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附釋名
郭泰, 字林宗, 亦稱有道.
荀淑, 字季和, 亦稱朗陵.
蔡邕, 字伯喈, 亦稱中郞.
楊彪, 字文先, 亦稱太尉.
曹操, 字孟德, 亦稱曹公, 亦稱魏武, 亦稱魏公, 亦稱魏太祖.
劉表, 字景升, 亦稱荊州.
劉備, 字玄德, 亦稱豫州, 亦稱先主.
張昭, 字子布, 亦稱輔吳.
荀彧, 字文若, 亦稱令君.
陳群, 字長文, 亦稱司空.
孫策, 字伯符, 亦稱討逆.
曹丕, 亦稱魏文帝, 亦稱五官將.
曹植, 字子建, 亦稱臨淄侯.
司馬師, 字子元, 亦稱司馬景王, 亦稱晉景王.
司馬昭, 字子上, 亦稱司馬文王, 亦稱晉文王.
简文帝昱, 字道萬, 亦稱文帝, 亦稱會稽王, 亦稱相王, 亦稱撫軍.
司馬晞, 亦稱太宰, 亦稱武陵王.
司馬道子, 亦稱太傅, 亦稱會稽王.
王祥, 字休徵, 亦稱太保.
王渾, 字玄冲, 亦稱司徒, 亦稱京陵.
王昶, 字文舒, 亦稱司空.
裴徽, 字文季, 亦稱冀州, 亦稱使君.
何晏, 字平叔, 亦稱尙書.
鄧颺, 字玄茂, 亦稱尙書.
張華, 字茂先, 亦稱張公.
裴頠, 字逸民, 亦稱僕射, 亦稱成公.
陸機, 字士衡, 亦稱平原.
陸雲, 字士龍, 亦稱淸河.
蔡洪, 字叔開, 亦稱秀才.
羊祜, 字叔子, 亦稱太傅, 亦稱羊公.
王衍, 字夷甫, 亦稱太尉.
阮籍, 字嗣宗, 亦稱步兵.
嵇康, 字叔夜, 亦稱中散, 亦稱嵇公.
王戎, 字濬沖, 亦稱安豐.
山濤, 字巨源, 亦稱司徒, 亦稱山公.
裴楷, 字叔則, 亦稱裴令, 亦稱令公.
王乂, 字叔元, 亦稱平北.
樂廣, 字彦輔, 亦稱樂令.
荀勖, 字公曾, 亦稱濟北.
謝鯤, 字幼輿, 亦稱豫章.
賀循, 字彦先, 亦稱司空.
劉寔, 字子眞, 亦稱太常.
王澄, 字平子, 亦稱阿平.
王敦, 字處仲, 亦稱阿黑, 亦稱大將軍.
王導, 字茂弘, 亦稱阿龍, 亦稱丞相, 亦稱王公, 亦稱冶城公.
庾亮, 字元規, 亦稱庾公, 亦稱文康.
祖納, 字士言, 亦稱光祿.
顔含, 字弘都, 亦稱光祿.
王湛, 字處沖, 亦稱汝南.
諸葛恢, 字道明, 亦稱諸葛令.
謝裒, 字幼儒, 亦稱尙書.
庾敳, 字子嵩, 亦稱中郎.
庾琮, 字子躬, 亦稱庾公.
祖逖, 字士雅, 亦稱車騎.
衛玠, 字叔寶, 亦稱虎, 亦稱洗馬.
周顗, 字伯仁, 亦稱僕射, 亦稱周侯.
陶侃, 字士行, 亦稱陶公.
桓彛, 字茂倫, 亦稱廷尉.
殷羨, 字洪喬, 亦稱豫章.
褚裒, 字季野, 亦稱褚公, 亦稱太傅.
殷融, 字洪遠, 亦稱太常.
劉惔, 字眞長, 亦稱劉尹, 亦稱丹陽.
王承, 字安期, 亦稱參軍, 亦稱東海.
韓伯, 字康伯, 亦稱豫章, 亦稱太常.
許詢, 字玄度, 亦稱阿訥, 亦稱許掾.
