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9.
鼓琴할새 聽之러니 方鼓而志在太山한대 鍾子期曰
善哉乎鼓琴이여 巍巍乎若太山이로다
少選之間 而志在流水한대 鍾子期復曰
善哉乎鼓琴이여 湯湯乎若流水로다
鍾子期死 伯牙破琴絶弦하고 終身不復鼓琴하니 以爲世無足爲鼓琴者
非獨鼓琴若此也 賢者亦然하니
雖有賢者라도 而無以接之 賢者奚由盡忠哉리오
驥不自至千里者而後至也


백아伯牙을 연주할 때 종자기鍾子期가 듣고 있었는데, 백아가 막 연주하면서 마음이 태산太山에 가 있자, 종자기는 말했다.
“훌륭하구나, 을 연주하는 소리여. 높고 높은 태산 같구나.”
잠깐 사이에 백아의 마음이 흐르는 물에 가 있자, 종자기는 다시 말했다.
“훌륭하구나, 을 연주하는 소리여. 넘실넘실 흐르는 물과 같구나.”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을 부숴 을 끊어버리고 죽을 때까지 다시는 을 연주하지 않았으니, 세상에 더 이상 을 연주하여 들려줄 만한 사람이 없다고 여겨서이다.
단지 을 연주하는 일만 이와 같을 뿐 아니라, 어진 이의 일도 이와 같다.
어진 이가 있더라도 예의를 갖추어 대접하지 않으면 어진 이가 어떻게 충성을 다하겠는가?
준마駿馬가 스스로 천 리를 가지 못하니, 백락伯樂이 배양하기를 기다린 뒤에 갈 수 있는 것이다.


역주
역주1 伯牙子 : 춘추시대 琴 연주의 名人, 곧 兪伯牙이다. 일찍이 成連先生에게 琴을 배웠으나 3년 동안 이루어지지 않자 成連을 따라 東海의 蓬萊山에 가서 파도소리와 새 울음소리를 듣고 깨달음이 있어 명인이 되었다 한다. 《琴操 水仙操》‧《荀子 勸學》‧《呂氏春秋 本味》
역주2 鍾子期 : 춘추시대 楚나라 사람이다. 伯牙가 琴을 연주할 때 마음이 높은 산이나 흐르는 물에 가 있으면 연주 소리를 듣고 그의 마음을 알았다. 鍾子期가 죽은 뒤 백아는 세상에 音律을 아는 사람이 없다 하여 琴을 부수고 弦을 끊어버린 다음 다시는 琴을 연주하지 않았다 한다. 《呂氏春秋 本味》‧《淮南子 修務訓》‧《七諫 謬諫》
역주3 伯樂 : 춘추시대 秦 穆公 때 사람으로, 이름은 孫陽이다. 말의 相을 잘 보는 것으로 유명하여 伯樂이 한번 지나가면 그 지방에 온전한 말이 없었다 한다. 《列子 說符》‧《莊子 馬蹄》‧《呂氏春秋 觀表》
역주4 伯牙子鼓琴……待伯樂而後至也 : 이 章은 저본에 위의 章과 연결되어 있으나, 《群書拾補》와 《說苑校證》에 의거하여 別章으로 하였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