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7. 楚莊王하야 師久而不罷하니 群臣欲諫而莫敢이러라
莊王獵於할새 進諫曰
王所以多得獸者 馬也
而王國亡이면 王之馬豈可得哉잇가
莊王曰 善하다 知詘彊國之可以長諸侯也 知得地之可以爲富也로되 而忘吾民之不用也로라
明日 飮諸大夫酒할새 以椒擧爲上客하고 罷陽夏之師하다


초 장왕楚 莊王양하陽夏를 정벌하여 군대가 출정한 지 오래되었는데도 중지하지 않으니, 군신群臣하고 싶었으나 감히 하지 못하였다.
장왕이 운몽雲夢에서 사냥할 때 초거椒擧가 간하였다.
“왕께서 많은 짐승을 잡을 수 있는 것은 말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왕의 나라가 망한다면 왕께서는 말을 어떻게 얻을 수 있겠습니까?”
이에 장왕이 말하였다. “좋은 말이오. 나는 강한 나라를 굴복시키면 제후諸侯의 우두머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땅을 얻으면 부유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은 알았으나, 우리 백성을 잘 쓰지 못한다는 것은 잊고 있었소.”
장왕은 이튿날 대부大夫들과 술을 마실 적에 초거를 상객上客으로 삼고 양하의 군대를 철수하였다.


역주
역주1 {欲} : 《說苑校證》의 “‘欲’자는, 아래 句에 ‘師久而不罷’라 하여 이미 토벌에 나선 것이니 ‘欲伐’이라 할 수가 없고, 《太平御覽》 권456에 의거하여 삭제했다.”는 說에 따라 ‘欲’을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2 陽夏 : 지금의 河南省 太康縣에 있던 지명으로, 夏나라 太康이 城을 쌓았다 한다.
역주3 雲夢 : 湖北省의 長江과 漢水 일대 平原에 분포한 옛 호수들의 총칭이다. 楚 莊王의 遊獵 지역이었다 한다.
역주4 椒擧 : 춘추시대 楚나라 大夫 伍擧로, 伍子胥의 조부이다. 食邑이 椒이기 때문에 椒擧라고도 한다. 《國語 楚語 上》‧《史記 楚世家》
역주5 不穀 : 不善이라는 뜻으로, 王侯가 자신을 겸사로 이르는 말이다. 《春秋左氏傳 僖公 4년》‧《史記 韓世家》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