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劉琨 雖隔閡寇戎이나 志存本朝注+① 王隱晉書曰 “琨, 字越石, 中山魏昌人. 祖邁, 有經國之才, 父璠, 光祿大夫. 琨, 少稱儁朗, 累遷司徒長史․尙書右丞. 迎大駕於長安, 以有殊勲, 封廣武侯. 年三十五, 出爲幷州刺史, 爲段磾所害.” 謂温嶠曰
班彪 識劉氏之復興하고 馬援 知漢光之可輔注+② 漢書敍傳曰 “彪, 字叔皮, 扶風人. 客於天水․隴西. 隗囂有窺覦之志, 彪作王命論以諷之.” 東觀漢記曰 “馬援從公孫述․隗囂游, 後見光武曰 ‘天下反覆, 盜名字者, 不可勝數. 今見陛下, 寥廓大度, 同符高祖, 乃知帝王自有眞也.’ 帝甚壯之.” 今晉祚 雖衰 天命未改 吾欲立功於河北하고 使卿延譽於江南하니 子其行乎아하니
嶠雖不敏하고 才非昔人이나 明公 以桓文之姿 建匡立之功하니 豈敢辭命注+③ 虞預晉書曰 “嶠, 字太眞, 太原祁人. 少標俊淸徹, 英穎顯名. 爲司空劉琨左司馬, 是時二都傾覆, 天下大亂. 琨聞元皇受命中興, 忼慨幽朔, 志存本朝. 使嶠奉使, 嶠喟然對曰 ‘嶠雖乏管․張之才, 而明公有桓․文之志, 敢辭不敏, 以違高旨.’ 以左長史奉使勸進. 累遷驃騎大將軍.”이리오하다


4-19 유곤劉琨은 비록 적군敵軍에게 가로막혔지만 뜻을 본조本朝()의 〈중흥에〉 두었다.注+왕은王隱의 ≪진서晉書≫에 말하였다. “유곤劉琨월석越石이고 중산中山 위창魏昌 사람이다. 조부 유매劉邁는 나라를 경영할 만한 재주가 있었고, 부친 유번劉璠광록대부光祿大夫였다. 유곤은 어려서부터 준수하고 영민한 것으로 이름이 났으며, 여러 관직을 역임한 뒤에 사도장사司徒長史상서우승尙書右丞이 되었다. 장안長安에서 〈황제의〉 대가大駕를 맞이하여 걸출한 공훈功勳이 있었기에 광무후廣武侯에 봉해졌다. 35세에 나가서 병주자사幷州刺史가 되었고 단필제段匹磾에게 살해당했다.” 온교温嶠에게 말했다.
반표班彪유씨劉氏가 〈나라를〉 부흥復興하리라는 것을 알았고, 마원馬援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유수劉秀)가 보필할 만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注+② ≪한서漢書≫ 〈서전敍傳〉에 말하였다. “반표班彪숙피叔皮이고 부풍扶風 사람이다. 천수天水농서隴西에서 객지 생활을 하였다. 외효隗囂가 모반할 뜻을 가지자 반표가 〈왕명론王命論〉을 지어 풍자하였다.”
동관한기東觀漢記≫에 말하였다. “마원馬援공손술公孫述과 외효를 따라 교유하였는데, 나중에 광무제光武帝를 보고 ‘천하가 혼란하여 실제와 부합하지 않게 명성을 얻은 자를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습니다. 지금 폐하를 보니 기개가 활달하고 도량이 큰 것이 고조高祖(유방劉邦)와 같습니다. 이에 제왕帝王 중에 본래 참된 제왕이 따로 있다는 것을 알겠습니다.’라고 하니, 광무제가 그를 매우 장하다고 여겼다.”
지금 나라의 운수가 비록 쇠하였지만 천명天命이 아직 바뀌지 않았습니다. 나는 하북河北에서 공을 세우고 경으로 하여금 강남江南에서 명성을 떨치게 하고자 하는데, 그대는 가주겠습니까?”
온교가 말했다.
“제가 비록 불민不敏하고 재주는 옛사람만 못하지만 명공明公께서 환공桓公 문공文公 같은 자질資質로 〈나라를〉 바로잡고 세우는 공을 이루려고 하시니, 어찌 감히 명을 사양하겠습니까.”注+우예虞預의 ≪진서晉書≫에 말하였다. “온교溫嶠태진太眞이고 태원太原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외모가 수려하고 정신이 맑았으며 총명하여 이름이 났다. 사공司空 유곤劉琨좌사마左司馬가 되었는데 이때 두 도성(낙양洛陽장안長安)이 적에게 넘어가 천하가 크게 혼란스러웠다. 유곤이 원제元帝(사마예司馬睿)가 천명을 받아 〈진나라를〉 중흥中興하려 한다는 소식을 듣고 유주幽州삭주朔州 지역에서 비분강개하며 본조本朝의 〈중흥에〉 뜻을 두었다. 온교를 〈원제에게〉 사자使者로 보내려고 하자, 온교가 탄식하며 ‘제게는 비록 관중管仲장량張良 같은 재주가 없지만 명공明公께는 환공桓公 문공文公 같은 뜻을 가지고 계시니, 감히 불민하다고 사양하여 높으신 뜻을 저버릴 수 있겠습니까.’라고 대답하였다. 좌장사左長史사자使者가 되어 원제에게 가서는 황제에 오를 것을 권하였다. 여러 벼슬을 거쳐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이 되었다.”


역주
역주1 : 宋本 ≪世說新語≫․安永本 등 각본에는 ‘日’로 되어 있으며, ≪晉書≫에는 ‘匹’로 되어 있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