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4. 楚有士하야 在家而養其父하야 孝聞於楚國하니
王欲授之相한대 申鳴辭不受하다
其父曰 王欲相汝어늘 汝何不受乎
申鳴對曰 舍父之孝子하고 而爲王之忠臣이면 何也잇고
其父曰 使有祿於國하고 하야 汝樂이면 吾無憂矣리니 吾欲汝之相也하노라
申鳴曰 諾다하고 遂入朝하니 楚王因授之相하다
居三年 白公爲亂하야하다
申鳴將往死之하니 父止之曰 棄父而死 其可乎
申鳴曰 聞夫仕者 身歸於君하고 而祿歸於親이라하니
今旣去事君하니 得無死其難乎잇가하고
遂辭而往하야 因以兵圍之하다
白公謂曰 申鳴者 天下之勇士也 今以兵圍我하니 吾爲之奈何
石乞曰 申鳴者 天下之孝子也
往劫其父以兵하면 申鳴聞之必來하리니 因與之語하소서
白公曰 善하다하고 則往取其父하야 持之以兵하고 告申鳴曰
子與吾 吾與子分楚國이어니와 子不與吾 子父則死矣리라
申鳴流涕而應之曰
始吾父之孝子也 今吾君之忠臣也
吾聞之也호니 食其食者 死其事하고 受其祿者 畢其能이라하니
今吾已不得爲父之孝子矣 乃君之忠臣也 吾何得以全身이리오하고
援桴鼓之하야 遂殺白公이나 其父亦死하다
王賞之金百斤한대 申鳴曰
食君之食하고 避君之難이면 非忠臣也 定君之國하야 殺臣之父하니 非孝子也니이다
名不可兩立이요 行不可兩全也
如是而生이면 何面目으로 立於天下리오하고
遂自殺也하다


나라에 신명申鳴이라는 선비가 있어, 집에 있으면서 아버지를 봉양하여 효성이 온 초나라에 소문이 났다.
이 재상을 제수하려고 하자 신명은 사양하고 받지 않았다.
그의 아버지가 물었다. “왕이 너를 재상으로 삼으려 하는데 너는 어찌 받지 않느냐?”
신명이 대답하였다. “아버지를 봉양하는 효자孝子를 버리고 왕의 충신忠臣이 되면 뭐하겠습니까!”
그의 아버지는 말했다. “가령 국가의 봉록俸祿을 먹고 조정에서 의리義理를 세워 네가 즐거우면 나는 걱정이 없을 것이니, 나는 네가 재상이 되기를 바란다.”
신명이 “좋습니다.” 하고 마침내 조정에 들어가니, 초왕楚王이 그대로 재상에 제수하였다.
3년이 지난 뒤, 백공白公이 난을 일으켜 사마司馬 자기子期를 죽였다.
신명이 난이 일어난 곳에 가서 죽으려 하니 아버지가 만류하며 말했다. “아비를 버리고 가서 죽으면 그것이 옳겠느냐?”
신명이 말했다. “들으니 ‘벼슬하는 사람은, 몸은 임금에게 귀속시키고 봉록은 어버이에게 귀속시킨다.’고 합니다.
저는 지금 아버지를 버리고 임금을 섬기고 있으니, 임금의 에 죽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그러고는 마침내 아버지를 하직하고 이 일어난 곳으로 가서 즉시 군대를 거느리고 백공을 포위하였다.
백공이 석걸石乞에 말했다. “신명은 천하의 용사勇士다. 지금 군대를 거느리고 나를 포위하고 있으니 나는 어쩌면 좋겠나?”
석걸이 말했다. “신명은 천하의 효자孝子입니다.
가서 그의 아버지를 무력武力으로 협박하면 신명이 소문을 듣고 반드시 올 것이니, 그 기회를 이용하여 그와 담판을 하십시오.”
백공이 “좋다.” 하고는 즉시 가서 그의 아버지를 잡아서 무기로 위협하고 신명에게 알렸다.
“그대가 나를 도우면 나는 그대와 초나라를 나누어 소유하겠지만, 그대가 나를 돕지 않으면 그대의 아비는 죽게 될 것이다.”
신명은 눈물을 흘리며 응답하였다.
“처음에는 내가 우리 아버지의 효자孝子였으나, 지금은 우리 임금의 충신忠臣이다.
나는 들으니 ‘남의 밥을 먹는 사람은 그 사람의 일을 위해 죽고, 남의 봉록을 받는 사람은 자기의 재능을 다한다.’ 하였다.
지금 나는 이미 아버지의 효자가 되지 못하고, 바로 임금의 충신이 되었으니 내 어찌 몸을 보전하겠는가?”
북채를 잡고 진격의 북을 쳐서 마침내 백공을 죽였으나 그의 아버지도 죽었다.
왕이 상으로 백 근을 주자, 신명이 말했다.
“임금의 밥을 먹고 임금의 환난患難을 피하면 충신이 아니고, 임금의 국가를 안정시킨다 하여 저의 아버지를 죽였으니 효자가 아닙니다.
명분名分은 두 가지를 같이 세울 수가 없고, 행실行實은 두 가지를 온전히 할 수가 없습니다.
이와 같이 하고 산다면 무슨 면목으로 천하에 설 수 있겠습니까?”
그러고는 마침내 자살하였다.


역주
역주1 申鳴 : 춘추시대 楚나라 사람이다. 孝行이 있어 楚王이 左司馬로 삼았다. 白公 勝의 난 때 白公 勝을 죽여 楚王이 상을 내렸으나, 孝와 忠을 모두 지키지 못했다고 비관하며 자결하였다. 《韓詩外傳 10》‧《尙友錄 4》
역주2 立義於庭 : 《韓詩外傳》 권10에는 ‘有位於廷’으로 되어 있다.
역주3 司馬子期 : 춘추시대 楚나라 司馬 벼슬을 한 사람으로, 令尹 子西의 아우이다. 白公의 난에 형 令尹 子西와 함께 죽었다. 《春秋左氏傳 16년》‧《韓詩外傳 10》
역주4 (子)[父] : 저본에는 ‘子’로 되어 있으나, 《冊府元龜》 권739에 의거하여 ‘父’로 바로잡았다.
역주5 石乞 : 白公 勝의 家臣이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