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6. 孔子之이라가於塗하야 而語終日하시다
有間 顧子路曰 取하야 以贈先生하라 子路不對하다
有間 又顧曰 取束帛一하야 以贈先生하라
子路屑然對曰 由聞之也호니 士不中而見하고 女無媒而嫁 君子不行也라호이다
孔子曰 由 詩不云乎
有美一人이여 淸揚婉兮로다
邂逅相遇하니 適我願兮로다하니
今程子 天下之賢士也
於是不贈이면 終身不見하리라


공자孔子께서 나라로 가시다가 길에서 정자程子를 만나 수레의 덮개를 기울여놓고 온종일 이야기를 나누셨다.
잠시 뒤에 자로子路를 돌아보며 이르셨다. “속백束帛 하나를 가져다가 이 선생께 드려라.” 자로는 대답하지 않았다.
잠시 뒤에 또 자로를 돌아보며 이르셨다. “속백 하나를 가져다가 이 선생께 드려라.”
그러자 자로는 심드렁하여 말했다. “저는 들으니 선비가 소개紹介하는 사람 없이 만나고, 여자가 중매仲媒하는 사람 없이 시집가는 일은 군자君子가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 말에 공자께서는 일러주셨다. “야! 《시경詩經》에 이렇게 말하지 않았더냐? ‘들에 덩굴풀이 있는데, 이슬이 흠뻑 내렸구나.
미인美人 한 사람, 얼굴이 맑고 아름답구나.
약속하지도 않고 만났으니, 내 소원에 꼭 들어맞았어라.’라고.
지금 정자는 천하의 현사賢士이다.
이때 드리지 않으면 일생을 마칠 때까지 만나지 못할 것이다.
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작은 덕은 조금 차이가 나도 괜찮은 것이다.”


역주
역주1 : 옛 나라 이름이며, 군주의 성은 己이다. 전국시대 초에 越나라에 의해 멸망되었다. 지금의 山東省 郯城縣 북쪽에 있었다. 《春秋左氏傳 宣公 4년》‧《漢書 地理志 上》
역주2 程子 : 춘추시대 晉나라 사람이다. 避難하여 齊나라로 가서 晏嬰과 친하게 지냈기 때문에 齊나라 사람이라고도 한다. 곧 子華子로, 이름은 本이다. 박식하고 言辯에 뛰어나 門徒를 모으고 著書하면서 自號를 程子라 하였다. 저서에 《子華子》가 전한다. 《呂氏春秋 誣徒》‧《韓詩外傳 2‧7》
역주3 傾蓋 : 수레를 타고 가다가 길에서 사람을 만나 말을 나누느라 수레 덮개가 기울어져 맞대고 있는 것을 이른다. 처음 만나거나 친구가 됨을 이르기도 한다. 《史記 魯仲連鄒陽列傳》‧《孔子家語 致思》
역주4 束帛 : 옛날 聘問하거나 交際할 때 보내는 禮物이다. 비단 다섯 필을 각각 양끝에서 말아 한데 묶기 때문에 이른다. 《周易 賁卦》‧《周禮 春官 大宗伯 賈公彥疏》
역주5 〈間〉 : 저본에는 ‘間’이 없으나, 《群書拾補》에 “《太平御覽》 권402에 ‘間’자가 있고, 《孔子家語》 〈致思〉의 注에 ‘中間은 소개함을 이른다.’고 하였다.”라 한 것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孔子集語》 上에는 ‘道’자로 되어 있다.
역주6 野有蔓草……適我願兮 : 《詩經》 〈鄭風 野有蔓草〉에 보인다.
역주7 大德毋踰閑……可也 : 《論語》 〈子張〉에 子夏가 한 말이며, 《논어》에는 ‘毋’자가 ‘不’자로 되어 있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