顧和, 字君孝, 亦稱司空.
郗鑒, 字道徽, 亦稱太尉, 亦稱太傅, 亦稱司空.
謝尙, 字仁祖, 亦稱堅石, 亦稱鎭西.
謝奕, 字無奕, 亦稱安西.
謝奉, 字弘道, 亦稱安南.
謝安, 字安石, 亦稱太傅, 亦稱謝公, 亦稱文靖, 亦稱僕射, 亦稱侍中.
謝萬, 字萬石, 亦稱阿萬, 亦稱中郎.
王述, 字懷祖, 亦稱藍田, 亦稱宛陵.
王胡之, 字修齡, 亦稱阿齡, 亦稱司州.
王濛, 字仲祖, 亦稱阿奴, 亦稱長史.
江虨, 字思玄, 亦稱僕射.
王微, 字幼仁, 亦稱荊産.
孫綽, 字興公, 亦稱長樂.
郗愔, 字方回, 亦稱司空, 亦稱郗公.
桓溫, 字元子, 亦稱桓公, 亦稱征西, 亦稱大司馬, 亦稱宣武.
孫盛, 字安國, 亦稱孫監.
王羲之, 字逸少, 亦稱右軍, 亦稱臨川.
荀羨, 字令則, 亦稱中郎.
庾翼, 字穉恭, 亦稱征西, 亦稱小庾.
何充, 字次道, 亦稱驃騎, 亦稱揚州.
蔡謨, 字道明, 亦稱蔡公, 亦稱司徒.
阮裕, 字思曠, 亦稱光祿, 亦稱阮公.
庾氷, 字季堅, 亦稱司空.
袁宏, 字彦伯, 亦稱虎.
桓冲, 字玄叔, 亦稱車騎.
殷浩, 字淵源, 亦稱阿源, 亦稱揚州, 亦稱中軍.
陸玩, 字士瑤, 亦稱太尉.
郗曇, 字重熙, 亦稱中郎.
王修, 字敬仁, 亦稱苟子.
王蘊, 字叔仁, 亦稱阿興, 亦稱光祿.
謝玄, 字幼度, 亦稱遏, 亦稱車騎.
王恬, 字敬豫, 亦稱王螭, 亦稱阿螭.
王洽, 字敬和, 亦稱領軍, 亦稱車騎.
王薈, 字敬文, 亦稱小奴, 亦稱衛軍.
謝琰, 字瑗度, 亦稱末婢, 亦稱望蔡.
桓謙, 字敬祖, 亦稱中軍.
謝朗, 字長度, 亦稱胡兒, 亦稱東陽.
袁山松, 亦稱府君.
桓伊, 字叔夏, 亦稱子野, 亦稱護軍.
戴逵, 字安道, 亦稱戴公.
王凝之, 字叔平, 亦稱江州.
王徽之, 字子猷, 亦稱黃門.
郗恢, 字道㣧, 亦稱尙書.
王坦之, 字文度, 亦稱中郎, 亦稱安北, 亦稱北中郎.
王獻之, 字子敬, 亦稱阿敬, 亦稱王令.
張玄之, 字祖希, 亦稱冠軍, 亦稱吳興.
王珣, 字元琳, 亦稱法護, 亦稱東亭.
王珉, 字季琰, 亦稱僧彌, 亦稱小令.
王忱, 字佛大, 亦稱王大, 亦稱阿大, 亦稱建武.
桓玄, 字敬道, 亦稱靈寶, 亦稱南郡.
王廞, 字伯輿, 亦稱長史.
殷仲堪, 亦稱荊州.
王謐, 字雅遠, 亦稱武岡, 亦稱司徒.
陶潛, 字淵明, 亦稱靖節, 亦稱徵士.
謝混, 字叔源, 亦稱益壽, 亦稱望蔡.
謝靈運, 亦稱康樂.
陸慧曉, 字叔明, 亦稱東海.
張融, 字思光, 亦稱黃門.
袁粲, 字景倩, 亦稱袁尹, 亦稱司徒.
褚淵, 字彦回, 亦稱司徒, 亦稱太宰.
