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莊子逍遙篇 舊是難處하니 諸名賢 所可鑽味 而不能拔理於郭向之外 支道林 在白馬寺中하여 馮太常共語注+① 馮氏譜曰 “馮懷, 字祖思, 長樂人, 歷太常․護國將軍.”라가 因及逍遙할새 卓然標新理於二家之表하고 立異義於衆賢之外하니 皆是諸名賢尋味之所不得이라 遂用支理注+② 向子期․郭子玄逍遙義曰 “夫大鵬之上九萬, 尺鷃之起楡枋. 小大雖差, 各任其性, 苟當其分, 逍遙一也. 然物之芸芸, 同資有待, 得其所待, 然後逍遙耳. 唯聖人與物冥而循大變, 爲能無待而常通, 豈獨自通而已. 又從有待者, 不失其所待, 不失則同於大通矣.” 支氏逍遙論曰 “夫逍遙者, 明至人之心也. 莊生建言大道, 而寄指鵬․鷃, 鵬以營生之路曠, 故失適於體外, 鷃以在近而笑遠, 有矜伐於心內. 至人乘天正而高興, 遊無窮於放浪, 物物而不物於物, 則遙然不我得, 玄感不爲, 不疾而速, 則逍然靡不適, 此所以爲逍遙也. 若夫有欲當其所足, 足於所足, 快然有似天眞, 猶饑者一飽, 渴者一盈, 豈忘於糗糧, 絶於醪醴哉. 苟非至足, 豈所以逍遙乎.” 此向․郭之注所未盡.
【頭註】
王云 “今注, 從作順, 義一也.”
劉云 “支論如此, 有何高妙, 而稱道甚至.”
王云 “此論亦神奇, 可備一種莊註.”


8-34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는 예로부터 이해하기 어려워 여러 명현名賢들이 깊이 연구하고 자세히 이해할 수는 있었지만, 곽상郭象상수向秀의 해설을 뛰어넘어서 이치를 도출할 수는 없었다. 지도림支道林(지둔支遁)이 에서 풍태상馮太常(풍회馮懷)과 함께 담론하다가注+① ≪풍씨보馮氏譜≫에 말하였다. “풍회馮懷조사祖思로, 장락長樂 사람이고, 태상太常호국장군護國將軍을 역임하였다.” 〈소요유〉를 언급하게 되었는데, 지도림이 탁월하게 곽상과 상수의 해설을 능가하는 새로운 논리를 표출하고 여러 명현들의 견해를 뛰어넘는 새로운 의미를 확립하였다. 〈그의 해설은〉 모두 여러 명현들이 〈이제껏〉 탐구했으나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이었다. 이후에는 마침내 지도림의 논리를 사용하였다.注+향자기向子期(향수向秀)와 곽자현郭子玄(곽상郭象)의 〈소요의逍遙義〉에 말하였다. “붕새가 9만 리 높이를 오르는 데 비해 메추라기는 느릅나무 높이까지만 오른다. 크고 작음에는 비록 차이가 있지만 각각 그 본성에 따른 것이니, 만일 그 분수에 합당하다면 소요(유유자적)의 측면은 동일하다. 그러나 무수한 만물이 각각 필요한 것에 의지한다는 측면은 동일하니, 자기가 필요한 것을 얻어야만 소요할 수 있다. 오직 성인聖人만이 만물과 더불어 묵묵히 큰 변화에 순응하여 필요한 바가 없이 항상 에 통할 수 있으니, 어찌 단지 스스로만 에 통할 뿐이겠는가. 또 비록 필요한 바가 있더라도 자기가 필요한 바를 잃지 않아야 하니, 그것을 잃지 않으면 대통大通(대도大道)과 하나가 될 것이다.”
지씨支氏(지둔支遁)의 〈소요론逍遙論〉에 말하였다. “〈소요유逍遙遊〉라는 편은 의 마음을 밝힌 것이다. 장생莊生(장자莊子)이 대도大道를 설명하면서 그 뜻을 붕새와 메추라기에 기탁했으니, 붕새는 삶을 영위하는 길이 넓기 때문에 몸 바깥으로는 어디로 갈지 모르고, 메추라기는 좁은 곳에 살면서 먼 곳으로 〈가는 붕새를〉 비웃기 때문에 마음속으로 뽐낸다. 지인至人은 천지의 정기正氣를 타고 하늘 높이 올라가 무궁한 세계에서 노닐고 속박 없이 자유로우며, 만물을 지배하고 만물에 의해 지배되지 않으니 아득히 자신을 잊고, 오묘하게 감응하여 억지로 하지 않고 서두르지 않아도 신속하니 한가로이 가지 못할 곳이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소요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자신이 만족해하는 바를 채우고자 하여 만족해하는 바에 만족한다면 통쾌하게 과 같은 점이 있지만, 이는 굶주린 자가 한 번 배불리 먹고 목마른 자가 한 번 실컷 마시는 경우와 같으니, 만약 아무 것도 필요치 않은 완벽한 만족이 아니라면 어찌 소요할 수 있겠는가.”
이런 내용이 상수와 곽상의 주석에서 미진한 부분이다.
두주頭註
왕세무王世懋:현재의 주석에는 〈원주 ②의 ‘우종유대자又從有待者’에서〉 ‘’이 ‘’으로 되어 있는데, 그 의미는 동일하다.
유진옹劉辰翁지도림支道林의 논리가 이와 같은데, 어떤 훌륭함과 오묘함이 있다고 칭찬이 이렇게 극심한가.
왕세무王世懋:이 논리도 신묘하고 기발하니, ≪장자莊子≫에 대한 하나의 주석으로 갖출 만하다.


역주
역주1 白馬寺 : 河南省 洛陽市의 老城 동쪽 12km 지점인 洛龍區 白馬寺鎭에 있다.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이후에 국가에서 건립한 첫 번째 사찰로, 東漢 永平 11년(68)에 창건되어 중국에서 가장 오래되었기 때문에 중국 불교의 祖庭 또는 釋源으로 불린다.
역주2 至人 : 세속을 초탈하여 無我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을 이른다.(≪莊子≫ 〈逍遙遊〉․〈齊物論〉․〈天下〉)
역주3 天眞 : 禮俗의 구속을 받지 않는 품성을 이른다. ≪莊子≫ 〈漁父〉에 “禮라는 것은 세속에서 인위적으로 만든 것이고, 眞(참된 道)이라는 것은 하늘로부터 받은 것이기 때문에 저절로 바꿀 수 없다. 그러므로 聖人은 하늘을 본받고 참된 도를 귀하게 여겨 세속에 구속되지 않는다.[禮者 世俗之所爲也 眞者 所以受於天也 自然不可易也 故聖人法天貴眞 不拘於俗]” 하였다.
역주4 말린……잊겠는가 : 이는 만족하지 않는 바에 대해 만족할 수 없기 때문이다.(≪世說箋本≫)
역주5 : ‘與’의 뜻이다.(≪世說新語補觿≫)
역주6 烝嘗 : 烝은 가을에 올리는 제사이고, 嘗은 겨울에 올리는 제사인데, 여기서는 제사를 지낼 때의 음식을 가리킨다. ≪시경≫ 〈小雅 天保〉에 “봄 제사․여름 제사․가을 제사․겨울 제사를 선공과 선왕에게 올린다.[禴祠烝嘗 于公于先]” 하였다.
역주7 觴爵 : 술잔을 이르는데, 여기서는 이어지는 醪醴(막걸리)와 대비되어 좋은 술을 가리킨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