겸병하여 어떤 이는 으로 부쳐 살고 어떤 이는 떠돌아다녀 명적名籍이 제대로 수립되지 않았다. 태원太元(376∼396) 연간에 밖으로 강성한 저족氐族을 막고 민호民戶의 실제 수를 찾아내고자 삼오三吳 지역을 매우 철저히 조사하고 를 바로잡았다. 그 와중에 당시 산과 호수로 달아나 숨어 있으면서 도읍에 왕래하는 자들이 있었다. 후장군後將軍 사안謝安이 한창 빈객을 접대하고 있을 때 좌중에 있던 어떤 사람이 ‘〈도망자를〉 숨겨준 죄를 범한 자들을 적발해야 합니다.’ 하였다. 사안은 늘 후한 덕으로 백성을 교화시키고 번잡한 법을 없애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또 강한 적이 국경 안에 침입하였으므로 백성의 마음을 동요시켜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여, 마침내 답하기를 ‘경이 우려하는 것은 에 있을 뿐입니다. 그러나 이렇지 않으면 어떻게 큰 도읍[경도京都]이 되겠습니까.” 하니, 말한 자가 부끄러운 기색이 있었다.
두주頭註
유진옹劉辰翁:이 말은 맞기도 하고 맞지 않기도 하다. 직무를 소홀히 하는 것은 그래도 용납할 수 있으나, 군정軍政은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 〈유효표劉孝標 에서 ‘산호山湖’의〉 ‘’가 어떤 본에는 ‘’로 되어 있다.


역주
역주1 어찌……되겠습니까 : 京都의 京은 ‘大’와 뜻이 같으므로 이들 도망자를 포용하는 것이 경도가 말 그대로 큰 도읍이 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世說講義≫, ≪世說音釋≫)
역주2 里伍 : 옛날에는 같은 鄕里의 사람들을 조직하여 서로 보호하게 하였는데, 1만 2,500家를 1鄕, 25家를 1里, 10人을 1什, 5인을 1伍로 편제하여 한 번 북을 치면 兵器를 정돈하고, 두 번 북을 치면 陣 치는 방법을 익히고, 세 번 북을 치면 밥 먹으러 달려가고, 네 번 북을 치면 行裝을 엄격히 챙기고, 다섯 번 북을 치면 行列로 나아가게 하였다. 여기서는 里와 伍로 대표되는 민간 군사 편제를 가리킨다.(≪吳子直解≫ 〈治兵〉)
역주3 : 산과 호수로 달아나 숨어 있으면서 도읍에 왕래하는 자들을 가리킨다. 이들은 京都에 드나드는 客에 불과하다는 의미이다.(≪世說箋本≫)
역주4 兵厮 : 저본에는 ‘兵厮’로 되어 있는데, ‘厮(시)’는 옛날에 장각을 패거나 말을 키우는 등의 일을 하는 奴僕을 지칭하는 말이다.(≪世說音釋≫, ≪史記≫ 〈張耳陳餘傳〉) 여기서는 ‘兵’과 결합하여 ‘〈軍役을 지는〉 군졸’이라는 의미로 번역하였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