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鄭康成注+① 范曄後漢書曰 “鄭玄, 字康成, 北海高密人. 八世祖崇, 哀帝時尚書僕射. 玄遇黨錮, 隱居著述, 凡百餘萬言. 大將軍何進辟玄, 乃縫掖相見. 玄長八尺餘, 鬚眉美秀, 姿容甚偉. 進待以賓禮, 授以几杖. 玄多所匡正, 不用而退. 袁紹辟玄, 及去, 餞之城東, 欲玄必醉, 會者三百餘人, 皆離席奉觴. 自旦至暮, 度玄飮三百餘桮, 而溫克之容, 終日無怠. 獻帝在許都, 徵爲大司農, 行至元城卒.” 在袁冀州坐注+② 袁山松後漢書曰 “袁紹, 字本初, 汝南汝陽人. 司空逢之庶子, 出後伯父成.” 英雄記曰 “紹不妄通賓客, 非海內知名, 不得相見. 又好游俠, 與張孟卓․何伯求․吳子卿․許子遠․伍德瑜爲奔走之友.러니 汝南應劭 亦歸於袁注+③ 東觀漢記曰 “應劭, 字仲遠, 汝南南頓人. 父奉, 司隸校尉. 劭少便篤學, 博覽多聞.”이라 因起自贊하여
故泰山太守應仲遠 北面稱弟子하니 何如잇고하니
笑曰
仲尼之門 考以四科하고 回賜之徒 不稱官閥이라하니
應有慚色하다


3-3 정강성鄭康成(정현鄭玄)이注+범엽范曄의 ≪후한서後漢書≫에 말하였다. “정현鄭玄강성康成이고 북해北海 고밀高密 사람이다. 8대조인 정숭鄭崇애제哀帝 때에 상서복야尙書僕射를 지냈다. 정현은 를 만나 은거하며 저술을 하였으니 모두 백여만 자이다. 대장군大將軍 하진何進이 정현을 초청하자 이에 을 입고 만나보았다. 정현은 신장이 8척 남짓으로 수염과 눈썹이 아름답고 수려했으며 자태와 용모가 매우 훌륭하였다. 하진은 빈례賓禮로 대접하고 궤장几杖을 주었다. 정현이 〈하진의 잘못을〉 바로잡는 말을 많이 하였는데, 〈하진이 그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자 물러났다. 원소袁紹가 정현을 초청하여 떠나게 되자 〈사람들이〉 의 동쪽에서 전별하였는데, 정현을 반드시 취하게 하려고 모임에 왔던 사람들 3백여 명이 모두 자리에서 일어나 술잔을 올렸다. 아침부터 해질 무렵까지 정현은 3백여 잔을 마셨는데도, 온화하고 공경한 태도가 종일토록 흐트러지지 않았다. 헌제獻帝허도許都에 있으면서 불러 대사농大司農으로 삼았는데, 가다가 원성元城에 이르러 하였다.” 원기주袁冀州(원소袁紹)가 마련한 자리에 있었는데,注+원산송袁山松의 ≪후한서後漢書≫에 말하였다. “원소袁紹본초本初이고 여남汝南 여양汝陽 사람이다. 사공司空을 지낸 원봉袁逢서자庶子인데, 백부伯父원성袁成의 양자로 가서 뒤를 이었다.”
에 말하였다. “원소는 함부로 빈객과 교제하지 않아서 천하의 이름난 자가 아니면 만날 수가 없었다. 또 유협游俠을 좋아하여 장맹탁張孟卓(장막張邈), 하백구何伯求(하옹何顒), 오자경吳子卿(오거吳巨), 허자원許子遠(허유許攸), 오덕유伍德瑜(오경伍瓊)와는 힘을 다해 서로를 도와주는 막역한 벗이었다.”
당시 여남汝南응소應劭도 원기주에게 와서 의탁하고 있어서注+에 말하였다. “응소應劭중원仲遠이고 여남汝南 남돈南頓 사람이다. 부친 응봉應奉사례교위司隸校尉를 지냈다. 응소는 어려서부터 독실하게 배워 널리 보고 많이 들었다.” 일어나 자신을 소개하였다.
태산태수泰山太守 응중원應仲遠(응소)이 북면北面하여 제자弟子라고 칭하겠습니다. 어떠하신지요?”
정강성이 웃으며 말하였다.
중니仲尼(공자孔子)의 문하門下에서는 〈제자들을〉 로 분류하였고, 안회顔回단목사端木賜(자공子貢)의 무리는 관직이나 가문을 칭하지 않았습니다.”
안회顔回안회顔回
그러자 응소가 부끄러워하는 낯빛을 띠었다.
자공子貢자공子貢


역주
역주1 【補】 : 저본에는 ‘補’가 없으나, 이 일화는 ≪世說新語≫가 아닌 ≪何氏語林≫에 있으므로 ‘補’를 보충하였다.
역주2 黨錮의 禍 : 東漢의 桓帝(132~168)와 靈帝(156~189) 때 사대부와 귀족 등이 환관들이 정치를 어지럽히는 데에 불만을 품고 환관들을 제거하려다가 도리어 환관들에 의해 ‘黨人’이라는 죄명이 씌워져 수백 명이 죽고 유배당한 사건이다.(≪後漢書≫ 〈黨錮列傳〉)
역주3 縫掖 : 소매가 넓은 홑옷으로 옛날 儒者가 입던 옷이다.
역주4 英雄記 : ≪漢末英雄記≫라고도 한다. 후한 말 군벌들의 사적을 기록한 책으로, 저자는 王粲 등이다. 일찍 소실되었는데, 明代의 王世貞이 ≪三國志≫의 주석 등에 인용된 일문을 모아 집본을 편찬하였다.
역주5 東觀漢記 : 漢代의 사람들은 ≪東觀漢記≫라고 불렀다. 明帝가 班固 등에게 편찬하도록 하였으며, 후한의 역사를 기전체로 기록한 최초의 관찬 역사서이다. 원래는 143권이었는데 ≪舊唐書≫ 〈經籍志〉에는 127권으로 되어 있다. 東觀에서 편찬된 것에서 서명이 유래되었다.
역주6 四科 : ≪論語≫ 〈先進〉에서는 제자들의 장점을 지목하여 네 가지로 분류하였으니, 德行․言語․政事․文學이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