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2)

설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 陳子說梁王한대 梁王說而疑之하야 曰 子何爲去陳侯之國하고 而敎小國之孤於此乎
陳子曰 夫善亦有道 而遇亦有時니이다 衣褐帶하고 而築於之城이러니 武丁夕夢旦得之하야 時王也하고 라가 擊車輻而歌러니 桓公得之하야 時霸也하고 하야 爲秦人虜하니 得之하야 時强也하니이다
論若三子之行하면 未得爲孔子駿徒也어늘 今孔子經營天下하사 南有하시고하야 三坐而五立하사 未嘗離也하시니 孔子之時不行이요 而景公之時怠也니이다 以孔子之聖으로도 不能以時行說之怠하시니 亦獨能如之何乎잇가


진자陳子양왕梁王에게 유세遊說하자, 양왕이 그를 기뻐하면서도 의심하여 말했다. “그대는 어찌하여 진후陳侯의 나라를 떠나 이곳에 와서 작은 나라 임금인 나를 가르치는 거요?”
진자가 말했다. “사람과 사람이 잘 사귀는 데도 가 있고, 서로 만나는 데도 시기가 있는 법입니다. 예전에 부열傅說은 거친 옷을 입고 허리에 새끼줄을 매고서 비부秕傅을 쌓았는데, 무정武丁이 밤에 꿈에서 보고 아침에 찾아 당시에 왕업王業을 이루었고, 영척甯戚은 큰길가에서 남의 소를 먹이다가 수레 바퀴통을 두드리면서 〈석서碩鼠〉를 노래했는데 제 환공齊 桓公이 얻어서 당시에 패업霸業을 이루었으며, 백리해百里奚는 양가죽 다섯 장에 자신을 팔아 나라 사람의 노예가 되었는데 진 목공秦 穆公이 얻어서 당시에 강력한 나라가 되었습니다.
만일 이 세 사람의 행실을 논한다면 공자孔子의 걸출한 문도門徒는 될 수 없습니다. 지금 공자는 천하를 경영하시어 남쪽에 가서는 나라와 나라에서 곤경을 당한 일이 있고, 북쪽에 가서는 제 경공齊 景公에게 뵙기를 청하여 세 번 앉아서 말하고 다섯 번 서서 말씀하시면서 일찍이 그 자리를 떠나지 못했습니다. 공자는 당시에 도를 행하지 못했고, 경공景公은 당시에 권태를 느꼈습니다. 공자 같은 성인聖人도 당시에 권태를 느끼는 경공에게 유세를 시행하지 못했는데, 저 같은 사람이 홀로 어찌하겠습니까?”


역주
역주1 傅說(열) : 殷나라 武丁 때의 賢臣이다. 원래는 傅巖에서 담을 쌓던 인부였는데, 무정이 聖人을 얻는 꿈을 꾸고 부암에서 부열을 찾아 재상으로 삼아 나라가 잘 다스려졌다고 한다. 《書經 商書 說命》‧《孟子 告子 下》‧《史記 殷本紀》
역주2 (劒)[索] : 저본에는 ‘劒’으로 되어 있으나, 《墨子》 〈尙賢 中〉에 “부열이 거친 옷을 입고 허리에 새끼줄을 매고는 부암의 성을 쌓는 데에서 품팔이하였는데, 무정이 구하여 등용해 삼공으로 삼았다.[傅說被褐帶索 庸築乎傅巖 武丁得之 擧以爲三公]”라고 한 것에 근거하여 ‘索’으로 바로잡았다.
역주3 秕傅 : 傅說이 城을 쌓는 일로 품팔이했던 곳은 傅巖으로 전해지고 秕傅는 알려지지 않았다. 《書經》 〈商書 說命 上〉에는 “부열이 부암의 들에서 성을 쌓았다.[說築于傅巖之野]”라 하였고, 《史記》 〈殷本紀〉에는 “이에 백공에게 들에서 찾게 하여 傅險(傅巖) 안에서 부열을 찾았다.[於是迺使百工營求之野 得說於傅險中]”라 하였다.
역주4 甯戚飯牛康衢 : 甯戚은 본서 권1 〈君道〉 18의 주2) 참고. 康衢는 사통팔달의 큰길이다.
역주5 (顧見)[碩鼠] : 저본에는 ‘顧見’으로 되어 있으나, 《群書拾補》에 “《後漢書》 〈馬融傳〉의 注에 이 부분을 인용하면서 ‘碩鼠’로 되어 있어 고쳤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碩鼠’로 바로잡았다. 碩鼠는 《詩經》 〈魏風〉의 篇名으로, 당시의 貪殘한 관리를 큰 쥐에 비유하여 자신을 해치지 말라고 노래한 詩이다.
역주6 百里奚自賣五羊之皮 : 본서 권2 〈臣術〉 09의 주2) 참고.
역주7 穆公 : 秦 穆公이다. 본서 권2 〈臣術〉 09의 주2) 참고.
역주8 陳蔡之阨 : 孔子가 천하를 周遊하면서 겪은 고초를 가리킨다. 陳나라에서는 양식이 떨어져 제자들이 일어나지 못하였고, 蔡나라에서는 공격을 받아 포위되었던 일을 이른다. 《論語 衛靈公》‧《孟子 盡心 下》‧《荀子 宥坐》‧《史記 孔子世家》
역주9 北干景公 : 干은 뵙기를 요청함이고, 景公은 齊 景公이다.

설원(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