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
		                       		
		                       		
		                        		
			                            	[目]파巴나라와 촉蜀나라가 서로 공격하여 모두 급한 상황을 진秦나라에 알렸다.
			                             
									
                        			
                        			
                        		
	                     		
			                       	
			                       	
	                     		
		                        
                        	
		                        
		                        
		                        
		                        
                        		
                        	
		                        
		                        
		                        
		                        
                        		
                        		
                        		
                        			
                        			
		                       		
		                       		
		                       		
		                       		
		                        		
			                            	진秦나라 
혜왕惠王이 
촉蜀나라를 정벌하려고 하자
注+① 혜왕惠王은 바로 혜문왕惠文王이다.한韓나라가 또 침략하여 왔다.
 
			                             
									
                        			
                        			
                        		
	                     		
			                       	
			                       	
	                     		
		                        
                        	
		                        
		                        
		                        
		                        
                        		
                        	
		                        
		                        
		                        
		                        
                        		
                        		
                        		
                        			
                        			
		                       		
		                       		
		                       		
		                       		
		                        		
			                            	사마조司馬錯가 
촉蜀나라를 정벌하자고 청하자
注+② 착錯은 음이 조措이니 이름이다., 
장의張儀가 말하기를 “
한韓나라를 정벌하는 것만 같지 못합니다.”라고 하니, 
왕王이 이르기를 “청컨대 그 이유를 듣고자 합니다.”라고 하였다.
 
			                             
									
                        			
                        			
                        		
	                     		
			                       	
			                       	
	                     		
		                        
                        	
		                        
		                        
		                        
		                        
                        		
                        	
		                        
		                        
		                        
		                        
                        		
                        		
                        		
                        			
                        			
		                       		
		                       		
		                       		
		                       		
		                        		
			                            	장의가 말하기를 “
위魏나라와 친하게 지내고 
초楚나라와 잘 지내면서 병사를 
삼천三川으로 내려보내 
신성新城과 
의양宜陽을 공격해서 두 
주周나라의 
교외郊外까지 이르고 
구정九鼎을 점거하고 
지도地圖와 
호적戶籍을 살펴서 
천자天子를 끼고 
천하天下를 호령하면 
천하天下에 감히 듣지 않는 나라가 없을 것이니 이는 
왕업王業입니다.
注+③ 이수伊水와 낙수洛水와 하수河水가 삼천三川이다. 진秦나라가 나중에 삼천군三川郡을 두었는데, 한漢나라가 하남군河南郡으로 고쳤다. 《한서漢書》 〈지리지地理志〉에 “신성현新城縣은 하남군河南郡에 속한다.”고 하였다. 이주二周는 곧 동주東周와 서주西周이다. 하夏나라 우禹임금이 구목九牧에서 금金을 바치게 하여 구정九鼎을 만들어 구주九州의 상징물로 하였는데 마침내 삼대三代가 전하는 국보國寶가 되었다. 도적圖籍은 지리도地理圖 및 호구판적戶口版籍이다. 
									
                        			
                        			
                        		
	                     		
			                       	
			                       	
	                     		
		                        
                        	
		                        
		                        
		                        
		                        
                        		
                        	
		                        
		                        
		                        
		                        
                        		
                        		
                        		
                        			
                        			
		                       		
		                       		
		                       		
		                       		
		                        		
			                            	신은 들으니 이름을 다투는 자는 조정에 있고, 이익을 다투는 자는 저자에 있다고 합니다.
			                             
									
                        			
                        			
                        		
	                     		
			                       	
			                       	
	                     		
		                        
                        	
		                        
		                        
		                        
		                        
                        		
                        	
		                        
		                        
		                        
		                        
                        		
                        		
                        		
                        			
                        			
		                       		
		                       		
		                       		
		                       		
		                        		
			                            	지금 삼천三川과 주실周室은 천하天下의 조정과 저자입니다.
			                             
									
                        			
                        			
                        		
	                     		
			                       	
			                       	
	                     		
		                        
                        	
		                        
		                        
		                        
		                        
                        		
                        	
		                        
		                        
		                        
		                        
                        		
                        		
                        		
                        			
                        			
		                       		
		                       		
		                       		
		                       		
		                        		
			                            	왕王께서 이를 다투지 않으시고 도리어 융적戎翟과 다투게 되니 왕업王業에서 멀어질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신은 들으니 나라를 부유하게 하려는 자는 그 땅을 넓히는 데 힘쓰고, 군대를 강하게 하려는 자는 그 백성을 부유하게 하는 데 힘쓰며, 왕이 되려고 하는 자는 그 덕을 넓히는 데 힘쓴다고 하니, 이 세 가지 바탕이 갖추어지면 왕업은 따라올 것입니다.
			                             
