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2)

설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6. 問於墨子曰 錦繡絺紵 將安用之잇가
墨子曰 惡 是非吾用務也니라 古有無文者하야 得之矣 夏禹是也 卑小宮室하고 損薄飮食하며 土階三等하고 當此之時하야 無所用하야 而務在於完堅하니라
殷之 大其先王之室하고 而改遷於하야 茅茨不剪하고 하야 以變天下之視하니 當此之時하야 文采之帛 將安所施리오 夫品庶非有心也 以人主爲心하니
苟上不爲 下惡用之리오 二王者身先於天下 故化隆於其時하고 成名於今世也니라 且夫錦繡絺紵 亂君之所造也 其本皆興於齊하니 景公喜奢而忘儉이로되 幸有晏子以儉 然猶幾不能勝하니 夫奢安可窮哉
紂爲하고 宮牆文畫하며 雕琢刻鏤하고 錦繡被堂하며 金玉珍瑋하고 婦女優倡 鐘鼓管絃 流漫不禁하야 而天下愈竭이라 故卒身死國亡하야 爲天下戮하니 非惟錦繡絺紵之用耶 今當凶年하야 有欲予子하야 不得賣也 珍寶而以爲飾하고 又欲予子一粟者호되 得珠者 不得粟하고 得粟者 不得珠 子將何擇
禽滑釐曰 吾取粟耳 可以救窮이니이다 墨子曰 誠然이면 則惡在事夫奢也리오 長無用이니 好末淫 非聖人所急也 故食必常飽라야 然後求美하고 衣必常暖이라야 然後求麗하며 居必常安이라야 然後求樂이라 爲可常하고 行可久인댄 先質而後文이니 此聖人之務니라 禽滑釐曰 善하니이다


금활리禽滑釐묵자墨子에게 물었다. “수놓은 비단과 곱게 짠 갈포葛布를 어디에 쓰시렵니까?”
묵자가 대답했다. “아, 이것은 내가 힘쓸 일이 아니다. 고대에 화려하게 꾸미지 않은 사람이 있어서 이 도리를 터득하였으니, 하우夏禹가 이분이다. 집은 낮고 작으며, 음식은 줄이고 변변찮으며, 세 층의 흙 계단만 쌓고, 의복은 작은 베 조각을 이어 만들었다. 이런 때에는 보불黼黻을 쓸 곳이 없어서 완전하고 견고한 데에 힘썼다.
나라의 반경盤庚은 선왕이 이룩한 왕실王室을 확대하고 도읍을 바꾸어 으로 옮겨서 띠로 이은 추녀의 끝을 가지런하게 자르지 않고 떡갈나무 서까래를 깎아 다듬지 아니하여 천하 사람들의 인식을 변화시켰다. 이런 때에 화려한 비단을 장차 어디에 쓰겠는가. 백성[품서品庶]은 주견이 없어, 임금이 좋아하는 것으로 마음을 삼는다.
만일 윗사람이 하지 않으면 아랫사람이 어찌 그것을 쓰겠는가. 앞의 두 제왕帝王은 자신이 천하 사람들에게 솔선하였다. 그러므로 그 당시에 교화가 크게 행해지고, 지금까지 아름다운 명성이 전해진다. 게다가 수놓은 비단과 곱게 짠 갈포葛布는 혼란한 군주가 만들어낸 것이다. 그 근원은 모두 나라에서 시작되었으니, 제 경공齊 景公이 사치를 좋아하여 검소함을 잊었으나, 다행히 안자晏子가 있어서 검소의 도리를 경계하여 권면하였다. 그러나 거의 완전히 극복하지 못하였으니, 사치하는 풍조를 어찌 그치게 할 수 있겠는가.
은주殷紂녹대鹿臺조구槽丘주지酒池육림肉林을 만들고, 궁궐 담에 그림을 그리며, 기둥과 들보를 아름답게 조각하고, 수놓은 비단이 을 덮으며, 금옥金玉 같은 진보珍寶가 그득하고, 미녀와 광대, 종고鐘鼓관현악기管絃樂器를 질탕하게 울리고 방종한 생활을 금하지 않아 천하의 재력이 더욱 고갈되었다. 그 때문에 끝내 자신은 죽고 나라는 멸망하여 천하 사람들의 치욕을 받았으니, 수놓은 비단과 곱게 짠 갈포葛布를 써서 사치한 일에 기인한 것이 아니겠는가. 지금 흉년을 당하여 어떤 이가 너에게 수후隨侯의 구슬을 주려고 하면서 말하기를, ‘팔아서는 안 되니, 진보珍寶로 여겨 장식품을 만들어라.’ 하고, 또 어떤 이가 너에게 한 의 곡식을 주려고 하되, 구슬을 얻은 자는 곡식을 얻을 수 없고, 곡식을 얻은 자는 구슬을 얻을 수 없다고 하면, 자네는 어떤 것을 선택하겠느냐?”
금골리가 말했다. “저는 곡식을 취하겠으니, 곡식은 곤궁을 구제할 수 있습니다.”묵자가 말했다. “진실로 그렇다면 어찌 사치를 일삼을 필요가 있겠는가. 사치하는 물건은 영원히 쓸데없는 것이다. 말단의 향락적인 것은 성인이 긴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러므로 먹는 것은 반드시 항상 배가 부른 뒤에야 맛있는 음식을 찾고, 입는 것은 반드시 항상 몸이 따뜻한 뒤에야 화려한 옷을 찾으며, 거처는 반드시 항상 편안한 뒤에야 안락한 거처를 찾는 것이다. 항상 할 수 있고 오래갈 수 있는 것을 고려한다면 질박함을 먼저 추구하고 문식을 뒤에 강구하여야 한다. 이것이 성인이 힘쓸 일이다.”금골리가 말했다. “좋은 말씀입니다.”


