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5. 有疾이어늘 老子往問焉하야
曰 先生疾甚矣 無遺敎可以語諸弟子者乎잇가
常摐曰 子雖不問이라도 吾將語子러니라
常摐曰 過故鄕而下車 子知之乎
老子曰 過故鄕而下車 非謂其不忘故耶잇가 常摐曰 嘻 是已니라
常摐曰 過喬木而趨 子知之乎
老子曰 過喬木而趨 非謂敬老耶잇가 常摐曰 嘻 是已니라
張其口而示老子 曰 吾舌存乎 老子曰 然하이다
吾齒存乎 老子曰 亡니이다
常摐曰 子知之乎
老子曰 夫舌之存也 豈非以其柔耶잇가
齒之亡也 豈非以其剛耶잇가
常摐曰 嘻 是已니라 天下之事已盡矣 無以復語子哉로다


상창常摐이 병이 나자 노자老子가 찾아가서 여쭈었다.
“선생님의 병이 위중하시니 여러 제자들에게 남겨주실 만한 가르침이 없으신지요?”
상창은 말했다. “자네가 묻지 않더라도 내가 자네에게 말하려고 했었네.”
이어서 상창은 말했다. “자기의 고향故鄕을 지나가면서 수레에서 내리는 이유를 자네는 아는가?”
노자는 대답했다. “고향을 지나가면서 수레에서 내리는 것은 고향을 잊지 못하는 뜻이 아닙니까.” 상창은 말했다. “아, 맞는 말이네.”
그리고는 상창이 다시 말했다. “교목喬木 앞을 지나가면서 종종걸음으로 가는 이유를 자네는 아는가?”
노자는 또 대답하였다. “교목 앞을 지나가면서 종종걸음으로 가는 것은 노인老人을 공경하는 뜻이 아닙니까.” 상창은 말했다. “아, 맞는 말이네.”
그리고는 자신의 입을 벌려 노자에게 보여주면서 말했다. “내 혀가 있는가?” 이에 노자는 대답했다. “있습니다.”
상창은 다시 물었다. “그럼 내 이빨은 남아 있는가?” 노자는 대답했다. “없습니다.”
상창은 물었다. “자네는 그 이유를 아는가?”
노자는 대답하였다. “혀가 남아 있는 것은 부드럽기 때문이 아닙니까.
이빨이 없는 것은 강하기 때문이 아닙니까.”
그러자 상창은 말했다. “아, 맞는 말이다. 천하의 사리事理를 벌써 다하였으니, 다시 자네에게 말해줄 것이 없구나.”


역주
역주1 常摐 : 老子의 스승이다.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다.
역주2 〈其〉 : 저본에는 ‘其’가 없으나, 《說苑校證》의 “윗글의 ‘非謂其不忘故耶’의 文例에 의하여 ‘其’자가 있어야 하므로 《太平御覽》을 따라 보충하였다.”는 說에 따라 보충하였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