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戎注+① 晉諸公贊曰 “戎, 字濬沖, 瑯琊人, 太保祥宗族也. 文皇帝輔政, 鍾會薦之曰 ‘裴楷淸通, 王戎簡要.’ 卽俱辟爲. 晉踐祚, 累遷荊州刺史. 以平吳功, 封安豊侯.” 和嶠注+② 晉諸公贊曰 “嶠, 字長輿, 汝南西平人. 父逌, 魏太常. 嶠少以雅量稱, 賈充每向世祖稱之. 歷官尙書.” 同時遭大喪한대 俱以孝稱하니 雞骨支牀하고 哭泣備禮注+③ 晉陽秋曰 “戎爲豫州刺史, 遭母憂. 性至孝, 不拘禮制, 飲酒食肉, 或觀棊奕, 而容貌毁悴, 杖而後起. 時汝南和嶠亦名士也, 以禮法自持, 處大憂, 量米而食, 然顦顇哀毁, 不逮戎也.” 武帝注+④ 晉世譜曰 “世祖武帝, 諱炎, 字安世, 文帝長子也. 寬惠仁厚, 沉深有度量. 咸熙二年, 受魏禪.”謂劉仲雄曰注+⑤ 王隱晉書曰 “劉毅, 字仲雄, 東萊掖人, 漢城陽景王後也. 亮直淸方, 見有不善, 必評論之, 王公大人望風憚之. 僑居陽平, 太守杜恕致爲功曹, 沙汰郡吏三百餘人, 三魏僉曰 ‘但聞劉功曹, 不聞杜府君.’ 累遷尙書․司隸校尉.”
卿數省王和하니 不聞和哀苦過禮하여 使人憂之
仲雄曰
和嶠 雖備禮 神氣不損하고 王戎 雖不備禮 而哀毁骨立하니 以和嶠生孝 王戎死孝하니 陛下 不應憂嶠而應憂戎注+⑥ 晉陽秋曰 “世祖及時談, 以此貴戎也.”이니이다하다
【頭註】
應登曰 “言其骨立.”


1-25 왕융王戎注+① ≪진제공찬晉諸公贊≫에 말하였다. “왕융王戎준충濬沖이고, 낭야瑯琊 사람이며, 태보太保 왕상王祥종족宗族이다. 문황제文皇帝(사마소司馬昭)가 보정輔政할 때 종회鍾會가 천거하기를 하니 즉시 모두 초빙하여 관리로 삼았다. 나라가 개창開創한 후 여러 번 자리를 옮겨 형주자사荊州刺史에 이르렀다. 나라를 평정한 공로로 안풍후安豊侯에 봉해졌다.” 화교和嶠注+② ≪진제공찬晉諸公贊≫에 말하였다. “화교和嶠장여長輿이고, 여남汝南 서평西平 사람이다. 부친 화유和逌나라 태상太常이었다. 화교는 젊어서부터 아량雅量을 지닌 것으로 칭찬받아 가충賈充이 매번 세조世祖에게 그를 칭찬하였다. 상서尙書를 지냈다.” 같은 때에 부모상을 당했는데 모두 효성스럽다고 일컬어졌다. 왕융은 화교는 곡하고 우는 것이 예법에 맞았다.注+③ ≪진양추晉陽秋≫에 말하였다. “왕융王戎예주자사豫州刺史가 되었을 때 모친상을 당했다.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웠는데 예제禮制에 구애받지 않고 술을 마시고 고기를 먹으며 혹은 바둑 두는 것을 구경하였으나 용모는 수척하고 초췌하였으며 지팡이를 짚고서야 일어났다. 당시 여남汝南 사람인 화교和嶠 역시 명사名士였는데 예법에 맞게 처신하여 부모상을 당했을 때 슬픔으로 인해 마르고 초췌한 모습은 왕융에 미치지 못하였다.” 무제武帝注+④ ≪진세보晉世譜≫에 말하였다. “세조世祖 무제武帝이고 안세安世이며 문제文帝의 맏아들이다. 관대하고 인후仁厚하며 진중하고 도량을 지녔다. 함희咸熙 2년(265)에 나라의 선양禪讓을 받았다.” 유중웅劉仲雄(유의劉毅)에게 말하였다.注+에 말하였다. “유의劉毅중웅仲雄이고 동래東萊 사람이며, 나라 성양경왕城陽景王(유장劉章)의 후손이다. 진실하고 정직하며 깨끗하고 방정하여 불선不善을 보게 되면 반드시 비평하였으므로 왕공王公대인大人들이 소문을 듣고 그를 꺼려하였다. 양평陽平에 잠시 살 적에 태수 두서杜恕가 초빙하여 로 삼아 군리郡吏 300여 인을 선발하게 하였는데 지역 사람들이 모두 ‘단지 유공조劉功曹(유의劉毅)에 대해서 들었을 뿐이요, 두부군杜府君(두서杜恕)에 대해서는 듣지 못하였다.’ 하였다. 여러 번 자리를 옮겨 상서尙書사예교위司隷校尉에 이르렀다.”
