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2)

설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9. 晏子飮景公酒할새 日暮어늘 公呼具火하다
晏子辭曰 詩曰 라하니 言失德也 라하니 言失容也 이라하고 이라하니 賓主之禮也 이라하니之罪也니이다 嬰以卜其日이요 未卜其夜로소이다
公曰 善하다 擧酒而祭之하고 再拜而出하야리오 吾託國於晏子也어늘 以其家貧善寡人하야 不欲淫侈也어든 而況與寡人謀國乎


안자晏子경공景公을 청하여 술을 마시게 할 때 날이 저물자 경공은 술을 더 마시기 위해 사람을 불러 등불을 준비하라고 하였다.
안자가 거절하며 말했다. “《시경詩經》에 ‘관[]이 삐딱하게 기울었다.’ 하였으니, 이는 술에 취해 주덕酒德을 잃었음을 말한 것이며, ‘그치지 않고 여러 차례 춤을 춘다.’ 하였으니, 이는 술에 취해 단정한 태도를 잃었음을 말한 것입니다. ‘이미 술에 취했고, 이미 은덕恩德에 배가 부르네.’라 하고, ‘이미 취하고 자리를 떠나면, 함께 그 복을 받을 것인데.’라고 하였으니, 이는 손님과 주인 사이의 예절禮節을 말한 것입니다. ‘취하고도 자리를 떠나지 않으니, 이를 일러 을 손상시키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손님의 잘못을 말한 것입니다. 저는 낮 동안 술 마시는 일을 예산하였지, 밤에까지 술 마시는 일은 예산하지 않았습니다.”
경공이 “좋은 말이오.” 하고는 술잔을 들어 땅에 술을 붓고 두 번 절하고 나가면서 말했다. “내 어찌 잘못 보았으랴. 내가 안자에게 나라를 부탁하자, 그는 가난한 생활로 과인寡人을 잘 이끌어 지나치게 사치하게 하지 않았으니, 하물며 과인과 함께 나라 다스리는 일을 계획함이랴!”


역주
역주1 側弁之俄 : 《詩經》 〈小雅 賓之初筵〉에 보인다.
역주2 屢舞傞傞 : 《詩經》 〈小雅 賓之初筵〉에 보인다.
역주3 旣醉以酒 旣飽以德 : 《詩經》 〈大雅 旣醉〉에 보인다.
역주4 旣醉而出 竝受其福 : 《詩經》 〈小雅 賓之初筵〉에 보인다.
역주5 醉而不出 是謂伐德 : 《詩經》 〈小雅 賓之初筵〉에 보인다.
역주6 {主} : 저본에는 있으나, 《說苑校證》에 “《晏子春秋》 〈內篇 雜 上〉에는 ‘主’자가 없으니, 없는 것이 옳다.”라고 한 것을 따라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7 (豈過我哉)[我豈過哉] : 저본에는 ‘豈過我哉’로 되어 있으나, 《說苑校證》에 “兪樾의 《諸子平議》 권7에 ‘「豈過我哉」는 응당 「我豈過哉」가 되어야 하니, 景公이 스스로 나라를 부탁할 인재를 얻었음을 기뻐했기 때문에 「내 어찌 잘못 보았으랴. 나는 晏子에게 나라를 부탁하였다.」라고 했다.’ 하였다.”라고 한 것을 따라 ‘我豈過哉’로 바로잡았다.

설원(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