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2)

설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其禮奈何
曰 諸侯하고 大夫庶人 以屨二兩加니라 曰 某國 使寡人奉不珍之琮 不珍之屨하야 禮夫人貞女하노라
夫人曰 이나 未諭於之敎어늘 得承執衣裳之事하니 敢不敬拜祝이리잇가 祝答拜니라
夫人受琮하고 取一兩屨以履女하고 正笄衣裳而命之하야 曰 往矣어든 善事爾舅姑하고 以順爲宮室하야 無二爾心하며 無敢回也하라
女拜어든 乃親引其手하야 授夫乎戶니라 夫引手出戶하고 夫行이면 女從이니라 拜辭父於堂하고 拜諸母於大門이니라
夫先升輿執轡어든 女乃升輿하고 轂三轉이어든 然後夫下先行이니라 大夫士庶人 稱其父하야 曰 某之父 某之師友 使其執不珍之屨 不珍之束脩하니 敢不敬禮某氏貞女잇가 母曰 이나 未習於織紝紡績之事어늘 得奉執箕帚之事하니 敢不敬拜리오하나니라


춘추春秋》에 “여름에 노 장공魯 莊公나라에 가서 제나라 여자를 맞이하여 장가들었다.” 하였는데,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에 “이 일을 무엇 때문에 썼는가? 신랑이 신부의 집에 가서 직접 맞이한 것[친영親迎]이니, 예의禮儀에 맞는 일이다.” 하였다.
그 예의는 어떻게 행하는 것인가?
이렇게 대답한다. “제후諸侯친영親迎에는 신 두 쌍에 종옥琮玉을 추가하여 준비하고, 대부大夫서인庶人의 친영에는 신 두 쌍에 속수束脩을 추가하여 준비한다. 친영할 때 이렇게 말한다. ‘아무 나라의 과소군寡小君과인寡人을 보내 보잘것없는 종옥과 보잘것없는 신을 받들어 부인夫人정결貞潔한 따님에게 예물로 드리게 하셨습니다.’
부인은 이렇게 말한다. ‘깊은 규중閨中에서 자란 딸이 있어 그대의 청혼請婚을 여러 차례 받았으나 부모傅母의 가르침을 받지 못했는데 옷을 대령하여 모시는 일을 받았으니, 감히 공경히 절하며 축하하지 않겠습니까.’ 군주君主를 대신하여 답배答拜한다.
부인이 종옥을 받고 한 쌍의 신을 가져다가 딸에게 신기고 나서 비녀를 바르게 꽂아주고 의복을 갖추어 입히고는 딸에게 타이른다. ‘시댁에 가거든 너의 시아버지와 시어머니를 잘 섬기고, 온순한 태도로 집안을 화목하게 하여 네 속에 두 마음을 품지 말며 감히 돌아올 생각을 하지 말라.’
딸이 작별인사를 하면 곧 직접 그 손을 끌어당겨 방문 앞에서 신랑에게 인계해준다. 신랑은 신부의 손을 이끌고 방문을 나가고, 신랑이 앞서서 가면 신부는 그 뒤를 따라간다. 대청에서 아버지께 절하여 하직하고 대문大門에서 어머니께 절하여 이별한다.
신랑이 먼저 수레에 올라 고삐를 잡으면 신부가 곧 수레에 오르고, 바퀴가 세 번 구른 뒤에 신랑은 수레에서 내려 앞서서 간다. 대부大夫서인庶人의 친영은 아버지의 명의名義를 들어 말한다. ‘아무개의 아버지와 아무개의 사우師友가 저에게 보잘것없는 신과 보잘것없는 속수束脩를 가지고 가게 하였으니, 감히 아무 씨의 정결한 따님에게 공경히 예의禮儀를 행하지 않겠습니까.’ 신부의 어머니는 이렇게 말한다. ‘초야草野에서 생장한 딸이 있으나 바느질과 베 짜는 일을 익히지 못했는데 쓰레받기와 비를 들고 청소하는 일을 받들게 되었으니, 감히 공경히 절하여 사례하지 않겠습니까.’”


역주
역주1 夏公如齊逆女 : 《春秋》 莊公 24년조에 보인다. 公은 魯 莊公(이름은 同)이고, 女는 장공의 부인 哀姜이다.
역주2 何以書……禮也 : 《春秋公羊傳》 莊公 24년조에 보인다.
역주3 屨二兩加琮 : 신 두 쌍에 琮을 추가하여 예물로 삼는다는 말이다. 종은 네모난 기둥 모양으로 만들어 가운데 둥근 구멍을 뚫은 瑞玉인데, 禮器‧幣帛‧符節 등으로 사용한다. 《周禮 春官 大宗伯》‧《儀禮 聘禮》
역주4 束脩 : 열 가락을 묶은 肉脯를 이른다. 예물로 썼다. 《論語 學而》
역주5 寡小君 : 옛날 다른 나라 사람을 상대하여 자기 나라 君主의 부인을 謙辭로 이르던 말이다. 여기서는 莊公의 어머니인 太后를 가리킨다. 《儀禮 聘禮》‧《論語 季氏》
역주6 有幽室數(삭)辱之産 : 깊은 閨中에서 자란 딸이 있어 그대의 請婚을 여러 차례 받았다는 말이다. 辱은 상대방에게 무엇을 받았음을 謙辭로 이르는 말이다.
역주7 傅母 : 옛날 귀족 자녀의 保育과 輔導의 책임을 맡은 나이 많은 婦人을 이른다. 《春秋穀梁傳 襄公 30년》
역주8 有草茅之産 : 草野에서 생장한 딸이 있다는 謙辭의 말이다.

설원(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