王儉, 字仲寶, 亦稱僕射, 亦稱文憲.
劉孝綽, 字孝綽, 亦稱阿士, 亦稱長史.
陶弘景, 字通明, 亦稱隱居, 亦稱貞白.
法汰, 亦稱汰法師.
竺法深, 亦稱深公.
支遁, 字道林, 亦稱林公, 亦稱支公, 亦稱支法師, 亦稱林道人, 亦稱林法師.


부 이름 설명
곽태郭泰(128~169)는 임종林宗이고, 유도有道라고도 부른다.
순숙荀淑(83~149)은 계화季和이고, 낭릉朗陵이라고도 부른다.
채옹蔡邕(133~192)은 백개伯喈이고, 중랑中郞이라고도 부른다.
양표楊彪(142~225)는 문선文先이고, 태위太尉라고도 부른다.
조조曹操(155~220)는 맹덕孟德이고, 조공曹公이라고도 부르고, 무제武帝라고도 부르고, 위공魏公이라고도 부르고, 태조太祖라고도 부른다.
유표劉表(142~208)는 경승景升이고, 형주荊州라고도 부른다.
유비劉備(161~223)는 현덕玄德이고, 예주豫州라고도 부르고, 선주先主라고도 부른다.
장소張昭(156~236)는 자포子布이고, 보오輔吳라고도 부른다.
순욱荀彧(163~212)은 문약文若이고, 영군令君이라고도 부른다.
진군陳群(?~237)은 장문長文이고, 사공司空이라고도 부른다.
손책孫策(175~200)은 백부伯符이고, 토역討逆이라고도 부른다.
조비曹丕(187~226)는 문제文帝라고도 부르고, 오관장五官將이라고도 부른다.
조식曹植(192~232)은 자건子建이고, 임치후臨淄侯라고도 부른다.
사마사司馬師(208~255)는 자원子元이고, 사마경왕司馬景王이라고도 부르고, 진경왕晉景王이라고도 부른다.
사마소司馬昭(211~265)는 자상子上이고, 사마문왕司馬文王이라고도 부르고, 진문왕晉文王이라고도 부른다.
간문제简文帝 사마욱司馬昱(320~372)은 도만道萬이고, 문제文帝라고도 부르고, 회계왕會稽王이라고도 부르고, 상왕相王이라고도 부르고, 무군撫軍이라고도 부른다.
사마희司馬晞(316~381)는 태재太宰라고도 부르고, 무릉왕武陵王이라고도 부른다.
사마도자司馬道子(364~403)는 태부太傅라고도 부르고 회계왕會稽王이라고도 부른다.
왕상王祥(184?~268)은 휴징休徵이고, 태보太保라고도 부른다.
왕혼王渾(223~297)은 현충玄冲이고, 사도司徒라고도 부르고, 경릉京陵이라고도 부른다.
왕창王昶(?~259)은 문서文舒이고, 사공司空이라고도 부른다.
배휘裴徽(?~?)는 문계文季이고, 기주冀州라고도 부르고, 사군使君이라고도 부른다.
하안何晏(?~249)은 평숙平叔이고, 상서尙書라고도 부른다.
등양鄧颺(?~249)은 현무玄茂이고, 상서尙書라고도 부른다.
장화張華(232~300)는 무선茂先이고, 장공張公이라고도 부른다.
배외裴頠(267~300)는 일민逸民이고, 복야僕射라고도 부르고 성공成公이라고도 부른다.
육기陸機(261~303)는 사형士衡이고, 평원平原이라고도 부른다.
육운陸雲(262~303)은 사룡士龍이고, 청하淸河라고도 부른다.
채홍蔡洪(?~?)은 숙개叔開이고, 수재秀才라고도 부른다.
양호羊祜(221~278)는 숙자叔子이고, 태부太傅라고도 부르고, 양공羊公이라고도 부른다.
왕연王衍(256~311)은 이보夷甫이고, 태위太尉라고도 부른다.
완적阮籍(210~263)은 사종嗣宗이고, 보병步兵이라고도 부른다.
