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4. 景公飮酒할새 라가 望見晏子하고 而復於公曰 請晏子하소서
公曰 何故也 對曰 晏子衣緇布之衣 糜鹿之裘하고 而駕駑馬以朝하니 是隱君之賜也니이다
公曰 諾 酌者奉觴而進之曰 君命浮子니이다
晏子曰 何故也 陳桓子曰 君賜之卿位하사 以尊其身하시고 寵之百萬하사 以富其家하시니 群臣之爵 莫尊於子하며 祿莫厚於子어늘
今子衣緇衣之衣 糜鹿之裘하고 棧軫之車 而駕駑馬以朝하니 則是隱君之賜也 故浮子니라
晏子避席曰 請飮而後辭乎잇가 其辭而後飮乎잇가 公曰 辭然後飮하라
晏子曰 君賜卿位以顯其身하시나 嬰不敢爲顯受也 爲行君令也 寵之百萬以富其家하시나 嬰不敢爲富受也 爲通君賜也니이다
臣聞호니 古之賢 臣有受厚賜而不顧其이면 則過之하고 臨事守職하야 不勝其任이면 則過之라호이다
君之內隷 臣之父兄이니 若有離散在於野鄙者 此臣之罪也 君之外隷 臣之所職이니 若有播亡在四方者 此臣之罪也 兵革不完하고 戰車不修 此臣之罪也니이다
若夫敝車駑馬以朝 컨대 非臣之罪也니이다
且臣以君之賜 臣父之黨無不乘車者하고 母之黨無不足以衣食者하며 妻之黨無凍餒者 國之 待臣而後擧火者 數百家
如此 爲隱君之賜乎잇가 彰君之賜乎잇가
公曰 善하다 爲我浮하라


경공景公이 술을 마실 적에 진환자陳桓子가 모시고 있다가 안자晏子를 바라보고 경공에게 보고하였다. “안자에게 벌주罰酒를 먹이겠습니다.”
경공이 말했다. “무슨 까닭이오?” 진환자가 대답했다. “안자가 검은 베옷과 고라니가죽으로 만든 거친 갖옷을 입고, 앉는 자리를 대로 엮어 깐 수레에 변변찮은 말을 메워 끌게 하면서 조정朝廷에 나오니, 이는 임금께서 하사하신 것을 숨긴 것입니다.”
경공이 말했다. “좋다.” 〈안자가 도착하자〉 술을 따르는 사람이 술잔을 받들고 안자에게 나아가 말했다. “임금께서 당신에게 벌주를 들게 하셨습니다.”
안자가 말했다. “무슨 까닭인가?” 진환자가 말했다. “임금께서 의 벼슬을 주시어 당신의 신분을 존귀하게 해주시고 많은 녹봉을 주시어 당신의 가정을 부유하게 하시니, 군신群臣 중에 벼슬이 당신보다 높은 이가 없으며 녹봉이 당신보다 많은 이가 없소.
그런데 지금 당신은 검은 베옷과 고라니가죽으로 만든 거친 갖옷을 입고, 앉는 자리를 대로 엮어 깐 수레에 변변찮은 말을 메워 끌게 하면서 조정에 나오니, 이는 임금께서 하사하신 것을 숨긴 것이오. 이 때문에 당신에게 벌주를 들게 하는 것이오.”
안자가 자리에서 일어나 말했다. “벌주를 마신 뒤에 말씀을 드릴까요? 아니면 말씀을 드린 뒤에 벌주를 마실까요?” 경공이 말했다. “말을 한 뒤에 벌주를 마시시오.”
안자가 말했다. “임금께서 의 벼슬을 주시어 저의 신분을 높고 귀하게 해주셨으나 저 은 감히 높고 귀한 벼슬을 위하여 받은 것이 아니라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행하기 위해 받은 것이고, 임금께서 많은 녹봉을 주시어 저의 집을 부유하게 해주셨으나 저 은 감히 부유함을 위하여 받은 것이 아니라 임금께서 주신 것을 유통시키기 위하여 받은 것입니다.
