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5. 子路曰 負重道遠者 不擇地而休하고 家貧親老者 不擇祿而仕니라
昔者由事二親之時 常食之實하고 而爲親負米百里之外러니
親沒之後 南遊於楚하야 從車百乘하고 積粟하야 하고 이나 願食藜藿爲親負米之時호되 不可復得也
枯魚銜索이면 幾何不蠹리오
二親之壽 忽如過隙하니
草木欲長이나 霜露不使하고 賢者欲養이나 二親不待
故曰 家貧親老 不擇祿而仕也니라


자로子路가 말했다. “무거운 짐을 지고 먼 길을 가는 사람은 땅을 가려서 쉬지 않고, 집이 가난하고 늙은 부모父母를 모시는 사람은 녹봉祿俸의 많고 적음을 가리지 않고 벼슬하는 것이다.
예전에 내가 부모를 섬길 때 항상 명아주와 콩잎의 거친 음식을 먹고 부모를 위하여 백 리 밖에서 쌀을 지고 왔었다.
부모가 돌아가신 후에 남쪽의 나라에 가 벼슬하여 백 채의 수레가 뒤를 따르고 만종萬鍾의 곡식을 저장하여 여러 겹으로 깐 자리에 앉고 많은 음식을 벌려놓고 먹었으나, 명아주와 콩잎을 먹고 부모를 위하여 쌀을 짊어지고 싶어도 다시는 되지 않는다.
새끼에 꿰어놓은 마른 물고기는 얼마 동안이나 좀이 슬지 않겠는가?
부모님의 수명壽命은 말이 틈새를 지나가는 것처럼 빠르다.
초목草木이 크고 싶어도 서리와 이슬이 크지 못하게 하고, 어진 이가 부모를 봉양하고 싶어도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는다.
그래서 ‘집이 가난하고 부모가 늙으면 녹봉의 많고 적음을 가리지 않고 벼슬하는 것이다.’ 하고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藜藿 : 명아주와 콩잎이라는 뜻으로, 변변찮은 거친 음식을 이른다. 《韓非子 五囊》‧《文選 曹植 七啓》
역주2 萬鍾 : 많은 祿俸을 이른다. 鍾은 용량 단위이다. 1鍾은 6斛 4斗, 8斛, 10斛의 여러 설이 있다.
역주3 累茵而坐 : 여러 겹의 자리를 깔고 앉는다는 뜻으로, 부유한 생활을 형용한다. 茵은 왕골이나 부들로 만든 자리나 깔개를 가리킨다.
역주4 列鼎而食 : 음식을 담은 솥을 늘어놓고 먹는다는 뜻으로, 권세와 富를 가진 사람의 호사스런 생활을 형용한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