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豫章太守顧劭注+① 環濟吳紀曰 “劭, 字孝則, 吳郡人. 年二十七, 起家爲豫章太守, 擧善以敎民, 風化大行.” 是雍之子 在郡卒한대 盛集僚屬하여 自圍棋러니 外啓信至로되 而無兒書하니 雖神氣不變이나 而心了其故하여 以爪搯掌하여 血流沾褥이라 賓客旣散 方歎曰
已無延陵之高하니 豈可有喪明之責注+② 禮記曰 “延陵季子適齊, 及其反也, 其長子死, 葬於嬴․博之間. 孔子曰 ‘延陵季子, 吳之習於禮者也.’ 往而觀其葬焉. 其坎深不至於泉, 其歛以時服, 旣葬而封, 廣輪掩坎, 其高可隱也. 旣封, 左袒, 右還其封, 且號者三曰 ‘骨肉歸復於土, 命也, 若魂氣, 則無不之也.’ 而遂行. 孔子曰 ‘延陵季子之於禮也, 其合矣乎.’” “子夏哭其子, 而喪其明. 曾子吊之曰 ‘朋友喪明, 則哭之.’ 曾子哭, 子夏亦哭, 曰 ‘天乎. 予之無罪也.’ 曾子怒曰 ‘商, 汝何無罪也? 吾與汝事夫子於洙泗之間, 退而老於西河之上, 使西河之民, 疑汝於夫子, 爾罪一也. 喪爾親, 使民未有聞焉, 爾罪二也. 喪爾子, 喪爾明, 爾罪三也.’ 子夏投其杖而拜曰 ‘吾過矣, 吾過矣.’”이리오하고
於是 豁情散哀하니 顔色自若하다


12-4 예장태수豫章太守 고소顧劭注+환제環濟에 말하였다. “고소顧劭효칙孝則으로, 오군吳郡 사람이다. 27세에 예장태수豫章太守로 벼슬을 시작했는데, 훌륭한 사람을 등용하여 백성을 교육하니 교화가 크게 시행되었다.” 의 아들이다. 고소가 예장군 〈관사官舍〉에서 세상을 떠났을 때 고옹은 속관들을 성대히 모아놓고 직접 바둑을 두고 있었다. 심부름꾼이 도착했다고 밖에서 아뢰었는데 아들의 편지가 없자, 비록 표정이 변하지는 않았으나 빈객들이 떠난 뒤에 비로소 한탄하였다.
“이왕에 의 고상함이 없으니, 어찌 의 질책이 있을 수 있겠는가.”注+② ≪예기禮記≫ 〈단궁檀弓 〉에 말하였다. “연릉계자延陵季子나라에 갔다가 돌아올 때에 그 맏아들이 죽자 영현嬴縣박현博縣 사이에서 장례를 치렀다. 공자孔子가 ‘연릉계자는 나라 사람 가운데 를 익혀 잘 알고 있는 사람이다.’ 하고는 가서 장례식을 관찰하였다. 그 묘혈墓穴의 깊이는 물이 솟는 곳까지 이르지 않고 염습斂襲에는 평상복을 사용하며, 매장한 뒤에 봉분封墳할 때에는 그 가로와 세로가 묘혈을 덮을 정도이고 그 높이가 손으로 짚을 정도였다. 봉분이 끝나자 왼쪽 소매를 드러낸 채 오른쪽으로 그 봉분을 돌면서 세 번 외치기를 ‘골육骨肉이 흙속으로 돌아가는 것은 천명이지만, 혼령의 경우는 가지 못할 곳이 없구나.’ 하고는 마침내 떠났다. 공자가 ‘연릉계자는 에 대하여 합당하구나.’ 하였다.”
〈또 〈단궁 상〉에 말하였다.〉 “자하子夏가 그 아들의 죽음을 하다가 〈너무 비통하여〉 눈이 멀었다. 증자曾子가 조문하면서 ‘벗이 눈이 멀면 그를 위해 곡한다.’ 하고는 증자가 곡을 하자, 자하도 곡하면서 ‘천명이로다. 나에게는 죄가 없다.’ 하였다. 증자가 화를 내면서 ‘(자하)이여, 그대에게 어찌 죄가 없겠는가. 내가 그대와 함께 수수洙水사수泗水의 사이에서 선생님(공자孔子)을 섬겼는데, 그대는 물러나 서하西河 주변에서 노년을 보내면서 서하의 사람들로 하여금 그대를 선생님으로 여기게 하였으니, 이것이 그대의 첫 번째 죄이다. 그대의 부친을 여의였을 때 사람들에게 〈그대가 장례를 훌륭하게 치렀다는 칭찬을 듣지〉 못하였으니, 이것이 그대의 두 번째 죄이다. 그대의 아들을 잃어 눈이 멀었으니, 이것이 그대의 세 번째 죄이다.’ 하니, 자하가 그 상장喪杖을 던지고 절하고는 ‘내가 잘못하였네. 내가 잘못하였네.’ 하였다.”
이에 마음을 크게 먹고 슬픔을 떨쳐버리니 안색이 태연자약해졌다.


역주
역주1 吳紀 : 晉나라 太學博士 環濟가 편찬한 吳(三國)나라 역사를 다룬 역사서이다. ≪隋書≫ 〈經籍志〉에는 9권, ≪舊唐書≫ 〈경적지〉와 ≪新唐書≫ 〈藝文志〉에는 10권이라 하였는데,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역주2 顧雍 : 168~243. 吳郡 吳縣 사람으로, 字는 元歎이다. 젊을 때 蔡邕에게 수학하고, 약관의 나이에 合肥縣長이 되었다. 여려 현장을 역임했는데 그때마다 치적을 이루고, 会稽郡丞이 되었을 때는 태수의 직임을 대신하여 도적들을 토벌하였다. 이후 孫權의 막부로 들어가 領尙書令․太常丞相․平尙書事 등을 역임하였다.
역주3 마음으로는……적셨다 : 顧雍은 이전부터 아들 顧劭의 병이 위중하다는 것을 들었기 때문에 그 이유를 안 것이다.(≪世說箋本≫)
역주4 延陵 : 春秋 吳나라 季札을 이른다. 그는 吳王 壽夢의 넷째 아들로, 어질다는 명성이 있어서 수몽이 왕으로 세우고자 하였으나 사양한 채 받지 않자 延陵에 봉했기 때문에 延陵季子라고 불렸다.
역주5 喪明 : 孔子의 제자 子夏가 그 아들이 죽자 너무 애통한 나머지 눈이 멀었는데, 曾子가 이에 대해 비판하였다.(≪禮記≫ 〈檀弓 上〉)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