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2)

설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2. 而四望이라가 喟然而歎息曰 嗚呼悲哉로다 世有明於事情호되 不合於人心者하며 有合於人心호되 不明於事情者니라
弟子問曰 何謂也잇고
子石曰 昔者 吳王夫差不聽伍子胥盡忠極諫하야 抉目而辜하고 偸合苟容하야 以順夫差之志而伐라가 二子沈身江湖하고 頭懸越旗하니라
昔者 順紂之心하야 欲以合於意라가 武王伐紂 四子身死牧之野하야 頭足異所하고 比干 盡忠剖心而死하니라
今欲明事情인댄 恐有抉目剖心之禍하고 欲合人心인댄 恐有頭足異所之患이라 由是觀之컨댄 君子道狹耳 誠不逢其明主 狹道之中 又將險危閉塞하야 無可從出者리라


자석子石오산吳山에 올라 사방을 바라보다가 한숨을 쉬며 탄식해 말했다. “아, 슬프구나. 세상에는 사정事情에 밝으면서도 남의 마음에 부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남의 마음에 부합하면서도 사정事情에 밝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자 제자弟子가 물었다. “무슨 뜻입니까?”
자석子石이 말했다. “예전에 오왕吳王 부차夫差는 충성을 다해 지극히 간하는 오자서伍子胥의 말을 따르지 않고 눈알을 뽑는 죄를 시행하였고, 태재 비太宰 嚭공손락公孫雒은 영합하고 부화附和하면서 부차夫差의 뜻에 순종하여 나라를 정벌했다가 두 사람 다 몸은 강물에 던져지고 머리는 나라 깃대 위에 매달리는 꼴이 되었다.
예전에 비중費仲‧〈비렴飛廉〉‧악래혁惡來革과 코가 길고 귀가 찢어진 숭후 호崇侯 虎주왕紂王의 마음에 순종하여 영합하려다가 무왕武王주왕紂王을 토벌했을 때, 네 사람은 목야牧野에서 죽음을 당하여 머리와 다리가 잘리어 각각 다른 곳에 놓이게 되었다. 그리고 비간比干은 충성을 다하다가 심장이 쪼개져서 죽고 말았다.
만일 사정에 밝으려고 하면 눈알이 뽑히고 심장이 쪼개지는 재앙이 있을까 걱정되고, 남의 마음에 부합하려고 하면 머리와 다리가 잘리어 각각 다른 곳에 놓이게 되는 환난이 있을까 걱정된다. 이를 통해 보건대, 군자君子가 가는 길은 좁다. 진실로 현명한 군주를 만나지 못하면 좁은 길 가운데에서 또 길이 위험하거나 막히어 빠져나갈 틈이 없을 것이다.


역주
역주1 子石登吳山 : 子石은 춘추시대 楚나라 사람이다. 姓은 公孫, 이름은 龍인데, 子石은 字이다. 孔子의 제자로, 전국시대 趙나라 사람 公孫龍과 同名異人이다. 吳山은 지금의 浙江省 杭州市 서남쪽에 있는 城隍山으로, 산 위에 伍子胥의 사당이 있다. 胥山이라고도 한다.
역주2 太宰嚭公孫雒 : 太宰 嚭는 춘추시대 吳나라 大臣이다. 본서 권9 〈正諫〉 20의 주5) ‘伯嚭’ 참고. 公孫雒은 춘추시대 吳王 夫差의 신하이다. 雒은 駱으로도 쓴다.
역주3 (吳)[齊] : 저본에는 ‘吳’로 되어 있으나, 《群書拾補》와 여러 史書를 따라 ‘齊’로 바로잡았다.
역주4 費仲惡來革 長鼻決耳崇侯虎 : 모두 紂王의 寵臣들 이름이다. 費仲‧惡來‧革‧崇侯虎의 네 사람으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群書拾補》에 “아래 글에서 四子라 하였으니, 費仲 아래에 飛廉이 있어야 한다.” 하였다. 또 《說苑校證》에는 “來革은 《楚辭》 〈惜誓〉에 來革이 있으니, 곧 惡來革이라 하였다.” 역자는 이 두 설을 따라 번역하였다. 崇侯 虎는 商代 崇나라의 제후이다. 西伯 姬昌(뒤의 文王)이 紂王이 사람을 마구 죽인다는 말을 듣고 탄식하자, 이를 紂王에게 참소하여 옥에 갇히게 하였다. 뒤에 옥에서 풀려난 西伯이 崇을 정벌하여 그곳에 豐邑을 조성하였다.

설원(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