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張天錫 為凉州刺史라가 稱制西隅 既為苻堅所禽하고 用為侍中이라 於壽陽俱敗하여 至都注+① 張資凉州記曰 “天錫, 字公純嘏, 安定烏氏人, 張耳後也. 曾祖軌, 永嘉中爲凉州刺史, 値京師大亂, 遂據凉土. 天錫位, 自立爲凉州牧. 苻堅使將姚萇攻沒凉州, 天錫歸長安, 堅以爲侍中․比部尙書․歸義侯. 從堅至壽陽, 堅軍敗, 遂南歸. 拜散騎常侍․西平公.” 中興書曰 “天錫後以貧拜廬江太守. 薨, 贈侍中.” 為孝武所器하여 每入 言論無不竟日하니 頗有嫉己者한대 於坐問張하되
北方 何物 可貴오하니
張曰
桑椹 甘香하여 鴟鴞革響注+② 詩魯頌曰 “翩彼飛鴞, 集于泮林, 食我桑椹, 懷我好音.”하고 淳酪 養性하여 人無嫉心注+③ 西河舊事曰 “河西牛羊肥, 酪過精好. 但寫酪置革上, 都不解散也.”이라하다
【頭註】
王云 “世乃有三字字, 不可曉. 後過江, 爲人所咲, 減一字.”
應登云 “譏問者之嫉己.”


4-69 장천석張天錫양주자사凉州刺史가 되었다가 서쪽 변방에서 즉위하였다. 부견苻堅에게 포로로 잡히고 나서는 시중侍中으로 기용되었다. 뒤에 수양壽陽에서 〈부견과〉 함께 패하여 도성(건강建康)에 이르렀다.注+에 말하였다. “장천석張天錫공순하公純嘏이고 안정安定 오씨烏氏 사람으로 장이張耳의 후예이다. 증조부 장궤張軌영가永嘉 연간(307~312)에 양주자사凉州刺史가 되었는데 마침내 양주 땅을 차지하였다. 장천석이 그 지위를 찬탈하고 스스로 양주목凉州牧이 되었다. 부견苻堅이 장수 요장姚萇으로 하여금 양주를 쳐서 함락시키게 하자 장천석은 장안長安(전진前秦)으로 귀순하였고, 부견은 그를 시중侍中비부상서比部尙書로 삼고 귀의후歸義侯로 봉하였다. 부견을 따라 수양壽陽에 이르러 부견의 군대가 패하자 장천석은 마침내 남쪽(동진東晉)으로 귀순하였다. 산기상시散騎常侍서평공西平公에 제수되었다.”
중흥서中興書≫에 “장천석은 뒤에 가난을 이유로 여강태수廬江太守에 제수되었다. 죽은 뒤에 시중侍中에 추증되었다.”
동진東晉 효무제孝武帝(사마요司馬曜)에게 중용重用되어 매번 입궁할 때마다 이야기를 나누느라 해가 저물지 않은 적이 없었다. 그러자 질시하는 사람들이 꽤 많았는데, 〈그 사람들이〉 어느 자리에서 장천석에게 물었다.
북방北方에는 어떤 물건이 귀합니까?”
장천석이 말했다.
“뽕나무 오디가 달고 향기로워 〈그것을 먹은〉 올빼미의 소리가 〈부드럽게〉 변하고,注+② ≪시경詩經≫ 〈노송魯頌 반수泮水〉에 노래하였다. “이리저리 나는 저 올빼미여, 저 반궁泮宮의 숲에 모여 앉아서, 우리 뽕나무 오디를 먹고, 나를 좋은 목소리로 회유하도다.” 〈가축의〉 질 좋은 젖이 성정性情을 함양해주어 〈그것을 먹은〉 사람들은 시기하는 마음이 없습니다.”注+③ ≪서하구사西河舊事≫에 말하였다. “하서河西는 소와 양이 살쪄서 젖의 질이 대단히 양호하다. 젖을 그냥 가죽 위에 부어도 전혀 풀어져 흩어지지 않는다.”
두주頭註
왕세무王世懋:세상에 세 글자로 된 가 있는데, 왜 그런지는 알 수 없다.
유응등劉應登:질문한 자가 자신을 시기하는 것을 비꼬았다.


역주
역주1 張資의 ≪凉州記≫ : 張資에 관해서는 단지 ≪高僧傳≫ 〈鳩摩羅什傳〉에서 내용을 볼 수 있는데, 十六國 北涼의 대신으로 학문을 좋아하였다고 한다. ≪凉州記≫는 ≪凉記≫라고도 하며 ≪隋書≫ 〈經籍志〉에 따르면 8권으로 北凉의 著作佐郞을 지낸 段龜龍이 지었다. ≪新唐書≫에는 張諮가 지은 ≪凉記≫ 10권이 있다고 하였는데, 張諮에 관해서도 자세히 알 수 없다. 혹 張資와 張諮가 동일 인물인지도 모르겠다.
역주2 京師가……혼란하자 : 西晉 永嘉 5년(311)에 이민족이 서진의 수도인 洛陽을 함락하고 懷帝 등을 포로로 잡은 사건을 말한다.
역주3 (纂)[簒] : 저본에는 ‘纂’으로 되어 있으나, 安永本과 각본의 ≪世說新語≫에 의거하여 ‘簒’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 대대로……줄였다 : 張天錫은 東晉에 귀순한 뒤에 자신의 字인 ‘公純嘏’를 ‘純嘏’로 바꾸었다.(≪十六國春秋≫)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