“경은 자주 왕융과 화교를 살펴보았으니 화교가 정해진 예법보다 지나치게 애통해하여 사람들을 걱정시켰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는가?”
유중웅이 말하였다.
“화교는 예법에 맞긴 하나 정신과 기운이 손상되지 않았고, 왕융은 예법에 맞지 않으나 애통함으로 인해 앙상하게 말랐습니다. 신은 생각합니다. 폐하는 화교를 걱정하지 말고 왕융을 걱정해야 합니다.”注+⑥ ≪진양추晉陽秋≫에 “세조世祖가 당시의 담론을 듣고 이 때문에 왕융을 귀하게 여겼다.” 하였다.
두주頭註
유응등劉應登:〈닭 뼈가 상 위에서 지탱하고 있는 것 같다는 것은〉 그의 몸이 뼈만 남았음을 말한다.


역주
역주1 裴楷는……簡要합니다 : 清通은 속마음은 깨끗하고 밖으로는 통달한 것이다. 簡要는 禮法의 근본을 알고 행하는 것을 말한다. 두 가지 모두 老莊의 道이다.(徐震堮, ≪世說新語校箋≫)
역주2 닭……말랐고 : 저본에는 ‘雞骨支牀’으로 되어 있는데, ‘雞骨’은 수척한 상주의 모습을 가리킨다.(≪世說音釋≫)
역주3 쌀의……먹었지만 : ≪儀禮≫ 〈喪服〉에 喪을 당한 자는 “죽을 먹되 아침에 쌀 1溢을 먹고 저녁에 쌀 1일을 먹는다.[歠粥 朝一溢米 夕一溢米]” 하였다. 溢은 단위사로, ‘줌’, ‘움큼’의 뜻으로 한 손으로 쥘 만한 분량이다. 여기서는 和嶠가 喪禮에 정해진 양대로 지켜서 먹었다는 것을 말한다.(≪世說箋本≫)
역주4 王隱의 ≪晉書≫ : ≪진서≫는 晉나라 著作郎인 王隱과 그 부친인 王銓이 공동 편찬한 진나라 역사를 기술한 紀傳體 史書이다. 본래 93권이었으나 隋나라 때는 86권이 남았고, 지금은 湯球가 집록한 輯本 11권이 있다. 王隱은 字가 處叔이고, 陳郡 陳縣 사람이다. 晉 元帝 때 활동했으며 王敦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이 있어 平陵鄉侯에 봉해졌다.(≪晉書≫ 〈王隱傳〉)
역주5 功曹 : 관직명으로, 功曹吏라고도 불렀다. 西漢 때 처음 설치하였고 군수나 현령의 중요한 佐吏였다. 주로 人事를 담당하였으며 北齊 이후에는 功曹參軍이라 불렀다.
역주6 三魏 : 魏郡․廣平․陽平을 가리킨다.(≪世說音釋≫)
역주7 화교는……死孝라고 : 부모의 喪을 치를 때 슬퍼하고 애통해하지만 생명을 해치는 지경에 이르지 않은 것을 ‘生孝’라고 하고, 지나치게 슬퍼하고 애통해하여 거의 죽을 지경에 이른 것을 ‘死孝’라고 한다.
역주8 (椽)[掾] : 저본에는 ‘椽’으로 되어 있으나, 明 萬曆 14년본 ≪李卓吾批點世說新語補≫(이하 ‘萬曆 14년본’으로 약칭)에 의거하여 ‘掾’으로 바로잡았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