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鬲令袁毅 在政貪濁하고 饋遺朝貴하여 以營譽注+① 晉書曰 “陳郡袁毅嘗爲鬲令, 貪濁而賂遺公卿, 以求虚譽.” 嘗遺山巨源絲百斤한대 巨源不欲爲異하여 受之하고 命懸之梁하다 後毅事露 案驗衆官하니 吏至巨源하여 於梁上得絲한대 已數年塵埃 封印如故注+② 虞預晉書曰 “山濤, 字巨源, 河內懷人, 父曜, 寃句令. 濤少有器量. 年十七, 宗人謂帝曰 ‘濤, 當與景․文共綱紀天下者也.’ 帝戲曰 ‘卿, 小族, 那得此快人耶?’ 好老莊, 與嵇康善. 爲河內從事, 與石鑒共傳宿, 濤夜起蹋鑒曰 ‘今何等時而眠也? 知太傅臥何意?’ 鑒曰 ‘宰相三日不朝, 與一, 令歸第, 君何慮焉?’ 濤曰 ‘咄, 石生無事馬蹄間也.’ 投傳而去. 果有曹爽事, 遂隱身不交世務. 累遷吏部尙書․僕射․太子少傅․司徒, 諡康侯.”
【頭註】
王云 “嵇阮以識推山公, 此是也.”


1-29【원의袁毅는 정무를 처리할 때 탐욕스럽고 부정하게 하고 조정의 고관에게 선물을 바쳐 영예를 구하였다.注+① ≪진서晉書≫에 “진군陳郡원의袁毅격령鬲令이 된 적이 있었는데, 탐욕스럽고 부패하였으며 공경公卿에게 뇌물을 바쳐 헛된 영예를 구하였다.” 하였다. 한번은 산거원山巨源(산도山濤)에게 실 100근을 보냈는데 산거원이 유별나게 보이고 싶지 않아 받아서 대들보에 매달아두라고 명하였다. 나중에 원의의 〈부정한〉 일이 드러나 여러 관원을 조사하게 되어 관리가 산거원에게 왔다. 대들보 위에서 실을 찾았는데 이미 몇 년이 지나 먼지가 앉았고 봉인封印은 〈뜯지 않고〉 그대로였다.注+우예虞預의 ≪진서晉書≫에 말하였다. “산도山濤거원巨源이고, 하내河內 사람이다. 부친 산요山曜원구령寃句令을 지냈다. 산도는 젊어서부터 기량器量이 있었다. 17세 때 친족이 선제宣帝(사마의司馬懿)에게 ‘산도는 경제景帝(사마사司馬師)․문제文帝(사마소司馬昭)와 함께 천하의 기강을 잡을 사람입니다.’ 하니, 선제가 농담으로 ‘경은 한미한 가문인데 어떻게 이렇게 호방한 사람이 있을 수 있겠는가?’ 하였다. ≪노자老子≫와 ≪장자莊子≫를 좋아하였으며 혜강嵇康과 친하였다.
하내종사河內從事였을 때 석감石鑒과 함께 역참에 묵게 되었는데 산도가 밤에 일어나 석감을 깨우며 말하였다. ‘지금이 어느 때인데 잠을 잔단 말입니까. 태부太傅(사마의司馬懿)가 병으로 누운 것이 무슨 의미인지 아십니까?’ 석감이 ‘재상이 3일 동안 조회에 참석하지 않으면 황제가 를 주어 집에 돌아가게 하니, 그대는 어찌 걱정하는가?’ 하니, 산도가 ‘아, 석생石生은 말발굽 사이에서도 무사하겠구나.’ 하고서 과연 이 생기자 마침내 몸을 숨기고 세상일에 간섭하지 않았다. 여러 번 자리를 옮겨 이부상서吏部尙書복야僕射태자소부太子少傅사도司徒를 지냈다. 시호는 강후康侯이다.”
산도山濤산도山濤
두주頭註
왕세무王世懋혜강嵇康완적阮籍산공山公(산도山濤)을 식견識見이 있다고 추숭하였으니, 이는 옳다.


역주
역주1 : 지금의 山東省 德州市 부근에 있던 縣 이름이다.
역주2 詔書 : 원문은 ‘尺一’이다. 옛날에 詔板의 길이가 1尺 1寸이었으므로 天子의 詔書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後漢書≫ 〈陳蕃傳〉의 李賢의 注에 “尺一은 길이 1尺의 板에 조서를 쓴 것을 말한다.[尺一 謂板長尺一 以寫詔書也]” 하였다.
역주3 통행증[傳]을……떠나갔다 : 원문에는 ‘投傳而去’라고 되어 있는데, 여기서 傳은 ‘信’과 같은 것으로 관원들이 여행 시 關門을 출입할 때 제시하는 증표이다.(≪世說音釋≫) 傳을 내던지고 떠나갔다는 것은 곧 벼슬을 버리고 떠났다는 의미이다.
역주4 曹爽의 일 : 당시 조상과 司馬懿는 魏나라의 權臣으로 서로 반목하였는데 사마의가 重病에 걸린 것처럼 속여 조상을 방심하게 한 뒤 君臣이 모두 高平陵에 참배할 때를 틈타 쿠데타를 일으켜 조상의 세력을 물리친 사건을 말한다.(≪晉書≫ 〈宣帝紀〉)
역주5 (先)[宣] : 저본에는 ‘先’으로 되어 있으나, ≪世說新語≫ 〈政事〉에 의거하여 ‘宣’으로 바로잡았다. 宣帝는 司馬懿를 말하며 이때에는 아직 황제가 되기 전이나 후인들이 ‘帝’로 追述한 것이다. 景帝․文帝도 같다.
역주6 (夫)[尺] : 저본에는 ‘夫’로 되어 있으나, ≪世說新語≫ 〈政事〉에 의거하여 ‘尺’으로 바로잡았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