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馮當世 知并州注+① 東都事略曰 “馮京, 字當世, 鄂州江夏人. 幼雋邁不群. 擧進士, 自鄕選至廷對, 俱第一. 宰相富弼, 京之婦翁也. 京知制誥日, 韓琦爲相, 京數月不一見. 琦謂其傲, 以語. 弼使往見之, 京曰 ‘公爲宰相, 而京不妄詣公者, 乃所以重公也. 豈傲哉.’ 官參知政事, 謚文簡.” 以書 寄王平甫曰
并門 歌舞妙麗하니 閉目不窺하고 日以談禪為上이라하니
平甫答曰
若如所論이면 未逹禪理 閉目不窺 已是一種公案注+② 王介甫撰王平甫志曰 “安國, 字平甫, 臨川人. 熙寧間, 歷官大理寺丞.”이라하다
【頭註】
李云 “王安國尙有家學.”


5-22【풍당세馮當世(풍경馮京)가 병주지사并州知事로 있을 때에注+① ≪동도사략東都事略≫에 말하였다. “풍경馮京당세當世악주鄂州 강하江夏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특별하게 뛰어났다. 진사進士에 급제하였는데, 향시鄕試부터 정시廷試까지 모두 일등을 하였다. 재상宰相 부필富弼이 풍경의 장인이다. 풍경이 지제고知制誥일 때에 한기韓琦가 재상이었는데, 풍경은 몇 달간 한 번도 찾아가서 만나지 않았다. 한기가 그를 거만하다고 여기고 부필에게 이야기하였다. 부필이 가서 보게 하자, 풍경이 〈가서 한기에게〉 ‘공께서 재상이신데 제가 함부로 공을 찾아뵙지 않은 것은 공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어찌 거만해서이겠습니까.’라고 하였다. 벼슬은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냈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편지를 왕평보王平甫(왕안국王安國)에 부쳐 말하였다.
병문幷門(병주幷州)은 가무歌舞가 아름다워 눈을 감고 보지 않으면서 날마다 에 대해 담론하는 것을 상책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왕평보가 답하였다.
“만약 말씀하신 바와 같다면 아직 선의 이치에 통달하지 못하였습니다. 입니다.”注+왕개보王介甫(왕안석王安石)가 지은 〈왕평보묘지王平甫墓誌〉에 “왕안국王安國평보平甫임천臨川 사람이다. 희령熙寧 연간(1068~1077)에 대리시승大理寺丞을 지냈다.”
두주頭註
이지李贄왕안국王安國은 그래도 가학家學이 있다.


역주
역주1 公案 : 禪宗에서 參禪者를 깨달음에 이끌기 위해 주어지는 課題를 이른다.
역주2 눈을……公案입니다 : 눈을 감고 보지 않는다는 것 자체가 이미 마음이 흔들렸다는 것이니, 이것이 잘못이라는 말이다.(≪世說講義≫)
역주3 (動)[弼] : 저본에는 ‘動’으로 되어 있으나, ≪何氏語林≫과 安永本에 의거하여 ‘弼’로 바로잡았다. ≪東都事略≫에는 ‘富弼’ 2자로 되어 있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