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太元末 長星見注+① 徐廣晉紀曰 “泰元二十年九月, 出蓬星如粉絮, 東南行, 歷須女, 至星.” 按太元末, 唯有此妖, 不聞長星也. 且漢文八年, “有長星出東方.” 文穎曰 “長星有光芒, 或竟天, 或長十丈, 或二三丈, 無常也. 此星見, 多爲兵革事.” 此後十六年, 文帝乃崩, 知長星非關天子, ≪世說≫虛也.하니 孝武注+② 晉書曰 “帝, 諱曜, 字昌明, 簡文子. 在位二十四年, 爲張貴妃所弑.” 心甚惡之 夜華林園中飮酒라가 擧杯屬星云
長星 勸爾一杯酒하니 自古 何時有萬歲天子리오하다
【頭註】
王云 “‘心甚惡之’, 此四字可除.”
劉云 “‘時’字作‘曾’.”


13-18 태원太元 연간(376~396) 말엽에 이 나타나자,注+서광徐廣의 ≪진기晉紀≫에 말하였다. “태원泰元(태원太元) 20년(395) 9월, 하얀 피륙 같은 이 출현하여 동남쪽으로 이동하여 을 거쳐 에 이르렀다.”
살펴보건대, 태원太元 연간(376~396) 말엽에 단지 이런 괴변이 있었을 뿐이고 장성長星에 대해서는 듣지 못하였다. 또한 했는데, 〈안사고顔師古의 주석에서 인용한〉 문영文穎이 “장성에는 강한 긴 광채가 있는데, 〈그 길이가〉 하늘 끝까지 뻗치기도 하고 10 또는 2,3이 되기도 하여 일정하지 않다. 이 별이 나타나면 대부분 전쟁이 벌어진다.” 하였다. 그 이후 16년이 지나 〈B.C. 157년에〉 문제가 붕어하였다. 이로써 장성이 천자의 〈수명과는〉 관련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으니, ≪세설신어世說新語≫의 내용은 부질없다.
효무제孝武帝(사마요司馬曜)가注+② ≪진서晉書≫에 말하였다. “효무제孝武帝(사마요司馬曜)는 , 창명昌明으로, 간문제簡文帝(사마욱司馬昱)의 〈여섯 번째〉 아들이다. 24년 동안 재위하였고, 마음속으로 매우 꺼려하였다. 밤중에 에서 술을 마시다가 잔을 들어 장성에게 권하면서 말하였다.
“장성이여, 너에게 한 잔 술을 권하니, 예로부터 어느 시대에 만년 동안 천자의 〈지위에 있었던 자가〉 있었겠는가.”
두주頭註
왕세무王世懋:〈본문의〉 ‘심심악지心甚惡之’ 네 글자는 제거해야 한다.
유진옹劉辰翁:〈어떤 판본에는 본문의〉 ‘’자가 ‘’으로 되어 있다.


역주
역주1 長星 : 옛날 별 이름으로, 혜성과 유사하고 긴 형체에 강한 광채를 내었다.
역주2 蓬星 : 妖星 21개 가운데 하나이다. ≪晉書≫ 〈天文志〉에 “크기가 두 말 되는 그릇만 하고 흰색이며, 일명 王星이다.……이 별이 출현하면 3년 안에 반역을 일으킨 신하가 살해당한다.[大如二斗器 色白 一名王星 … 星見 不出三年 有亂臣戮死]” 하였다. 21개의 요성은 彗星․孛星․天棓(부)․天槍․天欃(참)․蚩尤旗․天衝․國皇․昭明․司危․天欃彗․五殘․六賊․獄漢․旬始․天鋒彗․燭星․蓬星․長庚․四塡星․地維藏光이다.
역주3 須女星 : 28宿(수)의 하나로, 북방 玄武 7수 가운데 세 번째 星宿이다. 4개의 별로 이루어졌고, 織女星의 남쪽에 위치한다. ≪淮南子≫ 〈天文訓〉에 “북방을 현천이라고 하는데, 그 성수는 수녀․허․위․영실이다.[北方曰玄天 其星須女虛危營室]” 하였다. ≪晉書≫ 〈天文志〉에는 女宿와 虛宿라고 되어 있다.
역주4 哭星 : 許宿의 남쪽에 있는 두 별로 死哭을 주관한다.(≪世說音釋≫)
역주5 漢나라……출현했다 : ≪漢書≫ 〈文帝紀〉에 보이는 내용이다.
역주6 張貴妃에게 시해 당하였다 : 太元 21년(396) 9월 20일, 후궁들과 주연을 베풀던 晉 孝武帝(司馬曜)가 술에 취한 채로 총애하던 장귀비에게 농담으로 “너도 이제 30세가 넘었구나. 새 후궁을 찾아야겠다.” 했는데, 장귀비는 분노를 이기지 못하고 그날 저녁 심복으로 여기는 궁녀를 시켜 만취한 효무제의 얼굴을 두꺼운 이불로 눌러 질식시켜 시해하였다.(≪魏書≫ 〈僭晉司馬叡傳 附昱子昌明傳〉)
역주7 華林園 : 吳(三國)나라가 만든 園林으로, 옛터가 현재 南京市 雞鳴山 남쪽 古臺城 안에 있다.
역주8 (央)[哭] : 저본에는 ‘央’으로 되어 있으나, ≪晉書≫ 〈天文志〉에 의거하여 ‘哭’으로 바로잡았다.
역주9 (注) : 저본에는 ‘注’가 있으나, ≪漢書≫ 〈文帝紀〉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10 : 安永本에는 ‘益’으로 되어 있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