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9. 東行할새 送之하야
先生將去冉之어늘 獨無一言以敎冉乎
魏公子牟曰 微君言之 牟幾忘語君이로다
君知夫官不與勢期어늘 而勢自至乎 勢不與富期어늘 而富自至乎 富不與貴期어늘 而貴自至乎 貴不與驕期어늘 而驕自至乎 驕不與罪期어늘 而罪自至乎 罪不與死期어늘 而死自至乎
穰侯曰 善하다 敬受明敎호리라


위공자 모魏公子 牟가 〈나라를 떠나〉 동쪽 지방을 가려고 할 때 양후穰侯가 전송하면서 말하였다.
“선생이 이 위염魏冉을 떠나 산동山東으로 가려 하시면서 어찌 저에게 한 말씀 가르침을 주시지 않으십니까?”
공자 모는 말해주었다. “그대가 말하지 않았더라면 나는 하마터면 그대에게 일러줄 말을 잊을 뻔했구려.
그대는 벼슬이 권세權勢와 기약하지 않았는데 권세가 저절로 온다고, 권세가 부유富裕와 기약하지 않았는데 부유가 저절로 온다고, 부유가 현귀顯貴와 기약하지 않았는데 현귀가 저절로 온다고, 현귀가 교만驕慢과 기약하지 않았는데 교만이 저절로 온다고, 교만이 죄악罪惡과 기약하지 않았는데 죄악이 저절로 온다고, 죄악이 죽음과 기약하지 않았는데 죽음이 저절로 온다고 알고 있지나 않습니까?”
그러자 양후는 말하였다. “좋은 말씀입니다. 삼가 밝은 가르침을 받들겠습니다.”


역주
역주1 魏公子牟 : 魏牟이다. 戰國시대 中山君의 아들이다. 전국 후기 莊子學派의 중요 인물이다. 《漢書 藝文志》
역주2 穰侯 : 戰國시대 秦나라 대신으로, 성명은 魏冉이다. 穰侯는 그의 封號이다. 秦 昭王의 어머니 宣太后의 아우로 소왕이 즉위한 뒤 국정을 장악하였고, 穰에 봉해졌다. 《戰國策》 〈趙策〉에 의하면 穰侯는 당연히 應侯(范雎)가 되어야 한다. 《史記 穰侯列傳》
역주3 山東 : 戰國‧秦漢시대 崤山, 혹은 華山 동쪽 지역을 이르던 말이다. 關東이라고도 하며, 전국시대 秦나라 이외의 여섯 諸侯國을 일컫기도 한다. 《戰國策 趙策 2》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