혜강嵇康(223~263)은 숙야叔夜이고, 중산中散이라고도 부르고, 혜공嵇公이라고도 부른다.
왕융王戎(234~305)은 준충濬沖이고, 안풍安豐이라고도 부른다.
산도山濤(205~283)는 거원巨源이고, 사도司徒라고도 부르고, 산공山公이라고도 부른다.
배해裴楷(237~291)는 숙칙叔則이고, 배령裴令이라고도 부르고, 영공令公이라고도 부른다.
왕예王乂(?~?)는 숙원叔元이고, 평북平北이라고도 부른다.
악광樂廣(?~304)은 언보彦輔이고, 악령樂令이라고도 부른다.
순욱荀勖(?~289)은 공회公曾이고, 제북濟北이라고도 부른다.
사곤謝鯤(281~323)은 유여幼輿이고, 예장豫章이라고도 부른다.
하순賀循(260~319)은 언선彦先이고, 사공司空이라고도 부른다.
유식劉寔(220~310)은 자진子眞이고, 태상太常이라고도 부른다.
왕징王澄(269~312)은 평자平子이고, 아평阿平이라고도 부른다.
왕돈王敦(266~324)은 처중處仲이고, 아흑阿黑이라고도 부르고, 대장군大將軍이라고도 부른다.
왕도王導(276~339)는 무홍茂弘이고, 아룡阿龍이라고도 부르고, 승상丞相이라고도 부르고, 왕공王公이라고도 부르고, 야성공冶城公이라고도 부른다.
유량庾亮(289~340)은 원규元規이고, 유공庾公이라고도 부르고, 문강文康이라고도 부른다.
조납祖納(?~?)은 사언士言이고, 광록光祿이라고도 부른다.
안함顔含(?~?)은 홍도弘都이고, 광록光祿이라고도 부른다.
왕담王湛(?~?)은 처충處沖이고, 여남汝南이라고도 부른다.
제갈회諸葛恢(284~345)는 도명道明이고, 제갈령諸葛令이라고도 부른다.
사부謝裒(?~?)는 유유幼儒이고, 상서尙書라고도 부른다.
유애庾敳(262~311)는 자숭子嵩이고, 중랑中郎이라고도 부른다.
유종庾琮(?~?)은 자궁子躬이고, 유공庾公이라고도 부른다.
조적祖逖(266~321)은 사아士雅이고, 거기車騎라고도 부른다.
위개衛玠(286~312)는 숙보叔寶이고, 라고도 부르고, 세마洗馬라고도 부른다.
주의周顗(269~322)는 백인伯仁이고, 복야僕射라고도 부르고, 주후周侯라고도 부른다.
도간陶侃(259~334)은 사행士行이고, 도공陶公이라고도 부른다.
환이桓彛(276~328)는 무윤茂倫이고, 정위廷尉라고도 부른다.
은선殷羨(?~?)은 홍교洪喬이고, 예장豫章이라고도 부른다.
저부褚裒(303~350)는 계야季野이고, 저공褚公이라고도 부르고, 태부太傅라고도 부른다.
은융殷融(?~?)은 홍원洪遠이고, 태상太常이라고도 부른다.
유담劉惔(?~?)은 진장眞長이고, 유윤劉尹이라고도 부르고, 단양丹陽이라고도 부른다.
왕승王承(?~?)은 안기安期이고, 참군參軍이라고도 부르고, 동해東海라고도 부른다.
한백韓伯(332~380)은 강백康伯이고, 예장豫章이라고도 부르고, 태상太常이라고도 부른다.
허순許詢(?~?)은 현도玄度이고, 아눌阿訥이라고도 부르고, 허연許掾이라고도 부른다.
고화顧和(288~351)는 군효君孝이고, 사공司空이라고도 부른다.
치감郗鑒(269~339)은 도휘道徽이고, 태위太尉라고도 부르고, 태부太傅라고도 부르고, 사공司空이라고도 부른다.
사상謝尙(308~357)은 인조仁祖이고, 견석堅石이라고도 부르고, 진서鎭西라고도 부른다.
