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齊王冏 爲大司馬하여 輔政注+① 虞預晉書曰 “冏, 字景治, 齊王攸子也. 少聰慧, 及長, 謙約好施. 趙王倫篡位, 冏起義兵誅倫, 拜大司馬, 加九錫, 政皆決之, 而恣用群小, 不復朝覲, 遂爲長沙王所誅.”이러니 嵇紹 爲侍中하여 詣冏咨事한대 冏設宰會하여 召葛旟注+② 齊王官屬名曰 “旟, 字虛旟, 齊王從事中郞.” 晉陽秋曰 “齊王起義, 轉長史, 旣克趙王倫, 與董艾等專執威權, 冏敗, 見誅.” 董艾等注+③ 八王故事曰 “艾, 字叔智, 弘農人. 祖遇, 魏侍中, 父綏, 秘書監. 艾少好功名, 不修士檢. 齊王起義, 艾爲新汲令, 赴軍, 用艾領右將軍, 王敗, 見誅.”하여 共論時宜 旟等 白冏하되
嵇侍中 善於絲竹하니 公可令操之라하니
遂送樂器한대 推却不受 冏曰
今日共爲歡하니 卿何却邪아하니
紹曰
協輔皇室하시니 令作事可法이니이다 紹雖官卑 職備常伯하고 操絲比竹 蓋樂官之事 不可以先王法服으로 爲伶人之業이니이다 今逼高命하여 不敢苟辭 當釋冠冕하고 襲私服이니이다 此紹之心也니이다하니
旟等 不自得而退하다
【頭註】
王云 “中散兒, 故自不凡.”


10-19 제왕齊王 사마경司馬冏대사마大司馬가 되어 정사를 보좌하고 있었다.注+우예虞預의 ≪진서晉書≫에 말하였다. “사마경司馬冏경치景治로, 제왕齊王 사마유司馬攸(사마염司馬炎동모제同母弟)의 아들이다.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지혜로웠고, 장성해서는 겸손하고 절제하며 베풀기를 좋아하였다. 조왕趙王 사마륜司馬倫이 황위를 찬탈하자 사마경이 의병을 일으켜 사마륜을 주벌하였다. 대사마大司馬에 제수되고 이 더해지며, 정사가 모두 그에게서 결정되었다. 그러나 마음대로 소인배들을 기용하고는 더 이상 조회에 참석하지 않고, 결국 장사왕長沙王(사마예司馬乂)에게 죽임을 당했다.” 시중侍中이 되어 사마경을 찾아가 정사에 대해 물었는데, 〈당시에〉 사마경은 갈여葛旟注+② ≪제왕관속명齊王官屬名≫에 말하였다. “갈여葛旟허여虛旟로, 제왕의 종사중랑從事中郞이었다.”
손성孫盛의 ≪진양추晉陽秋≫에 말하였다. “제왕齊王(사마경司馬冏)이 의병을 일으켰을 때 〈갈여는〉 장사長史로 전임되었고, 〈제왕이〉 조왕趙王 사마륜司馬倫을 이긴 뒤에는 동애董艾 등과 함께 위세와 권력을 독점하다가 사마경이 패배하자 죽임을 당하였다.”
동애董艾 등을注+에 말하였다. “동애는 숙지叔智로, 홍농弘農 사람이다. 조부 동우董遇(삼국三國)나라의 시중侍中을, 부친 동수董綏비서감秘書監을 역임하였다. 동애는 젊을 때부터 공을 세워 이름을 떨치기를 좋아하고 선비의 예절을 닦지 않았다. 제왕齊王(사마경司馬冏)이 의병을 일으켰을 때 동애는 신급현新汲縣 현령으로 있다가 군대에 참여하니, 〈제왕이〉 동애를 기용하여 우장군右將軍에 임명했는데, 제왕이 패배하자 죽임을 당하였다.” 불러 시의時宜(당대의 필요한 조치)를 함께 논의하고 있었다. 갈여 등이 사마경에게 아뢰었다.
혜소嵇紹혜소嵇紹
혜시중嵇侍中(혜소)은 관현악기를 잘 다루니 공께서 그에게 연주하게 하시지요.”
마침내 〈혜소에게〉 악기를 주었는데 혜소가 거절하고 수락하지 않자, 사마경이 말하였다.
“오늘 함께 즐기려는 것인데, 그대는 어찌 거절하시오?”
혜소가 말하였다.
“공께서는 황실을 보좌하고 계시니 해야 합니다. 제가 비록 관직은 낮지만 직분이 상백常伯(시중)이고, 관현악기를 연주하는 것은 악관樂官의 일이니, 선왕先王법복法服(예법에 따라 규정된 복식)을 입은 채 영인伶人(악관)의 일을 할 수는 없습니다. 지금 공의 명령에 몰려 감히 구차히 사양하지 못하니, 마땅히 이것이 저의 마음입니다.”
갈여 등이 편치 않은 마음으로 물러났다.
두주頭註
중산대부中散大夫(혜강嵇康)의 아들이기 때문에 저절로 비범한 것이다.


역주
역주1 九錫 : 173쪽의 주)53 참조.
역주2 嵇紹(혜소) : 253~304. 譙國 銍縣(질현) 사람으로, 字는 延祖이며, 魏(三國)나라 中散大夫 嵇康의 아들이다. 汝陰太守․豫章內史․徐州刺史․給事黃門侍郞을 역임했고, 여러 차례 散騎常侍․国子博士가 되었으며, 弋陽子에 봉해졌다.
역주3 음식을……베풀면서 : 원문의 ‘宰會’에 대해 ≪世說講義≫에서는 ‘宰輔의 회의’라고 하였다.
역주4 盧綝(노침)의 ≪八王故事≫ : 노침은 范陽阳 涿縣 사람으로, 관직이 晉나라 尙書郞에 이르렀고, 廷尉에 증직되었다. ≪八王故事≫는 西晋시대 말기에 발생한 ‘八王의 亂’을 기록한 역사서로, ≪晉書≫ 〈八王列傳〉의 누락과 오류를 보완할 만하다.
역주5 일처리는……만하게 : 春秋 衛나라 北宮文子가 그 군주인 襄公에게 威儀에 대해 설명하면서 “군자(周文王)는 자리에 있으면 사람들이 경외할 만하고 은혜를 베풀면 사람들이 사랑할 만하며, 진퇴하는 것은 법도가 될 만하고 주선하는 것은 법칙이 될 만하며, 행동거지는 보고 배울 만하고 일 처리는 본보기가 될 만하며, 덕행은 본받을 만하고 음성은 즐겁게 여길 만하며, 동작에는 문채가 있고 언어에는 조리가 있었습니다. 이와 같이 아랫사람들을 다스렸기 때문에 그에게 위의가 있다고 말한 것입니다.[君子 在位可畏 施舍可愛 進退可度 周旋可則 容止可觀 作事可法 德行可象 聲氣可樂 動作有文 言語有章 以臨其下 謂之有威儀也]” 하였다.(≪春秋左氏傳≫ 襄公 31년)
역주6 冠冕(예복)을……합니다 : 辭職하겠다는 뜻이다.(≪世說講義≫)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