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7. 成王問政於曰 吾何德之行이라야 而民親其上
對曰 使之以時而敬順之하며 忠而愛之하며 布令信而不食言이니이다
王曰 其度安至 對曰 이니이다
王曰 懼哉로다 對曰 天地之間 四海之內 善之則하고 不善則讐也니이다
夏殷之臣 反讐桀紂而臣湯武하고 之民 自攻其主而歸神農氏하니 君之所明知也
若何其無懼也리잇고


성왕成王윤일尹逸에게 정치政治에 대해 물었다. “내가 무슨 을 시행하여야 백성들이 윗사람을 친근히 하겠소?”
윤일이 대답했다. “백성을 때에 맞게 부리고 공경恭敬하여 따르며 충심忠心으로 사랑하며 반포하는 명령命令을 믿게 하여 약속한 말을 어기지 않아야 합니다.”
성왕이 다시 말했다. “그 정도는 어디까지로 해야 합니까?” 윤일이 대답하였다. “깊은 연못가에 도달한 듯, 얇은 얼음을 밟은 듯이 조심해야 합니다.”
성왕이 다시 말했다. “두렵군요!” 윤일이 대답했다. “천지天地 사이와 사해四海 안의 백성을 잘 대해주면 기뻐하고, 잘 대해주지 않으면 원수怨讐처럼 여기는 것입니다.
나라와 나라의 백성이 도리어 걸왕桀王주왕紂王을 원수로 여기어 탕왕湯王무왕武王에게 신복臣服하였고, 숙사국夙沙國의 백성이 스스로 그의 임금을 공격하여 신농씨神農氏에게 귀순하였으니, 이는 임금께서도 분명히 아시는 일입니다.
어찌 두려워하지 않겠습니까?”


역주
역주1 尹逸 : 周나라 때의 史官이다. 周 成王이 오동잎으로 圭를 만들어 아우 叔虞에게 이것으로 너를 封해주겠다고 실없이 놀렸다. 尹逸이 “天子는 실없이 놀리는 말이 없어야 한다.”고 하자, 成王이 叔虞를 唐에 봉하였다 한다. 逸은 佚로도 쓰며 史佚이라고도 한다. 《史記 晉世家》‧《淮南子 道應訓》
역주2 如臨深淵 如履薄氷 : 《詩經》 〈小雅 小旻〉에 보인다.
역주3 : ‘기뻐하다, 좋아하다’의 뜻이다. 《孟子》 〈梁惠王 下〉에 “임금을 기쁘게 하는 것이 어찌 허물이겠는가? 임금을 기쁘게 하는 것은 임금을 좋아하는 것이다.[畜君何尤 畜君者 好君也]”라 하였다. 《孟子注疏》에는 ‘畜’을 “임금을 기쁘게 하다.[悅君]”라 하였다.
역주4 夙沙 : 고대의 나라 이름이다. 지금의 山東省 膠東 지역에 있었다. 宿沙로도 쓴다. 《呂氏春秋 用民》‧《淮南子 道應訓》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