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8. 景公正晝 被髮乘六馬하고 御婦人하야 以出하다
擊其馬而反之하야 曰 爾非吾君也라하니
公慙而不朝하다
晏子睹而問曰 君何故不朝
對曰 昔者 君正晝 被髮乘六馬하고 御婦人하야 出正閨하니
刖跪擊其馬而反之하야 曰 爾非吾君也라하니 公慙而反하사 不果出이라 是以不朝니이다
晏子入見한대 公曰 昔者 寡人有罪
被髮乘六馬하고 以出正閨러니
刖跪擊馬而反之하야 曰 爾非吾君也라하니
寡人以子大夫之賜 得率百姓以守宗廟라가 今見戮於刖跪하야 以辱社稷하니 吾猶可以齊於諸侯乎
晏子對曰 君無惡焉하소서
臣聞之컨대 下無直辭隱君하고 民多諱言이면 君有驕行이라호이다
古者 明君在上이면 下有直辭하고 君上好善이면 民無諱言하니이다
今君有失行 而刖跪有直辭하니 是君之福也
故臣來慶하노니 請賞之하사 以明君之好善하시고 禮之하사 以明君之受諫하소서
公笑曰 可乎 晏子曰 可하니이다
於是令刖跪倍資無하고 時朝無事하다


제 경공齊 景公이 대낮에 머리를 풀어헤친 채 여섯 마리 말이 끄는 수레에 부인을 데리고 궁중의 작은 문을 통해 밖으로 나갔다.
월궤刖跪가 말을 쳐서 수레를 궁중으로 되돌아가게 하면서 말하였다. “너는 우리 임금이 아니다.”
그러나 경공은 이를 부끄럽게 여겨 조회朝會를 열지 않았다.
안자晏子예오裔敖를 보고 물었다. “임금께서 어찌하여 조회를 열지 않는가?”
이에 예오는 대답하였다. “지난번에 임금께서 대낮에 머리를 풀어헤친 채 여섯 마리 말이 끄는 수레에 부인을 데리고 궁중의 작은 문을 통해 밖으로 나갔습니다.
월궤가 말을 쳐서 수레를 궁중으로 되돌아가게 하면서 ‘너는 우리 임금이 아니다.’라 하니, 이 부끄럽게 여기고 돌아와서 과감히 외출을 못하기 때문에 조회를 열지 않는 것입니다.”
안자가 들어가 경공을 뵙자 경공이 말했다. “지난번에 과인寡人이 죄를 지었소.
머리를 풀어헤친 채 여섯 마리 말이 끄는 수레에 부인을 데리고 궁중의 작은 문을 통해 밖으로 나갔었다오.
월궤가 말을 쳐서 수레를 궁중으로 되돌아가게 하면서 ‘너는 우리 임금이 아니다.’라 하였소.
과인이 그대 대부大夫가 준 은덕으로 백성을 통솔하여 종묘宗廟를 지키다가 지금 월궤에게 모욕을 당하여 사직社稷을 욕보였으니, 내가 그러고도 제후들과 나란히 설 수 있겠소?”
이에 안자는 대답하였다. “임금께서는 이를 부끄러워하지 마십시오.
은 들으니 아래에 바른말하는 신하가 없으면 위에 어두운 임금이 있고, 백성들이 기피하는 말이 많으면 임금은 교만한 행동이 있다 하였습니다.
옛날 현명한 임금이 위에 있으면 아래에 바른말하는 신하가 있고, 임금이 을 좋아하면 백성들은 기피하는 말이 없었습니다.
현재 임금에게 잘못된 행위가 있자 월궤가 바른말을 하였으니 이는 임금님의 복입니다.
그래서 이 와서 경하慶賀를 드리오니, 그에게 상을 주시어 임금께서 을 좋아함을 밝히시고, 그를 예우하시어 임금께서 간언諫言을 받아들임을 표명表明하십시오.”
그제야 경공은 웃으면서 말하였다. “그래도 되겠습니까?” 안자는 대답했다. “됩니다.”
이에 월궤에게 곱절의 재물을 상으로 주었으며 세금을 징수하지 말도록 하니, 당시에 조정이 태평무사太平無事하였다.


역주
역주1 正閨 : 宮中의 작은 문이다. 《晏子春秋 雜上 11》‧《爾雅 釋宮》
역주2 刖跪 : 다리를 자르는 형벌을 받은 사람이다. 고대에 흔히 다리가 잘린 刑人으로 문을 지키게 하였다. 跪는 危로도 쓴다. 《晏子春秋 雜上 11》‧《韓非子 外儲說 左下》
역주3 裔敖 : 사람 이름이다. 평생 행적은 미상이다.
역주4 〈以〉 : 저본에는 ‘以’가 없으나, 위 아래의 동일 句에 모두 ‘以’자가 있고, 《晏子春秋》 〈內篇 雜上〉에도 ‘以’자 있어서 보충하였다.
역주5 {其} : 《群書拾補》에 “위 구절의 ‘其’자는 당연히 있어야 하지만, 이 구절은 景公의 自述이니 ‘其’는 衍文이다. 《太平御覽》 권455에는 ‘其’자가 없다.” 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6 {天} : 《說苑校證》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7 (無)[有] : 저본에는 ‘無’로 되어 있으나, 《說苑校證》에 “《群書拾補》에는 ‘有’로 고쳤고, 宋本‧明鈔本에 모두 ‘有’자로 되어 있어서 고쳤다.”는 說에 따라 ‘有’로 고쳤다.
역주8 : 세금을 징수하다. ‘征’과 같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