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9. 景公飮酒라가 移於晏子家할새 前驅報閭曰 君至로소이다
晏子하고 立於門曰
諸侯得微有故乎 國家得微有故乎 君何爲非時而夜이니잇고
公曰 酒醴之味 金石之聲 願與夫子樂之하노라
晏子對曰 夫布하고者有人하니 臣不敢與焉이로소이다
公曰 移於之家호리라
前驅報閭曰 君至로소이다
司馬穰苴介胄操戟하고 立於門曰
諸侯得微有兵乎 大臣得微有叛者乎 君何爲非時而夜辱이니잇고
公曰 酒醴之味 金石之聲 願與夫子樂之하노라
對曰 夫布薦席하고 陳簠簋者有人하니 臣不敢與焉이로소이다
公曰 移於之家호리라
前驅報閭曰 君至로소이다
梁丘據左操瑟하고 右挈竽하야 行歌而至하니
公曰 樂哉로다 今夕吾飮酒也
微彼二子者 何以治吾國이며 微此一臣者 何以樂吾身이리오
賢聖之君 皆有益友 無偸樂之臣이어늘
景公弗能及이라 故兩用之하야 僅得不亡하니라


제 경공齊 景公이 술을 마시다가 안자晏子의 집으로 옮겨 술을 더 마시려 할 적에, 앞서서 길을 인도하는 사람이 문앞에서 “임금께서 오십니다.” 하고 알렸다.
안자는 현단복玄端服을 입고 문앞에 서서 말했다.
제후諸侯들 사이에 무슨 변고變故가 있는 것은 아닙니까? 국가에 무슨 변고가 있는 것은 아닙니까? 임금께서 무슨 일로 정상이 아닌 밤 시간에 저희 집을 찾으셨습니까?”
그러자 경공은 말했다. “맛있는 술과 좋은 음악소리를 그대와 함께 즐기려고 왔소.”
안자는 대답하였다. “자리를 깔고 보궤簠簋 같은 그릇을 진열하는 일은 맡아 하는 사람이 있으니, 은 감히 참여하지 않겠습니다.”
이에 경공은 말하였다. “사마양저司馬穰苴의 집으로 옮기겠다.”
앞서서 길을 인도하는 사람이 문앞에서 “임금께서 오십니다.” 하고 알렸다.
사마양저는 갑옷과 투구를 착용한 채 창을 들고 문앞에 서서 말했다.
제후諸侯들 사이에 전쟁戰爭이 있는 것은 아닙니까? 대신大臣 중에 반란叛亂을 일으킨 자가 있는 것은 아닙니까? 임금께서 무슨 일로 정상이 아닌 밤 시간에 저희 집을 찾으셨습니까?”
그러자 경공은 말했다. “맛있는 술과 좋은 음악소리를 그대와 함께 즐기려고 왔소.”
사마양저는 대답하였다. “자리를 깔고 보궤簠簋 같은 그릇을 진열하는 일은 맡아 하는 사람이 있으니, 은 감히 참여하지 않겠습니다.”
이에 경공은 말하였다. “양구거梁丘據의 집으로 옮기겠다.”
앞서서 길을 인도하는 사람이 문앞에서 “임금께서 오십니다.” 하고 알렸다.
양구거는 왼손에는 을 잡고 오른손에는 를 잡고서 노래를 부르며 나왔다.
이를 본 경공은 말했다. “즐겁구나. 오늘밤 나의 술 마신 일이여!
저 안자와 사마양저 두 사람이 있지 않으면 어떻게 내 나라를 다스리며, 이 양구거 같은 한 신하가 있지 않으면 어떻게 내 몸을 즐겁게 하겠는가?”
현명하고 슬기로운 임금에게는 모두 유익有益한 벗이 있고, 향락享樂을 탐하게 하는 신하가 없었다.
그런데 경공은 이런 임금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래서 이 두 종류의 신하를 다 임용하여 겨우 멸망하지 않은 것이다.


역주
역주1 被玄端 : 玄端服을 입는다는 뜻이다. ‘被’는 ‘披’와 통용으로 옷을 걸치거나 입는다는 뜻이다. 玄端服은 옷의 끝부분에 검정색의 선을 둘러 만든 禮服이다. 天子‧諸侯‧士大夫들이 祭服으로 입었으며, 天子의 평상복으로도 썼다. 《周禮 春官 司服》
역주2 : ‘존귀함을 굽혀 찾아주다, 수고롭게 오다’라는 뜻의 謙辭이다.
역주3 薦席 : 바닥에 까는 자리이다.
역주4 簠簋 : 簠와 簋로, 대오리를 결어 만들어 黍稷을 담는 두 가지 禮器이다. 《禮記 樂記》‧《晏子春秋 雜上 12》
역주5 司馬穰苴 : 춘추시대 齊나라 장군으로, 姓은 田, 이름은 穰苴이다. 大司馬를 지냈으므로 司馬穰苴라 한다. 兵法에 깊이 통달하였고 用兵術에 능하여 《司馬穰苴兵法》을 지었다. 《史記 司馬穰苴列傳》
역주6 梁丘據 : 춘추시대 齊나라 大夫로, 景公의 寵臣이다. 梁丘山에 터를 잡아 살았으므로 후손들이 이를 姓으로 삼아 梁丘氏가 되었다. 《晏子春秋 雜上 5》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