신은 들으니 ‘예전의 어진 임금은 신하가 많은 녹봉을 받고도 향리鄕吏의 종족을 돌보지 않으면 책망하고, 일을 만나 벼슬만 지킨 채 자기의 임무를 감당하지 못하면 책망한다.’ 하였습니다.
안에 예속된 신하는 신의 부형父兄이니 만일 임금 곁을 떠나 먼 지역을 유랑하는 이가 있으면 이는 신의 잘못이고, 밖에 예속된 신하는 신이 관할하는 직책에 있으니 만일 사방에 떠돌아다니는 이가 있으면 이는 신의 잘못이며, 무기와 갑옷이 완비되지 않고 전거戰車가 수리되지 않았으면 이는 신의 잘못입니다.
변변찮은 말이 끄는 낡은 수레를 타고 조현朝見하는 것과 같은 일은, 생각건대 신의 잘못이 아닙니다.
또 신은 임금께서 주신 녹봉으로 아버지의 친족이 수레를 타지 않는 사람이 없고, 어머니의 친족이 입고 먹는 데 충분하지 않는 사람이 없고, 아내의 친족이 추위에 얼고 굶주리는 자가 없으며, 나라 안의 벼슬 없는 선비가 신의 도움을 기다린 뒤에 밥을 짓는 자가 수백 집입니다.
이와 같은 것이 임금께서 주신 것을 숨긴 것입니까? 아니면 임금께서 주신 것을 천양闡揚한 것입니까?”
경공이 말했다. “좋소. 나를 위해 대신 무우無宇에게 벌주를 먹이시오.”


역주
역주1 陳桓子 : 齊 景公 때의 大夫로, 이름은 無宇, 桓은 諡號이다. 鮑氏와 연합하여 권력가인 欒氏와 高氏를 토벌하고 高唐의 땅을 받아 산 뒤로부터 陳氏가 강대해졌다. 《春秋左氏傳 莊公 21년, 襄公 29년, 昭公 3‧5‧8‧10년》
역주2 : 罰酒를 먹인다는 뜻이다. 《淮南子》 〈道應訓〉의 “蹇重이 벌주를 올리면서 ‘임금께서는 벌주를 드십시오.’ 하고 말하였다.[蹇重擧白而進之曰 請浮君]”는 구절의 高誘 注에 “浮는 벌이니, 술로 임금을 벌한 것이다.[浮 罰也 以酒罰君]”라 하였다.
역주3 棧軫之車 : 차체에 가죽을 씌우지 않고 대로 엮어 만든 수레이다. 미천한 사람이 타거나 짐을 싣는 수레이다. 棧車라고 한다. 《周禮 春官 巾車》
역주4 〈君〉 : 저본에는 ‘君’이 없으나, 《群書拾補》에 “아래의 ‘則過之’는 바로 君이 하는 일을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에 ‘君’자를 보충해야 한다.” 하였고, 《晏子春秋》도 ‘君’자로 된 本이 있어, 이에 따라 보충하였다.
역주5 國族 : 邦族과 같은 말로 보아, 향리의 친족으로 해석하였다. 《晏子春秋》에는 ‘困族’으로 되어 있다.
역주6 (主)[意]者 : 저본에는 ‘主’로 되어 있으나, 《晏子春秋》에 ‘意’로 되어 있고, 《群書拾補》‧《經傳小記》‧《讀書餘錄》 등이 모두 이를 따르고 있으므로, ‘意’로 바로잡았다.
역주7 簡士 : 등용되지 못하고 버려진 선비를 이른다. 《說苑纂註》에는 “《晏子春秋》에는 ‘閒士’로 되어 있다.” 하였다.
역주8 (桓子)[無宇] : 저본에는 ‘桓子’로 되어 있으나, 劉台拱은 《經典小記》에서 “응당 無宇로 써야 된다.” 하였으며, 살아 있는 신하를 임금이 미리 諡號로 부르는 것은 합당치 않기 때문에 ‘無宇’로 바로잡았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