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黃太史云
士大夫 三日不讀書 則理義 不交於胷中하여 便覺面貌可憎하고 語言無味注+① 山谷年譜曰 “公諱, 庭堅, 字魯直, 分寧人. 治平丙午, 赴鄕舉, 詩題出‘野無遺賢’. 廬陵李詢讀先生詩中兩句云 ‘渭水空藏月, 傅巖深鎖烟.’ 擊節稱賞云 ‘此人不惟文理冠場, 異日當以詩名擅四海.’ 遂膺首選, 歷官著作佐郞․兼史館.”라하다


5-23【황태사黃太史(황정견黃庭堅)가 말했다.
사대부士大夫가 사흘 동안 독서를 하지 않으면 가 가슴속에서 교류交流하지 않아 바로 모습이 가증可憎스럽고 말에 별다른 맛이 없는 듯 느껴진다.”注+① ≪산곡연보山谷年譜≫에 말하였다. “정견庭堅이고 노직魯直으로 분녕分寧 사람이다. 치평治平 병오년丙午年(1066)에 향시鄕試에 응시했는데 시제詩題로 ‘재야에 남겨진 현자賢者가 없다.[야무유현野無遺賢]’가 나왔다. 여릉廬陵이순李詢선생先生의 시 중 [위수공장월渭水空藏月 부암심쇄연傅巖深鎖烟]’라는 두 구절을 읽고는 무릎을 치며 ‘이 사람은 문리가 응시생 가운데 으뜸일 뿐만이 아니라 나중에 시명詩名사해四海에 떨칠 것이다.’라고 하였다. 마침내 수석으로 뽑혔으며, 저작좌랑著作佐郞겸사관兼史館을 거쳤다.”
황정견黃庭堅황정견黃庭堅


역주
역주1 渭水는……잠겼네 : 위수는 周 文王이 姜太公을 얻은 곳이고, 부암은 殷 高宗이 傅說(부열)을 찾은 곳으로 모두 현자를 얻은 곳이다. 두 구절 모두 훌륭한 인재들이 재야에 있으면서 등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