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 將上之絳이라가 見翳桑下有臥餓人하야 不能動하다
宣孟止車하고 爲之下湌하야 自含而餔之하니 餓人再咽而能視러라
宣孟問호되 爾何爲饑若此
對曰 臣居於絳이라가 歸而糧絶이나 羞行乞而憎自致하야 以故至若此로소이다
宣孟與之壺湌 脯二朐한대 再拜頓首受之호되 不敢食이러라
問其故한대 對曰 向者食之而美하니 臣有老母일새 將以貢之하노이다
宣孟曰 子斯食之하라 吾更與汝호리라하고
乃復爲之簞食 以脯二束與錢百하고 去之絳하다
居三年 晉靈公欲殺宣孟하야 置伏士於房中하고 召宣孟而飮之酒하다
宣孟知之하고 中飮而出한대 靈公命房中士하야 疾追殺之하다
一人追疾하야 及宣孟하야 向宣孟之面하고
固是君耶잇가 請爲君反死호리이다
宣孟曰 子名爲誰 且對曰 何以名爲리오
臣是翳桑下之餓人也니이다
鬭而死하니 宣孟得以活하다
此所謂德惠也
故惠君子하면 君子得其福하고 惠小人하면 小人盡其力이라
夫德一人이라도 活其身이온 而況置惠於萬人乎
故曰 라하니 豈可無樹德而除怨하고 務利於人哉
利施者 福報하고 怨往者 禍來하나니 形於內者 應於外
不可不愼也 者也
이라하고 이라하니 人君胡可不務愛士乎


조선맹趙宣孟으로 올라가다가 무성한 뽕나무 아래에 굶어서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이 누워 있는 것을 보았다.
선맹宣孟이 수레를 멈추고 그를 위해 음식을 내려 스스로 씹어서 먹이니 굶주린 사람이 두 번 삼키고 난 뒤에 눈을 뜨고 보았다.
선맹이 물었다. “너는 어찌하여 이렇게까지 굶었느냐?”
그는 대답했다. “저는 에 머물다가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양식糧食이 떨어졌으나 걸식乞食하는 것이 부끄럽고 스스로 음식 조달하는 것을 싫어하여 이 때문에 이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선맹이 한 병의 국과 밥, 그리고 두 가닥의 를 주자, 그는 두 번 절을 하고 이마를 땅에 닿도록 예를 표한 뒤 받았으나 감히 먹지는 못하였다.
선맹이 먹지 않는 까닭을 묻자, 그는 대답했다. “조금 전 주신 음식을 먹으니 맛이 좋은데 저는 노모老母가 계시기 때문에 갖다 드리려고 합니다.”
선맹은 다시 말했다. “너는 이것을 먹어라. 내가 다시 너에게 음식을 주겠다.”
그러고는 곧 다시 그를 위해 한 도시락의 밥과 포 두 묶음, 그리고 백 의 돈을 주고 으로 갔다.
3년이 지난 뒤, 진 영공晉 靈公이 선맹을 죽이려고 방 안에 무사武士를 매복시키고 선맹을 불러 술을 마셨다.
선맹이 이런 음모를 알아차리고 술을 마시던 중간에 나가버리자, 영공이 방 안에 매복시킨 무사에게 명하여 빨리 쫓아가서 죽이게 하였다.
어떤 사람이 빠르게 쫓아가서 먼저 선맹을 따라잡아 선맹의 얼굴을 보고 말했다.
“아, 진실로 당신이었군요! 당신을 위하여 돌아가 싸우다 죽겠습니다.”
선맹이 물었다. “그대의 이름은 무엇이오?” 그는 몸을 돌려 달려가면서 다시 말했다. “이름을 물어 뭣하겠습니까?
저는 바로 뽕나무 아래에서 굶어 죽을 뻔했던 사람입니다.”
그러고는 되돌아가서 싸우다가 죽으니, 선맹은 이 때문에 살 수 있었다.
이것이 이른바 은덕恩德을 보답한 것이다.
그 때문에 군자君子에게 은혜를 베풀면 군자는 을 얻게 되고 소인小人에게 은혜를 베풀면 소인은 있는 힘을 다해 은혜를 갚는 것이다.
한 사람에게 을 베풀어도 자신의 생명을 살리는데, 하물며 만인萬人에게 은혜를 베풀어둔 경우이겠는가!
그래서 “덕은 작게 여기지 말고, 원한은 작다 여기지 말라.”고 하는 것이니, 어찌 은덕을 세우고 원한을 제거하며 남을 이롭게 하는 데에 힘을 쓰지 않겠는가?
이로움을 베푼 사람은 복의 보답을 받고 원한을 보낸 사람은 재앙이 오는 것이니, 마음에 형성된 것은 외부에 응해 오는 것이다.
삼가지 않을 수 없으니, 이것이 《서경書經》에서 이른 “덕은 작다고 여기지 말라.” 는 것이다.
시경詩經》에 “씩씩하고 씩씩한 무사여! 공후公侯간성干城이구나.”라 하고, “많고 많은 선비들, 문왕文王이 평안해지셨네.”라 하였으니, 임금이 어찌 선비를 사랑하는 데 힘쓰지 않겠는가!


역주
역주1 趙宣孟 : 춘추시대 晉나라 正卿 趙盾이다. 본서 권3 〈建本〉 29의 주2) 참고.
역주2 (旣)[先] : 《群書拾補》의 교정과 《說苑校證》에 의해 고쳤다. 《呂氏春秋 報更》에도 ‘先’으로 되어 있다.
역주3 (今)[吁] : 《群書拾補》의 교정에 따라 고쳤다. 《呂氏春秋》에는 ‘噫’로 썼다.
역주4 (及是)[反走] : 《群書拾補》의 교정에 따라 고쳤다.
역주5 (遂)[還] : 《群書拾補》의 교정에 따라 고쳤다. 《呂氏春秋》에도 ‘還’으로 썼다.
역주6 德無細 怨無小 : 德이 작다 하여 베풀지 않으면 안 되고, 원한이 작다 하여 맺으면 안 된다는 뜻이다. 곧 작은 은덕이라도 베풀어야 하고, 작은 원한이라도 맺어서는 안 됨을 이른 말이다.
역주7 此書之所謂德無小 : 현재의 《書經》 〈商書 伊訓〉에는 ‘惟德罔小’라 보인다.
역주8 詩云……公侯干城 : 《詩經》 〈周南 兎罝〉에 보인다.
역주9 濟濟多士 文王以寧 : 《詩經》 〈大雅 文王〉에 보인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