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6. 之爲公子也之父이라가 不勝하다
及卽位하야 乃掘而刖之하고 而使歜爲僕하며之妻하고 而使織爲하다
公游于할새 二人浴于池러니 歜以鞭抶織한대 織怒하다
歜曰 人奪女妻로되 而不敢怒러니 一抶女 庸何傷
織曰 與刖其父而不病으론 奚若
乃謀殺公하야 納之竹中하다


제 의공齊 懿公공자公子였을 때 병촉邴歜의 아버지와 전지田地를 빼앗으려 다투다가 이기지 못했다.
즉위한 뒤에 그 아버지의 시체를 파내어 발목을 자르고 병촉을 마부[]로 삼았으며, 용직庸織의 아내를 빼앗고 용직을 참승參乘으로 삼았다.
의공懿公신지申池에서 놀 적에 이 두 사람도 신지에서 목욕하고 있었는데, 병촉이 말채찍으로 용직을 치자 용직이 노하였다.
병촉이 물었다. “남이 네 아내를 빼앗아가도 감히 노하지 않더니 너를 한 번 친 것이 뭐가 해로우냐?”
그러자 용직이 대답했다. “자기 아버지의 발목을 잘랐는데도 원한 품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어떠하냐?”
두 사람이 마침내 의공을 계획적으로 시해弑害하여 시체를 대밭 속에 버렸다.


역주
역주1 齊懿公 : 춘추시대 齊나라 군주로 이름은 商人이다. 桓公의 아들이고, 昭公의 아우이다. 환공이 죽은 뒤 齊侯의 자리를 차지하려 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자 비밀히 賢士들과 結交하였다. 昭公이 죽고 태자 舍가 즉위하였으나 세력이 약하여 고립되자 舍를 죽이고 스스로 즉위하였다. 《春秋左氏傳 文公 14~18년》‧《史記 齊太公世家》
역주2 邴歜 : 사람 이름이다. 평생 행적은 미상이다.
역주3 爭田 : 田地를 차지하기 위하여 다툰다는 뜻이다. 田을 사냥으로 보아 사냥하여 잡은 짐승을 차지하기 위하여 다툰 일로 해석하기도 하나, 楊伯峻의 《春秋左傳注》를 따라 ‘田地’로 번역하였다.
역주4 庸織 : 사람 이름이다. 《春秋左氏傳》 文公 18년에는 ‘閻織’으로 되어 있다. 평생 행적은 미상이다.
역주5 參乘 : 고대에 수레를 탈 때, 尊者는 왼쪽, 마부는 중앙, 모시는 사람이 오른쪽에 타는데, 이를 參乘이라 한다. 驂乘으로도 쓰며, 陪乘이라고도 한다.
역주6 申池 : 춘추전국시대 齊나라 수도 臨淄의 申門 밖에 있던 연못을 이른다. 지금의 山東省 淄博市 북서쪽에 있었다.
역주7 {孰} : 《說苑纂注》와 《說苑校證》에 모두 《春秋左氏傳》에 ‘孰’자가 없는 데 의거하여 삭제하였기에 따라 삭제하였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