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2. 明主者有三懼하니 一曰 處尊位而恐不聞其過 二曰 得意而恐驕 三曰 聞天下之至言而恐不能行이니 何以識其然也
越王與吳人戰하야 大敗之하고 兼有九夷하니 當是時也하야 南面而立 近臣三이요 遠臣五
令群臣曰 聞吾過而不告者 其罪刑이니라하니
此處尊位而恐不聞其過者也
昔者 與楚人戰하야 大勝之하고 燒其하니 火三日不滅이어늘
文公退而有憂色한대 侍者曰 君大勝楚어늘 今有憂色 何也잇고
文公曰 吾聞能以戰勝而安者 其唯聖人乎인저
若夫詐勝之徒 未嘗不危也 吾是以憂로라하니
此得意而恐驕
昔齊桓公得筦仲隰朋하야 辯其言하고 說其義하야 正月之朝 令具하야 進之先祖할새 桓公西面而立하고 筦仲隰朋東面而立하야
桓公贊曰 自吾得聽二者之言으로 吾目加明하고 耳加聰하야 不敢獨擅하니 願薦之先祖하노이다하니
此聞天下之至言하고 而恐不能行者也니라


현명한 임금은 세 가지 두려워하는 일이 있으니, 첫째는 존귀尊貴한 자리에 있으면 자기의 잘못을 듣지 못할까 두려워하는 것이고, 둘째는 자기의 뜻을 이루면 교만驕慢해질까 두려워하는 것이고, 셋째는 천하의 지극히 좋은 말을 듣고서 실행하지 못할까 두려워하는 것이니, 무엇으로 그러함을 아는가?
월왕越王 구천句踐나라와 전쟁하여 크게 패배시키고 구이九夷겸병兼倂하니, 당시 남쪽을 향해 앉아 패자霸者 노릇을 할 적에 가까운 곳에 있는 세 나라가 신복臣服하고 먼 곳에 있는 다섯 나라가 신복하였다.
그러자 군신群臣에게 명령하였다. “나의 잘못을 듣고도 말하지 않는 자는 형벌에 처하겠다.”
이것은 존귀한 지위에 있으면 자기의 잘못을 듣지 못할까 두려워한 것이다.
예전에 진 문공晉 文公나라 군대와 전쟁하여 크게 승리하고 초나라의 군영軍營을 불태우니 3일 동안 불이 꺼지지 않았다.
문공이 철군하면서 근심하는 기색이 있자 모시는 신하가 말했다. “임금께서 초나라에 큰 승리를 거두었는데 지금 근심하는 기색이 있는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
문공이 말했다. “나는 들으니 ‘전쟁에 승리하고 나서 나라를 안정시킨 사람은 오직 성인聖人뿐일 것이다.’ 하였다.
속임수로 승리하는 무리는 일찍이 위태롭지 않은 경우가 없었으니 나는 이 때문에 근심한다.”
이것은 뜻을 이루면 교만해질까 두려워한 것이다.
예전에 齊 桓公관중管仲습붕隰朋을 얻어 그들이 말을 잘하는 것을 알고 그들의 도리를 좋아하여 정월正月의 조회에서 태뢰太牢를 갖추게 하여 선조에게 올릴 적에 환공은 서쪽을 향하여 서고 관중과 습붕은 동쪽을 향하여 섰다.
환공이 축사祝辭를 말했다. “나는 두 사람이 건의하는 말을 들은 이래로 나의 눈은 더욱 밝아지고 귀는 더욱 총명해져서 감히 독단하지 못했으니, 선조先祖께 추천하기를 원합니다.”
이것은 천하의 지극히 좋은 말을 듣고 실행하지 못할까 두려워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句踐 : 춘추시대 越나라 군주이다. 吳王 夫差와의 전쟁에 패하여 會稽에서 치욕을 당한 뒤, 范蠡‧文種 등을 重用하고 쓸개의 쓴맛을 보면서 복수를 위하여 국력을 기르고 군사를 훈련시켜 끝내 吳나라를 멸망시키고 복수하였다. 뒤에 淮水를 건너 徐州 지역에서 크게 제후들을 모이게 하여 霸主가 되었다. 《國語 越語》‧《史記 越王句踐世家》
역주2 晉文公 : 춘추시대 晉나라 군주로, 이름은 重耳이다. 아버지 獻公의 총애를 받던 驪姬의 모함으로 19년 동안 외국으로 떠돌다가 秦 穆公의 도움으로 晉나라에 들어와 晉侯가 되었다. 狐偃‧趙衰 등 여러 賢臣을 임용하여 狄人의 침공으로 鄭나라에 도피해 있던 周 襄王을 복귀시키고 宋나라를 구원하는 등 齊 桓公을 이어 제후의 盟主가 되어 춘추시대 五霸의 한 사람이 되었다. 《春秋左氏傳 僖公~昭公》‧《史記 晉世家》
역주3 : 營壘. 곧 군대가 주둔하여 쌓은 壁壘로 軍營을 이른다. 《群經評議 左傳 2》
역주4 〈者〉 : 저본에는 ‘者’가 없으나, 위 문장 구조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5 太牢 : 牛‧羊‧豕의 세 犧牲을 갖추어 차린 제물이나 음식을 이른다. 羊‧豕만을 갖춘 것을 少牢, 豕만 갖춘 것을 特牲이라 한다. 《莊子 至樂》‧《春秋左氏傳 襄公 9년》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