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4. 하니 楚王郊迎至舍하야 問曰
萬乘之國也 齊亦萬乘之國也
常欲相幷하니 爲之奈何
對曰 易知耳
齊使이어든 則楚發五萬人하야 使上將軍將之하시면 至禽將軍首而反耳리이다
齊使田居將이어든 則楚發二十萬人하야 使上將軍將之하면 分別而相去也리이다
齊使이어든 하야 王自出將而忌從하고 相國上將軍爲左右司馬하면
如是則王僅得存耳리이다
於是齊使申孺將이어늘 楚發五萬人하야 使上將軍至하야 擒將軍首反하다
於是 齊王忿然하야 乃更使眄子將하니
楚悉發四封之內하야 王自出將하고 田忌從하며 相國上將軍爲左右司馬하고 益王車屬九乘하야 僅得免耳하다
至舍하야 王北面正領齊袪하고
問曰 先生何知之早也
田忌曰 申孺爲人 侮賢者而輕不肖者하야 賢不肖者 俱不爲用이라 是以亡也
田居爲人 尊賢者而賤不肖者하니 賢者負任하고 不肖者退 是以分別而相去也
眄子之爲人也 尊賢者而愛不肖者하야 賢不肖俱負任이라 是以王僅得存耳니이다


전기田忌나라를 떠나 나라로 달아나니 초왕楚王이 교외까지 나가 맞이하고 관사館舍에 당도하여 물었다.
“초나라는 만승萬乘의 나라이고, 제나라도 만승萬乘의 나라이지요.
그런데 항상 서로 상대를 겸병兼倂하려고 하니 어떻게 대처하면 좋겠소?”
전기는 대답하였다. “이 일은 알기 쉽습니다.
제나라가 신유申孺를 장수로 삼아 파견하거든 초나라는 군사 5만 명을 출동시켜 상장군上將軍을 보내 거느리게 하면, 제나라 장군의 머리를 획득하여 돌아올 수 있을 것입니다.
제나라가 전거田居를 장수로 삼아 파견하거든 초나라는 군사 20만 명을 출동시켜 상장군을 보내 거느리게 하면, 〈승부가 나지 않아〉 서로 나뉘어 떠나갈 것입니다.
제나라가 면자眄子를 장수로 삼아 파견하거든 초나라는 사방 국경 안의 모든 군사를 출동시켜 왕께서 직접 나서 군사를 거느리시고 저 전기田忌도 따르며, 상국相國상장군上將軍을 좌우의 사마司馬로 삼아야 됩니다.
이렇게 하면 왕은 〈겸병당하지 않고〉 겨우 보존될 것입니다.”
이때 제나라가 신유申孺를 장수로 삼아 파견하자 초나라는 군사 5만 명을 출동시켜 상장군이 거느리고 맞아 싸우게 하여 제나라 장군의 머리를 획득하여 돌아왔다.
이에 제왕齊王이 분노하여 다시 면자眄子를 파견해 군사를 거느리게 하였다.
초나라는 사방 국경 안의 군사를 모두 출동시켜 왕이 직접 나서 군사를 거느리고 전기田忌가 따랐으며, 상국相國상장군上將軍이 좌우의 사마司馬가 되고, 왕의 수레에는 아홉 대의 병거兵車를 더 소속시켜서 겨우 〈제나라에 멸망당하는 수치를〉 면하였다.
관사館舍에 도착하여 왕은 북쪽을 향하여 옷깃과 소매를 바로 여미고 물었다.
“선생은 어떻게 이런 결과를 일찌감치 먼저 알았소?”
전기는 말했다. “신유申孺는 사람됨이 어진 이를 업신여기고 불초不肖한 사람을 경시輕視하여 어진 이와 불초한 사람이 모두 그에게 쓰이지 않았기 때문에 망한 것입니다.
전거田居는 사람됨이 어진 이는 존경하지만 불초한 사람은 천시하니 어진 이는 임용되고 불초한 사람은 퇴출되기 때문에 〈승부가 나지 않아〉 서로 나뉘어 떠나가는 것입니다.
면자眄子의 사람됨은 어진 이를 존경하고 불초한 사람을 사랑하여 어진 이나 불초한 사람이 모두 임용되었기 때문에 왕께서 겨우 보존하게 된 것입니다.”


역주
역주1 田忌去齊奔楚 : 田忌는 전국시대 齊나라의 公族이다. 徐州에 封해졌기 때문에 徐州子期라고도 한다. 威王 때 장군이 되어 孫臏을 齊王에게 추천하였다. 魏나라를 포위하여 趙나라를 구원하고, 桂陵에서 魏나라 군대를 패배시켰고, 또 馬陵에서 魏나라 군대를 패배시켰다. 鄒忌와 不和하여 楚나라로 달아났다가 齊 宣王이 즉위하여 다시 불러 장군에 임명하였다. 《史記 魏世家》‧《史記 田敬仲完世家》
역주2 申孺 : 전국시대 齊나라 장군이다. 《戰國策》 〈齊策 1〉에는 申縛으로, 《史記》 〈田敬仲完世家〉에는 申紀로 되어 있다.
역주3 眄子 : 곧 田盼子로, 齊 宣王 때의 장군이다. 《史記》 〈田敬仲完世家〉에는 盼子로 되어 있다.
역주4 〈則〉楚〈悉〉發四封之內 : 저본에 ‘則’자와 ‘悉’자가 없으나, 《群書治要》에 있어서 보충했다는 《說苑校證》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