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髙坐道人 不作漢語注+① 高坐別傳曰 “和尙, 胡名尸黎密, 西域人. 傳云 ‘國王子, 以國讓弟, 遂爲沙門.’ 永嘉中, 始到此土, 止於大市中. 和尙天資高朗, 風韻遒邁. 丞相王公一見奇之, 以爲吾之徒也. 周僕射領選, 撫其背而歎曰 ‘若選得此賢, 令人無恨.’ 俄而周侯遇害, 和尙對其靈坐, 作胡祝數千言, 音聲高暢. 旣而揮涕收淚. 其哀樂廢興皆此類. 性高簡, 不學晉語. 諸公與之言, 皆因傳譯, 然神領意得, 頓在言前.” 塔寺記曰 “尸黎密曰‘高坐’, 在石子岡. 常行頭陀, 卒於梅岡, 即葬焉. 晉元帝於冢邊立寺, 因名‘高坐’.”러니 或問此意하니 簡文曰
以簡應對之煩注+② 續晉陽秋曰 “帝, 諱昱, 字道萬, 中宗少子也. 仁有智度. 穆帝幼沖, 以撫軍輔政. 大司馬桓溫廢海西公而立帝. 在位二年.”이라하다
【頭註】
王云 “高坐, 寺名, 迄今無改.”
劉云 “可以逃敗.”


4-22 고좌도인髙坐道人(시려밀尸黎密)은 한어漢語를 쓰지 않았는데,注+① 〈고좌별전高坐別傳〉에 말하였다. “화상和尙은 원래 이름이 시려밀尸黎密(백시려밀다라帛尸黎密多羅)이고 서역西域 사람이다. 전하는 말로는 〈구자국龜玆國〉 국왕의 아들로 나라를 동생에게 양보하고 마침내 사문沙門이 되었다고 한다. 영가永嘉 연간(307~312)에 처음 이 땅에 도착했고 큰 저잣거리에 머물렀다. 화상은 타고난 자질이 고명高明하였고 기풍이 굳세었다. 승상丞相 왕공王公(왕도王導)이 한번 보고는 특별하게 생각하여 자기와 같은 부류라고 여겼다. 주복사周僕射(주의周顗)는 관리를 천거하는 일을 담당했는데, 화상의 등을 어루만지면서 ‘이런 어진 사람을 얻을 수 있다면 한이 없겠다.’라며 감탄하였다. 얼마 뒤에 주후周侯(주의)가 해를 당하자 화상이 그의 영전에서 서역말로 축원 수천 자를 읊었는데 그 소리가 높게 울렸다. 마치고 나서 눈물을 흩뿌리고는 〈금세〉 거두었다. 슬픔과 기쁨의 일어남과 사라짐이 모두 이러하였다. 성품은 고상하고 소탈했으며 나라 말을 배우지 않았다. 사람들이 그와 말할 때에 모두 통역을 통했지만 문득 말하기 전에 마음으로 알아차렸다.”
에 말하였다. “시려밀尸黎密의 무덤을 ‘고좌총高坐冢’이라고 하며, 석자강石子岡에 있다. 그는 늘 를 행하였는데 매강梅岡에서 죽자 바로 그곳에 장사 지냈다. 원제元帝(사마예司馬睿)가 무덤 옆에 절을 세우고 ‘고좌사高坐寺’라고 이름하였다.”
혹자가 그 이유를 묻자 간문제簡文帝(사마욱司馬昱)가 말했다.
“응대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서이다.”注+② ≪속진양추續晉陽秋≫에 말하였다. “ 간문제簡文帝이고 도만道萬으로 중종中宗(원제元帝 사마예司馬睿)의 막내아들이다. 인자함으로 이름이 났고 지혜와 기량이 있었다. 목제穆帝(사마담司馬聃)가 어려서 무군撫軍으로서 정사를 보필하였다. 대사마大司馬 환온桓溫해서공海西公(사마혁司馬奕)을 폐위하고 황제로 옹립하였다. 2년간 재위하였다.”
두주頭註
왕세무王世懋:‘고좌高坐’는 절 이름으로, 지금까지 〈그 이름이〉 바뀌지 않았다.


역주
역주1 塔寺記 : ≪新唐書≫ 〈藝文志〉 등에 의하면 지은이는 승려인 淸徹 또는 淸澈이며 36권이며 ≪金陵塔寺記≫가 정식 명칭이고 金陵, 즉 지금의 南京 지역의 불교 유적에 관한 기록으로 보인다.
역주2 頭陀 : 속세의 번뇌를 떨쳐버린다는 뜻이다.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탁발하는 일 또는 그렇게 하는 승려를 가리킨다.
역주3 : ≪世說新語箋疏≫에서는 景宋本에 ‘宋’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이 맞으며, ‘宋曰’은 ‘漢曰’이나 ‘晉曰’과 마찬가지로 중국어로 서역의 말을 번역하는 것을 이른다고 하였다. 이럴 경우 ‘尸黎密, 宋曰高坐’가 되는데, 뜻은 ‘尸黎密을 송나라에서는 高坐라고 한다.’가 된다.
역주4 : ≪晉書≫ 〈簡文帝紀〉에는 ‘明’으로 되어 있다.
역주5 周顗는……있었다 : 王敦이 亂을 일으켜 東晉을 장악한 뒤에 護軍長史 郝嘏가 주의에게 도망가서 왕돈을 피하라고 권하였으나, 주의는 조정과 存亡을 같이하겠다고 하며 떠나지 않다가 끝내 왕돈에게 죽임을 당했다.(≪晉書≫ 〈周顗傳〉)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