역주
역주1 禽滑(골)釐 : 전국시대 魏나라 사람이다. 처음에 子夏에게 受業하였고, 뒤에 墨子의 제자가 되었다. 《墨子 備城門》
역주2 衣裳細布 : ‘細布로 지었다.’로 번역하면 좋겠으나, 細布는 가는 실로 곱게 짠 베이기 때문에 질박함과는 맞지 않아 이렇게 번역하였다.
역주3 〈黼〉黻 : 저본에는 ‘黼’자가 없으나, 《群書拾補》에 “‘黼’자가 빠졌으니, 《太平御覽》 권820에 ‘黼’자가 있다.” 하였다. 《說苑校證》도 이를 인정하여 보충하였으므로 이를 따라 보충하였다. 黼는 옛날 禮服에 흰색과 검정색을 섞어서 도끼[斧] 모양을 수놓아 일을 결단하여 처리하는 뜻을 상징하였다. 黻은 예복에 검정색과 청색을 섞어 亞자 모양을 수놓은 문양을 이른다. 《書經 虞書 益稷》
역주4 盤庚 : 殷나라 제17대 왕이다. 湯王의 9대손이고, 祖丁의 아들인데, 형 陽甲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귀족들의 사치 풍조를 혁신하였고, 수재를 피해 奄에서 殷으로 천도하여 나라를 중흥하였다. 《書經 商書 盤庚》‧《史記 殷本紀》
역주5 : 商王 盤庚이 奄에서 새로 옮긴 國都이다. 지금의 河南省 安陽市에 있었다. 殷墟로 일컬어지며, 이곳으로 遷都한 이후를 은나라로 불렀다. 이곳에서 273년 동안 존속하였다. 《書經 商書 盤庚》‧《詩經 大雅 文王》‧《孟子 公孫丑 上》
역주6 采椽不斲 : 采椽은 떡갈나무[櫟木]나 상수리나무[柞木]로 만든 서까래이다. 떡갈나무나 상수리나무로 만든 서까래를 깎아 다듬지 않았다는 뜻으로, 검소함을 이른다. 《韓非子 五蠹》‧《史記 太史公自序》
역주7 {化} : 저본에는 ‘化’자가 있으나, 《群書拾補》에 “‘化’자는 衍文이다.”라고 한 것을 따라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8 : ‘경계하여 勸勉하다’의 뜻이다.
역주9 鹿臺糟丘酒池肉林 : 鹿臺는 본서 권15 〈指武〉 16의 주4) 참고. 糟丘는 술지게미가 쌓여 언덕을 이루었다는 뜻으로, 술을 아주 많이 빚어 지나치게 술에 취해 지냈음을 극도로 말한 것이다. 《尸子 下》‧《韓詩外傳 4》 酒池肉林은 술로 연못을 삼고, 고기를 매달아 숲으로 삼았다는 뜻으로, 지극히 호화롭고 사치한 생활을 이른다. 《韓非子 喻老》‧《史記 殷本紀》
역주10 隨侯之珠 : 본서 권17 〈雜言〉 10의 주4) 참고.
역주11 〈曰〉 : 저본에는 ‘曰’자가 없으나, 《說苑校證》에 인용한 《太平御覽》과 《事類賦》 注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2 : 고대의 容量 단위이다. 춘추시대 齊나라 公室에서 사용한 용량은 6斛 4斗였다. 《春秋左氏傳 昭公 3년》

설원(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