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陸羽注+① 宋祁隱逸傳曰 “陸羽, 字鴻漸. 一名疾, 字季疵. 復州竟陵人. 不知所生, 有僧得諸水濱. 旣長以易自筮, 得蹇之漸曰 ‘鴻漸於陸, 其羽可用爲儀.’ 乃以陸爲氏, 名而字之. 隱苕溪, 自稱桑苧翁. 闔門著書, 或獨行野中, 誦詩擊木, 徘徊不得意, 或慟哭而歸. 時謂‘今接輿’也.” 問張志和하되
孰與往來오하니
志和
太虚為室하고 明月為燭하니 與四海諸公으로 共處하여 未嘗少别이어늘 何有往來注+② 唐詩紀事曰 “張志和, 字子周, 婺州人. 母夢楓生腹上而産. 志和十六, 擢明經, 肅宗時, 貶南浦尉, 不復仕. 居江湖, 自稱烟波釣徒, 著玄眞子. 兄鶴齡恐其遁世, 爲築室越州東郭, 與陸羽往還. 李德裕稱‘志和隱而有名, 顯而無事. 不窮不達, 嚴光之比’云.” ○非但善狀志和, 亦且深識嚴光.리오하다
【頭註】
李云 “眞个道學, 臉皮三寸, 太虛爲室, 屍骸暴露.”


5-18【육우陸羽注+송기宋祁의 ≪신당서新唐書≫ 〈은일전隱逸傳〉에 말하였다. “육우陸羽홍점鴻漸이다. 또 다른 이름은 이고 계자季疵이다. 복주復州 경릉竟陵 사람이다. 부모가 누구인지 모르고 어떤 승려가 물가에서 주웠다. 장성하고 나서 ≪주역周易≫으로 점을 쳐서 건괘蹇掛점괘漸掛로 옮겨가는 것이 나왔는데, 그 점사占辭라고 하였다. 이에 성씨姓氏로 하고 그것에서 이름과 자를 가져왔다. 초계苕溪에서 은거하며 스스로 상저옹桑苧翁이라고 칭했다. 문을 달아 걸고 책을 저술했는데, 혹 홀로 들 가운데를 거닐면서 시를 읊으며 나무를 두들기곤 했고, 배회하다가 〈시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혹 통곡하며 돌아오기도 했다. 당시 사람들이 그를 ‘요즘의 ’라고 하였다.” 장지화張志和에게 물었다.
장지화張志和장지화張志和
“누구와 왕래하십니까?”
장지화가 말했다.
“〈저는〉 를 집 삼고 밝은 달을 촛불 삼아 〈살고 있습니다.〉 그러니 사해四海제공諸公들과 함께 거처하며 잠시도 이별한 적이 없거늘 어찌 왕래할 것이 있겠습니까.”注+에 말하였다. “장지화張志和자주子周무주婺州 사람이다. 모친이 단풍나무가 배 위에서 나는 꿈을 꾸고 낳았다. 장지화는 16세에 명경과明經科에 급제하였으며, 숙종肅宗(이형李亨) 때에 남포현위南浦縣尉로 좌천되고 나서 다시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강호江湖에 살며 스스로를 ‘연파조도烟波釣徒’라 칭하고 를 지었다. 그의 형 장학령張鶴齡은 그가 세상을 피해 은거할까 걱정이 되어 월주越州동곽東郭에 집을 지어주고 육우陸羽와 왕래하도록 하였다. 이덕유李德裕가 ‘장지화는 은거하였으나 이름이 나고, 현달하였으나 무위無爲를 행하였다. 곤궁하지도 않고 영달하지도 않았으니 에 비견된다.’라고 칭송하였다.”
○〈이덕유의 평은〉 장지화를 잘 묘사했을 뿐만 아니라 엄광에 대해서도 깊이 알았다.
육우陸羽육우陸羽
두주頭註
이지李贄:참된 도학자道學者는 얼굴 가죽이 3치[]이며, 태허太虛를 집으로 삼으니 시체는 〈을 쓰지 않고〉 노출시킨다.


역주
역주1 기러기가……其羽可用爲儀] : ≪周易≫ 漸卦 上九의 爻辭이다.
역주2 接輿 : 춘추시대 楚나라 은자로, 미친 척하며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論語≫ 〈微子〉에 “초나라 광인 접여가 孔子의 수레 앞을 노래하며 지나갔다.”라는 구절이 보인다.
역주3 太虛 : 하늘 또는 우주를 이른다.
역주4 唐詩紀事 : 南宋의 計有功이 편찬했다. 唐代의 詩歌 작품이 점점 실전되자 이를 보존하기 위해 자료를 모은 것으로 모두 81권이며 당대의 시인 1,150여 명을 수록했다.
역주5 玄眞子 : 唐나라 시인 張志和가 지었으며 그 自號가 玄眞子이다.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였으며 顔眞卿과 교유하였다. ≪현진자≫는 陳振孫의 ≪直齋書錄解題≫에 따르면 원래는 12권이었는데 南宋 때 이미 흩어져 3권만 남았다고 한다. 현재 ≪四庫全書≫에 1권이 수록되어 있고 ≪碧虛≫․≪鸑鷟≫․≪濤之靈≫의 3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주6 嚴光 : 東漢 시기의 유명한 은자이다. 어릴 때에 光武帝와 함께 공부하였는데, 광무제가 즉위하자 이름을 바꾸고 몸을 숨겨 나타나지 않았다. 광무제가 찾아서 벼슬을 주려 하였으나 받지 않고 나오지 않고 평생을 마쳤다.(≪後漢書≫ 〈嚴光傳〉)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