사혁謝奕(?~358)은 무혁無奕이고, 안서安西라고도 부른다.
사봉謝奉(?~?)은 홍도弘道이고, 안남安南이라고도 부른다.
사안謝安(320~385)은 안석安石이고, 태부太傅라고도 부르고, 사공謝公이라고도 부르고, 문정文靖이라고도 부르고, 복야僕射라고도 부르고, 시중侍中이라고도 부른다.
사만謝萬(320~361)은 만석萬石이고, 아만阿萬이라고도 부르고, 중랑中郎이라고도 부른다.
왕술王述(303~368)은 회조懷祖이고, 남전藍田이라고도 부르고, 완릉宛陵이라고도 부른다.
왕호지王胡之(?~348)는 수령修齡이고, 아령阿齡이라고도 부르고, 사주司州라고도 부른다.
왕몽王濛(309~347)은 중조仲祖이고, 아노阿奴라고도 부르고, 장사長史라고도 부른다.
강반江虨(?~368)은 사현思玄이고, 복야僕射라고도 부른다.
왕미王微(?~?)는 유인幼仁이고, 형산荊産이라고도 부른다.
손작孫綽(314~371)은 흥공興公이고, 장락長樂이라고도 부른다.
치음郗愔(313~384)은 방회方回이고, 사공司空이라고도 부르고, 치공郗公이라고도 부른다.
환온桓溫(312~373)은 원자元子이고, 환공桓公이라고도 부르고, 정서征西라고도 부르고, 대사마大司馬라고도 부르고, 선무宣武라고도 부른다.
손성孫盛(302~373)은 안국安國이고, 손감孫監이라고도 부른다.
왕희지王羲之(303~361 또는 321~379)는 일소逸少이고, 우군右軍이라고도 부르고, 임천臨川이라고도 부른다.
순선荀羨(322~359)은 영칙令則이고, 중랑中郎이라고도 부른다.
유익庾翼(305~345)은 치공穉恭이고, 정서征西라고도 부르고, 소유小庾라고도 부른다.
하충何充(292~346)은 차도次道이고, 표기驃騎라고도 부르고, 양주揚州라고도 부른다.
채모蔡謨(281~356)는 도명道明이고, 채공蔡公이라고도 부르고, 사도司徒라고도 부른다.
원유阮裕(?~?)는 사광思曠이고, 광록光祿이라고도 부르고, 원공阮公이라고도 부른다.
유빙庾氷(296~344)은 계견季堅이고, 사공司空이라고도 부른다.
원굉袁宏(328~376)은 언백彦伯이고, 라고도 부른다.
환충桓冲(328~384)은 현숙玄叔이고, 거기車騎라고도 부른다.
은호殷浩(?~356)는 연원淵源이고, 아원阿源이라고도 부르고, 양주揚州라고도 부르고, 중군中軍이라고도 부른다.
육완陸玩(278~342)은 사요士瑤이고, 태위太尉라고도 부른다.
치담郗曇(320~361)은 중희重熙이고, 중랑中郎이라고도 부른다.
왕수王修(334~357)는 경인敬仁이고, 구자苟子라고도 부른다.
왕온王蘊(330~384)은 숙인叔仁이고, 아흥阿興이라고도 부르고, 광록光祿이라고도 부른다.
사현謝玄(343~388)은 유도幼度이고, 이라고도 부르고, 거기車騎라고도 부른다.
왕념王恬(?~?)은 경예敬豫이고, 왕리王螭라고도 부르고, 아리阿螭라고도 부른다.
왕흡王洽(323~358)은 경화敬和이고, 영군領軍이라고도 부르고, 거기車騎라고도 부른다.
왕회王薈(?~?)는 경문敬文이고, 소노小奴라고도 부르고, 위군衛軍이라고도 부른다.
사염謝琰(352~400)은 원도瑗度이고, 말비末婢라고도 부르고, 망채望蔡라고도 부른다.
환겸桓謙(?~410)은 경조敬祖이고, 중군中軍이라고도 부른다.
