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夫爲人君하야 行其私欲而不顧其人이면 是不承天意하고 忘其位之所以宜事也
如此者 春秋不予能君하고 而夷狄之하니 故有夷狄不君之辭하니라
人主不以此自省하야 惟旣以失實이면 心奚因知之리오
故曰 라하니 此之謂也니라


하늘이 백성을 탄생한 것은 임금을 위한 것이 아니고, 하늘이 임금을 세운 것은 임금의 지위地位를 위한 것이 아니다.
임금이 되어 개인의 사욕私慾만 행하고 백성은 돌보지 않으면 이는 하늘의 뜻을 받들지 않고 임금의 지위에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을 잊은 것이다.
이와 같은 사람은 《춘추春秋》에서 현능賢能한 임금이라 인정치 않고 이적夷狄으로 간주하였으니, 정백鄭伯이 한 사람을 미워하여 그의 군대까지 아울러 버렸기 때문에 “이적으로 간주하고 임금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는 말이 있게 된 것이다.
임금이 이것으로 자신을 반성하지 아니하여, 행위行爲가 이미 하늘이 임금을 세운 실정을 잃으면 그의 마음은 무엇에 의하여 자기가 해야 할 일을 알겠는가?
이 때문에 “나라를 소유한 사람은 《춘추春秋》를 배우지 않으면 안 된다.”라 하였으니, 이런 경우를 이른 말이다.


역주
역주1 夫天之生人也……此之謂也 : 이 章은 저본에 위의 章과 이어져 있었으나, 《群書拾補》에서 宋本‧元本에 의하여 別章으로 교정한 것을 따라 章을 달리하였다.
역주2 鄭伯惡一人 而兼棄其師 : 鄭伯은 鄭 文公이고, 一人은 鄭나라 大夫 高克이다. 鄭 文公이 고극을 미워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河上에 주둔하여 狄을 막게 하고는 오랫동안 부르지 않으니 군사들이 흩어져 돌아가자 고극은 陳나라로 달아났다. 이 일을 詩人이 〈淸人〉이라는 시를 지어 기롱하였다. 《春秋左氏傳 閔公 2년》‧《詩經 鄭風 淸人》
역주3 有國者 不可以不學春秋 : 이 말은 본래 子夏의 말로, 《春秋繁露》 〈兪予〉에 보인다. 《史記》 〈太史公自序〉에도 보이는데 다만 ‘學’자가 ‘知’자로 되어 있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