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8. 齊威王遊於할새 來奏事호대 從車羅甚衆이어늘
王望之하고 謂左右曰 來者何爲者也
左右曰 成侯卿也니이다
王曰 國至貧也어늘 何出之盛也
左右曰 與人者有以責之也 受人者有以易之也
王試問其說하소서
成侯卿至하야 上謁曰 忌也니이다
王不應한대 又曰 忌也니이다
王不應한대 又曰 忌也니이다
王曰 國至貧也어늘 何出之盛也
成侯卿曰 赦其死罪하사 使臣得言其說하소서 王曰 諾
對曰 忌擧爲西河한대 而秦梁弱하고 忌擧爲南城한대 而楚人抱羅綺而朝하고 忌擧爲冥州한대 而燕人給牲하며 趙人給盛하고
忌擧한대 而於齊足究하고 忌擧한대 而九族益親하며 民益富하니이다
擧此數良人者하야 王枕而臥耳어늘 何患國之貧哉잇가


제 위왕齊 威王요대瑤臺에서 놀 적에 성후경成侯卿이 와서 정사政事를 보고하는데, 늘어서 따르는 수레가 매우 많았다.
위왕威王이 바라보고 곁의 사람에게 물었다. “오는 사람이 누구인가?”
곁의 사람이 말했다. “성후경입니다.”
위왕이 말했다. “나라가 매우 곤궁困窮한데 어떻게 출행出行하면서 저렇게 성대하게 하는가?”
곁의 사람이 말했다. “남에게 물건을 준 사람은 따져 물을 이유가 있고, 남의 물건을 받은 사람은 바꿀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왕께서 그가 무슨 말을 하는지 물어보십시오.”
성후경이 당도하여 위왕을 뵙고 말했다. “추기鄒忌입니다.”
위왕이 대답하지 않자 또 말했다. “추기입니다.”
위왕이 대답하지 않자 또 말했다. “추기입니다.”
위왕이 말했다. “나라가 지극히 곤궁한데 어떻게 출행하면서 이렇게 성대하게 하는가?”
성후경이 대답했다. “신의 죽을죄를 용서하시고 신에게 설명할 말을 하게 해주십시오.” 위왕이 말했다. “좋다.”
성후경이 대답하였다. “저 추기鄒忌전거자田居子를 추천하여 서하西河를 다스리게 하자 나라와 나라가 약화되었고, 제가 전해자田解子를 추천하여 남성南城을 다스리게 하자 나라 사람이 비단을 안고 조현朝見하였고, 제가 검탁자黔涿子를 추천하여 명주冥州를 다스리게 하자 나라 사람은 희생犧牲을 보내왔으며 나라 사람은 자성粢盛(제사에 올리는 곡식)을 보내왔고,
제가 전종수자田種首子를 추천하여 즉묵卽墨을 다스리게 하자 나라의 재정이 충족되었으며, 제가 북곽도발자北郭刀勃子를 추천하여 대사大士로 삼자 구족九族이 더욱 친근해지고 백성은 더욱 부유해졌습니다.
제가 이 훌륭한 몇 사람을 추천하여 왕께서 베개를 높이 베고 누워 걱정이 없게 되었는데, 어찌 나라의 곤궁함을 걱정하십니까?”


역주
역주1 瑤臺 : 아름다운 옥돌로 쌓은 누대로, 화려하게 장식한 누대를 두루 이른다.
역주2 成侯卿 : 齊 威王의 재상 成侯 鄒忌이다. 成侯는 封號, 卿은 上卿이다. 陰陽家로 琴을 연주하며 제 위왕에게 유세하여 재상이 되었다. 유명한 〈鄒忌諷齊王納諫〉이라는 글에 관계 사적이 들어 있다. 《戰國策 齊策 1》
역주3 (綺)[騎] : 저본에는 ‘綺’로 되어 있으나, 《群書拾補》에 ‘騎’로 교정하였고, 《說苑校證》에 “明鈔本‧楚府本에 ‘騎’로 되어 있다.” 한 것에 따라 ‘騎’로 바로잡았다.
역주4 田居子 : 齊 威王 때의 장군이다.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다. 子는 美稱이다.
역주5 田解子 : 齊 威王의 신하로 檀子라고도 하는데,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다.
역주6 黔涿子 : 齊 威王의 신하로 《韓詩外傳》 권10과 《史記》 〈田敬仲完世家〉에는 ‘黔夫’로 되어 있다.
역주7 田種首子 : 齊 威王의 신하로 田은 氏이다. 《韓詩外傳》 권10과 《史記》 〈田敬仲完世家〉에는 種首로 되어 있다.
역주8 卽墨 : 전국시대 齊나라의 邑 이름이다. 지금의 山東省 平度市 남동쪽 卽墨市 지역이다. 漢代에 縣을 두었다. 《史記 田敬仲完世家》‧《漢書 地理志 下》
역주9 北郭(刁)[刀]勃子爲大士 : 刀는 저본에 ‘刁’로 되어 있으나, 《群書拾補》에 “宋本‧元本에 모두 ‘刀’로 되어 있다.” 하였고, 《說苑校證》에 張有의 《復古篇》에 ‘刁’는 응당 ‘刀’로 써야 된다는 설을 인용하여 고쳤기에 이에 따라 ‘刀’로 바로잡았다. 北郭刀勃子는 齊 威王 때의 신하이다. 北郭은 複姓이고, 大士는 刑法을 주관하는 代理이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