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2)

설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8. 爲齊上將軍하야 興師十萬하야 將以攻할새 往見하다
仲連子曰 將軍之攻翟 必不能下矣리라
田將軍曰 單以五里之城 十里之郭으로 이어늘 何爲攻翟不能下리오 去上車하야 不與言하다
決攻翟호되 三月而不能下하니 齊嬰兒謠之曰 大冠如箕하고 長劒拄頤로다 攻翟不能下하야 壘於로다
於是 田將軍恐駭하야 往見仲連子하고 曰 先生 何以知單之攻翟不能下也
仲連子曰 夫將軍在之時 坐則織蕢하고 立則杖臿하야 爲士卒倡曰 宗廟亡矣 魂魄喪矣 歸何黨矣
故將有死之心하고 士卒無生之氣러니라 今將軍東有之封하고 西有淄上之寶하며 하고 馳騁乎淄澠之間이라 是以樂生而惡死也니라
田將軍明日結髮하고 徑立矢石之所하야 乃引枹而鼓之하니 翟人下之하다 故將軍者 士之心也 士者 將之肢體也 心猶與 則肢體不用하나니 田將軍之謂乎인저


전단田單나라의 상장군上將軍이 되어 10만의 병력을 일으켜 을 공격하려고 할 때, 노중련자魯仲連子를 찾아가 뵈었다.
중련자仲連子가 말했다. “장군은 을 공격해도 반드시 이기지 못할 것이오.”
전장군田將軍이 말했다. “제가 일찍이 5리밖에 안 되는 과 10리쯤 되는 을 가지고 제나라를 수복하였는데, 어찌 을 공격하여 이기지 못한단 말이오.”그러고는 떠나면서 수레에 올라 다시 말도 하지 않고 가버렸다.
전단이 결심하고 을 공격했으나 석 달 동안 이기지 못하니, 제나라의 어린아이들이 노래를 불렀다. “키[]처럼 큰 을 쓰고 긴 으로 턱만 괴고 있네. 을 공격하나 이기지 못하여 오구梧丘에 군사의 시체만 쌓이네.”
이에 전장군은 두렵고 놀라 중련자를 찾아가 뵙고 말했다. “선생은 어떻게 제가 을 공격해도 이기지 못할 줄을 아셨습니까?”
중련자가 설명해주었다. “장군이 즉묵卽墨에서 싸울 때에는 앉으면 삼태기를 짜고 서면 삽을 잡고서 사졸士卒들에게 솔선하여 ‘종묘宗廟가 망하고 조상의 혼백魂魄을 잃었으니, 어디로 돌아가랴.’라고 독려하였소.
그 때문에 장수들은 목숨을 바치려는 각오가 있었고 사졸들은 구차히 살려는 태도가 없었소. 그랬는데 지금 장군은 동쪽에는 액읍掖邑봉지封地가 있고, 서쪽에는 치수淄水 가의 보물이 있으며, 황금黃金으로 장식한 띠를 두르고 치수淄水민수澠水 사이를 마음대로 달리고 있소. 이 때문에 사는 것을 즐거워하고 죽는 것을 싫어하고 있소.”
그러자 전장군은 이튿날 머리를 묶고 화살과 돌이 날아오는 곳에 똑바로 서서 곧장 북채를 잡고 북을 치며 공격하니, 적인翟人이 항복하였다. 그러므로 장군은 사졸의 마음이고 사졸은 사지四肢와 같은 격이다. 마음이 머뭇거리면 사지가 말을 듣지 않으니, 전장군을 두고 이르는 말일 것이다.


역주
역주1 田單 : 전국시대 齊나라 장군이다. 본서 권8 〈尊賢〉 05의 주12) 참고.
역주2 : ‘狄’과 통용이다. 중국 고대의 민족 이름이다. 춘추시대 이전에는 齊‧魯‧晉‧衛‧宋‧邢 등의 여러 나라 사이에서 장기간 활동하였고, B.C. 7세기 때 赤狄‧白狄‧長狄의 세 部로 분열되었다.
역주3 魯仲連子 : 전국시대 齊나라 사람으로, 魯仲連‧魯連이라고도 한다. 남의 어려움을 해소해주고도 상을 받지 않은 高士이다. 趙‧魏를 설득하여 邯鄲에서 秦의 야욕을 꺾었고, 燕의 장군을 설득하여 聊城을 齊나라에 돌려주게 하였다. 《戰國策 齊策 6》‧《史記 魯仲連鄒陽列傳》
역주4 復齊之國 : 전국시대 燕나라 장군 樂毅가 齊나라를 공격하여 72城이 함락되고 卽墨 한 城만 남아 있었을 때 齊의 장군 田單이 燕軍을 무찌르고 燕에 빼앗겼던 국토를 수복한 일을 이른다.
역주5 梧丘 : 길의 막다른 곳에 있는 큰 언덕으로 억울하게 죽은 사람이 묻힌 곳이다.
역주6 卽墨 : 전국시대 齊나라 邑이다. 지금의 山東省 卽墨市로, 田單이 燕나라 군대를 물리치고 齊나라를 수복하는 계기를 마련했던 곳이다.
역주7 掖邑 : 전국시대 齊나라 邑이다. 지금의 山東省 萊州市로, 田單의 封邑이었다.
역주8 (金銀黃帶)[黃金橫帶] : 저본에는 ‘金銀黃帶’로 되어 있으나, 《戰國策》 〈齊策 6〉과 《太平御覽》 권318에 ‘黃金橫帶’로 되어 있는 것을 따라 ‘黃金橫帶’로 바로잡았다.

설원(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