사랑謝朗(?~?)은 장도長度이고, 호아胡兒라고도 부르고, 동양東陽이라고도 부른다.
(?~401)은 부군府君이라고도 부른다.
환이桓伊(?~391)는 숙하叔夏이고, 자야子野라고도 부르고, 호군護軍이라고도 부른다.
대규戴逵(326~396)는 안도安道이고, 대공戴公이라고도 부른다.
왕응지王凝之(334~399)는 숙평叔平이고, 강주江州라고도 부른다.
왕휘지王徽之(338~386)는 자유子猷이고, 황문黃門이라고도 부른다.
치회郗恢(?~398)는 도윤道㣧이고, 상서尙書라고도 부른다.
왕탄지王坦之(330~375)는 문도文度이고, 중랑中郎이라고도 부르고, 안북安北이라고도 부르고, 북중랑北中郎이라고도 부른다.
왕헌지王獻之(344~386)는 자경子敬이고, 아경阿敬이라고도 부르고, 왕령王令이라고도 부른다.
장현지張玄之(?~?)는 조희祖希이고, 관군冠軍이라고도 부르고, 오흥吳興이라고도 부른다.
왕순王珣(349~400)은 원림元琳이고, 법호法護라고도 부르고, 동정東亭이라고도 부른다.
왕민王珉(351~388)은 계염季琰이고, 승미僧彌라고도 부르고, 소령小令이라고도 부른다.
왕침王忱(?~392)은 불대佛大이고, 왕대王大라고도 부르고, 아대阿大라고도 부르고, 건무建武라고도 부른다.
환현桓玄(369~404)은 경도敬道이고, 영보靈寶라고도 부르고, 남군南郡이라고도 부른다.
왕흠王廞(?~?)은 백여伯輿이고, 장사長史라고도 부른다.
은중감殷仲堪(?~399)은 형주荊州라고도 부른다.
왕밀王謐(360~408)은 이고, 무강武岡이라고도 부르고, 사도司徒라고도 부른다.
정절靖節이라고도 부르고, 징사徵士라고도 부른다.
사혼謝混(?~412)은 숙원叔源이고, 익수益壽라고도 부르고, 망채望蔡라고도 부른다.
사영운謝靈運(385~433)은 강락康樂이라고도 부른다.
육혜효陸慧曉(?~?)는 숙명叔明이고, 동해東海라고도 부른다.
장융張融(444~497)은 사광思光이고, 황문黃門이라고도 부른다.
원찬袁粲(420~477)은 경천景倩이고, 원윤袁尹이라고도 부르고, 사도司徒라고도 부른다.
저연褚淵(435~482)은 언회彦回이고, 사도司徒라고도 부르고, 태재太宰라고도 부른다.
왕검王儉(452~489)은 중보仲寶이고, 복야僕射라고도 부르고, 문헌文憲이라고도 부른다.
유효작劉孝綽(?~539)은 효작孝綽이고, 아사阿士라고도 부르고, 장사長史라고도 부른다.
도홍경陶弘景(456~536)은 통명通明이고, 은거隱居라고도 부르고, 정백貞白이라고도 부른다.
법태法汰(320~387)는 태법사汰法師라고도 부른다.
축법심竺法深(?~?)은 심공深公이라고도 부른다.
지둔支遁(314~366)은 도림道林이고, 임공林公이라고도 부르고, 지공支公이라고도 부르고, 지법사支法師라고도 부르고, 임도인林道人이라고도 부르고, 임법사林法師라고도 부른다.


역주
역주1 袁山松 : ≪全晉文≫ 권56에는 ‘袁崧’으로 되어 있고, 자가 ‘山松’ 또는 ‘喬孫’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丁國鈞의 ≪補晉書藝文志≫ 〈乙部史錄〉에 ‘崧’으로 되어 있는 것은 ‘山松’을 書寫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류라고 하였다.
역주2 雅遠 : ≪晉書≫ 〈王謐傳〉에는 ‘稚遠’으로 되어 있다.
역주3 陶潛……淵明이고 : 일설에는 이름이 ‘淵明’이고, 자가 ‘元亮’이라고 한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