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2)

설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3. 諸侯之義 死社稷이어늘 委國而去 何也
夫聖人 不欲强暴侵陵百姓이라 故使諸侯死國하야 守其民이니라
太王有至仁之恩하야 不忍戰百姓이라 故事以犬馬珍幣호되 而伐不止어늘 問其所欲者하니 土地也
於是 屬其群臣耆老而告之하야 曰 土地者 所以養人也 不以所以養으로 而害其養也 吾將去之호리라하고 遂居之下하다
負幼扶老從之하야 如歸父母러라 三遷而民五倍其初者 皆興仁義하야 趣上之事
君子守國安民 非特鬪兵罷殺士衆而已 不私其身하고 惟民足用保民이니 蓋所以去國之義也 是謂至公耳니라


제후諸侯의리義理사직社稷을 위해 죽어야 되는데, 태왕太王이 나라를 버리고 떠나 다른 곳으로 옮긴 것은 무엇 때문인가?
성인聖人강포强暴한 세력으로 하여금 백성을 침해하여 욕을 보이게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후가 나라를 위해 죽음으로써 그 백성을 지키게 한 것이다.
태왕은 지극히 어진 은덕恩德이 있어서 차마 백성을 데리고 전쟁을 할 수가 없었다. 그 때문에 견마犬馬와 진기한 예물을 가지고 훈육勳育융씨戎氏를 섬겼으나 훈육과 융씨의 침공이 그치지 않았다. 태왕이 그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물어보니, 그들이 원하는 것은 토지土地였다.
이에 태왕이 군신群臣과 원로들을 모아놓고 말했다. “토지는 사람을 양육養育하는 것이오. 사람을 양육하는 토지를 가지고 사람을 해쳐서는 안 되니, 나는 장차 이곳을 떠나겠소.” 그러고는 마침내 기산岐山 아래에 가서 살았다.
땅 사람들이 어린아이를 등에 업고 노인을 부축하면서 태왕을 따라 마치 부모를 따라가는 것과 같았다. 거처를 세 번 옮겨서 백성이 처음보다 다섯 배로 늘어난 것은 백성들이 모두 인의仁義에 흥기하여 (태왕太王)의 일에 달려온 것이다.
군자君子가 국가를 수호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일은 단지 전쟁을 하여 병사와 백성을 피곤하게 하고 죽여서 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몸을 사사롭게 위하지 않고 백성의 삶을 풍족하게 하고 보호하는 데 달린 것이다. 이것이 바로 태왕太王이 나라를 버리고 떠난 뜻이니, 이를 지공至公이라 한다.


역주
역주1 太王 : 周 文王의 祖父 古公亶父의 尊號이다. 豳(邠)에서 岐山으로 옮기고 國號를 周라 하였으며, 이때부터 國力이 흥성하여 周 王國의 기틀이 다져졌다. 《逸周書 世俘》‧《孟子 梁惠王 下》‧《史記 周本紀》
역주2 勳育戎氏 : 勳育은 중국 고대 북부 지역의 소수민족 이름이다. 夏‧商 時代에는 獯鬻, 周代에는 獫狁, 秦代부터는 匈奴라 하였다. 《孟子 梁惠王 下》‧《史記 匈奴列傳》‧《後漢書 南匈奴列傳》 戎氏는 중국 고대 서부 지역의 소수민족 이름이다. 《書經 夏書 禹貢》‧《禮記 王制》
역주3 岐山 : 山西省 岐山縣의 동북쪽 60리쯤에 있는 산 이름이다. 《書經 夏書 禹貢》‧《詩經 大雅 緜》
역주4 : 陝西省 旬邑縣 서남쪽에 있었던 옛 나라 이름이다. 周 后稷의 증손 公劉가 이곳에 건국하였다. 豳으로도 쓴다. 《孟子 梁惠王 下》‧《莊子 讓王》‧《說文 邑部 邠》

설원(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