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2)

설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2. 吳王 有四子하니 長曰謁이요 次曰餘祭 次曰夷昧 次曰季札이니 號曰 最賢하야 三兄皆知之러라
於是王壽夢薨 謁以位讓季子호되 季子終不肯當하다 謁乃爲約曰 季子賢하니 使國及季子 則吳可以興하리라하고
乃兄弟相繼하야 飮食 必祝曰 使吾早死하야 令國及季子라하다
謁死 餘祭立하고 餘祭死 夷昧立하고 夷昧死 次及季子하다 季子時使行하야 不在
曰 我亦兄也라하고 乃自立爲吳王하다 季子使還하야 復事如故하다
謁子曰 以吾父之意 則國當歸季子 以繼嗣之法이면 則我適也 當代之君이니 僚何爲也오하고 於是乃使 刺僚殺之하고 以位讓季子하다
季子曰 爾殺吾君이어늘 吾受爾國이면 則吾與爾爲共篡也 爾殺吾兄이어늘 吾又殺汝 則是昆弟父子相殺無已時也라하고
卒去之延陵하야 終身不入吳하다 君子以其不殺 爲仁이요 以其不取國 爲義라하니라
夫不以國私身하야 捐千乘而不恨하고 棄尊位而無忿이면 可以庶幾矣리라


오왕吳王 수몽壽夢은 네 아들을 두었는데, 장남은 , 차남은 여제餘祭, 삼남은 이매夷昧, 사남은 계찰季札이다. 연릉계자延陵季子라 불렀는데, 그중에 가장 현명하여 세 이 모두 이를 알았다.
이때 오왕 수몽이 죽자, 알이 왕위王位계자季子에게 사양하였으나 계자는 끝까지 받으려고 하지 않았다. 알은 마침내 아우들과 약속하였다. “계자가 현명하니, 나라가 계자에게 전해지면 오나라가 흥성하게 될 것이다.”
그러고는 형제兄弟들이 서로 왕위를 계승해 밥을 먹을 적마다 기도하였다. “나를 빨리 죽게 하여 나라가 계자에게 전해지게 해주소서.”
알이 죽자 여제가 즉위하였고, 여제가 죽자 이매가 즉위하였으며, 이매가 죽은 뒤 차례가 계자에게 이르렀다. 그런데 당시에 계자는 다른 나라에 사신使臣으로 나가 나라 안에 있지 않았다.
그때 서형庶兄가 말했다. “나도 형이다.”그러고는 곧 스스로 즉위하여 오왕이 되었다. 계자는 사신 갔던 일을 마치고 돌아와서 다시 예전의 형들을 섬겼던 것처럼 오왕 요를 섬겼다.
알의 아들 이 말했다. “우리 아버지의 뜻에 의하면 나라가 계자에게 돌아가는 것이 당연하고, 왕위를 계승하는 법도에 의하면 내가 적자嫡子이니, 대신 임금이 되는 것이 당연하다. 요가 어찌 왕이 되겠는가?” 이에 곧 전제專諸를 시켜 요를 찔러 죽이고 왕위를 계자에게 양보하였다.
계자가 말했다. “네가 나의 임금을 죽였는데 내가 네 나라를 받으면 나와 네가 함께 왕위를 찬탈한 것이 되고, 네가 나의 형을 죽였는데 내가 또 너를 죽이면 이는 형제兄弟부자父子가 서로 죽이는 일이 끝날 때가 없게 된다.”
그러고는 마침내 오나라 국도國都를 떠나 연릉延陵에 가서 죽을 때까지 국도國都에 들어가지 않았다. 군자君子는 그가 사람을 죽이지 않은 것은 에 부합하는 행위가 되고, 나라를 차지하지 않은 것은 에 부합하는 행위가 된다고 여겼다.
국가를 이용해 자신의 사사로운 이익을 추구하지 아니하여 천승千乘 제후국을 버리고도 서운하게 여기지 않고, 존귀한 지위를 버리고도 분하게 여기는 마음이 없으면 공평한 행위에 가까울 것이다.


역주
역주1 壽夢 : 춘추시대 吳나라의 王으로, 周章의 14대손이다. 일설에는 孰姑가 바로 壽夢으로, 이름은 乘이라고 한다. 오나라는 수몽이 즉위한 뒤로부터 왕을 稱하였다. 《史記 吳泰伯世家》
역주2 延陵季子 : 吳王 壽夢의 막내아들이다. 이름은 季札, 또는 季子인데 王位를 사양하여 延陵(지금의 江蘇省 常州市)에 봉해졌기 때문에 연릉계자라 한다. 여러 제후국을 방문하고, 魯나라에서 周나라 음악을 듣고 列國의 治亂興亡을 알았다. 徐나라를 지나다가 徐君이 자기의 劍을 탐내자 귀국하는 길에 그 검을 주려고 하였으나 서군이 죽고 없자, 그의 무덤에 검을 걸어두고 돌아갔다. 본서 권7 〈政理〉 41의 주1) 참고. 《春秋左氏傳 襄公 14‧31년, 昭公 27년》‧《史記 吳泰伯世家》
역주3 庶兄僚 : 僚는 壽夢의 庶子로 季札보다 나이가 많기 때문에 庶兄이라 하였다. 僚는 壽夢의 셋째 아들 夷昧(또는 餘昧)가 죽은 뒤 季札이 왕위를 사양하자 스스로 王이 되었으나 公子 光에게 살해되었다. 일설에는 이매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史記 吳泰伯世家》
역주4 : 춘추시대 吳王 闔廬의 이름이다. 본서 권8 〈尊賢〉 05의 주1) 참고.
역주5 專諸(저) : 본서 권12 〈奉使〉 04의 주6) 참고.

설원(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