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6. 吳王欲伐荊하야 告其左右曰 敢有諫者호리라
하야 欲諫不敢이어늘 則懷丸操彈하고 遊於後園하야 露沾其衣하야 如是者三旦하다
吳王曰 子來하라 何苦沾衣如此
對曰 園中有樹하고 其上有蟬하니
蟬高居하야 悲鳴飮露하야 不知螳螂在其後也
螳螂委身曲附하야 欲取蟬하야 而不知黃雀在其傍也
黃雀延頸欲啄螳螂하야 而不知彈丸在其下也하니이다
此三者 皆務欲得其前利하고 而不顧其後之有患也니이다
吳王曰 善哉로다 乃罷其兵하다


오왕吳王[]나라를 토벌하려고 하면서 주변의 신하들에게 알렸다. “감히 하는 자가 있으면 죽이겠다.”
사인舍人소유자少孺子라는 사람이 있어서 간하고 싶었으나 감히 하지 못하자, 탄환彈丸을 지니고 탄궁彈弓을 잡은 채 옷이 이슬에 젖도록 후원後園을 쏘다니기를 3일 아침마다 이렇게 하였다.
오왕이 말했다. “그대는 이리 오너라. 무슨 까닭에 이처럼 옷을 적시면서 고생하느냐?”
사인은 대답했다. “후원에 나무가 있고 그 위에 매미가 있습니다.
매미는 높은 데서 살아 슬피 울며 이슬을 받아먹느라, 사마귀가 그 뒤에서 노리고 있는 줄을 알지 못합니다.
사마귀는 몸을 구부리고 바짝 붙어서 매미를 잡으려는 데 팔려 황작黃雀이 그 곁에 있는 것을 돌아보지 못합니다.
황작은 목을 늘여 사마귀를 쪼아 먹으려는 데 팔려 탄환을 가진 사람이 그 아래에 있는 것을 알지 못합니다.
이 세 동물은 모두 그 앞에 있는 이익利益만 얻으려 힘쓰고, 그 뒤에 있는 환난患難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이에 오왕吳王은 “좋은 말이다.” 하고는, 곧 전쟁하려는 계획을 취소하였다.


역주
역주1 舍人有少孺子 : 舍人은 측근에서 侍從하는 벼슬이다. 少孺子는 사람 이름인데 평생 행적은 미상이다. 《戰國策》 〈楚策 4〉에는 莊申, 《韓詩外傳》 권10에는 孫叔敖로 되어 있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