									
                        			
                        			
                        		
	                     		
			                       	
			                       	
	                     		
		                        
                        	
		                        
		                        
		                        
		                        
                        		
                        	
		                        
		                        
		                        
		                        
                        		
                        		
                        		
                        			
                        			
		                       		
		                       		
		                       		
		                       		
		                        		
			                            	지금 
왕王이 땅은 작고 백성은 가난하므로 신은 먼저 쉬운 일에서부터 종사하기를 원합니다.
注+④ 이易(쉽다)는 거성去聲이다. 
									
                        			
                        			
                        		
	                     		
			                       	
			                       	
	                     		
		                        
                        	
		                        
		                        
		                        
		                        
                        		
                        	
		                        
		                        
		                        
		                        
                        		
                        		
                        		
                        			
                        			
		                       		
		                       		
		                       		
		                       		
		                        		
			                            	저 
촉蜀나라는 서쪽에 치우친 나라로 
융적戎翟의 우두머리인데 
걸桀과 
주紂의 시대와 같은 혼란함이 있으니, 
진秦나라가 그들을 공격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승냥이와 이리로 하여금 양 떼를 쫓게 하는 것과 같습니다.
注+⑤ 시豺는 이리의 종류이다. 
									
                        			
                        			
                        		
	                     		
			                       	
			                       	
	                     		
		                        
                        	
		                        
		                        
		                        
		                        
                        		
                        	
		                        
		                        
		                        
		                        
                        		
                        		
                        		
                        			
                        			
		                       		
		                       		
		                       		
		                       		
		                        		
			                            	그 땅을 얻으면 나라를 넓힐 수 있고 그 재물을 취하면 백성들을 부유하게 할 수 있으며 병사를 잘 다스리면 많은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고 
촉蜀나라가 복속될 것입니다.
注+⑥ 선繕은 다스림이다. 
									
                        			
                        			
                        		
	                     		
			                       	
			                       	
	                     		
		                        
                        	
		                        
		                        
		                        
		                        
                        		
                        	
		                        
		                        
		                        
		                        
                        		
                        		
                        		
                        			
                        			
		                       		
		                       		
		                       		
		                       		
		                        		
			                            	나라 하나를 함락시켰는데도 천하가 포악하다고 여기지 않고, 이익이 
서해西海를 다하여도 천하가 탐욕스럽다고 여기지 않으며
注+⑦ 서해西海는 촉천蜀川을 말한다. 바다는 진귀한 물품이 모여 생기는 곳으로 진秦나라 안에 육해陸海가 있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 그 실상은 서쪽에 또한 바다가 있어서 서해西海라고 한 것이다., 또 포악을 금지하고 혼란을 그치게 하였다는 명성이 있게 되니, 이는 우리가 한 번 움직임에 명분과 실리가 따라오는 것입니다.
注+⑧ 명名은 그 덕德을 넓히는 것을 이르고, 실實은 토지土地와 재보財寶를 얻음을 이른다. 
									
                        			
                        			
                        		
	                     		
			                       	
			                       	
	                     		
		                        
                        	
		                        
		                        
		                        
		                        
                        		
                        	
		                        
		                        
		                        
		                        
                        		
                        		
                        		
                        			
                        			
		                       		
		                       		
		                       		
		                       		
		                        		
			                            	지금 
한韓나라를 공격하여 
천자天子를 겁주는 것은 명성을 나쁘게 하는 것이고, 천하가 하고자 하지 않는 것을 공격하면 또 반드시 이롭지 않을 것이니, 
촉蜀나라를 정벌하여 온전히 하는 것만 같지 못합니다.”
注+⑨ 완完은 온전함이니, 군대로 촉蜀을 정벌하여 완전하게 빼앗는 것을 말한다.라고 하였다.
 
									
                        			
                        			
                        		
	                     		
			                       	
			                       	
	                     		
		                        
                        	
		                        
		                        
		                        
		                        
                        		
                        	
		                        
		                        
		                        
		                        
                        		
                        		
                        		
                        			
                        			
		                       		
		                       		
		                       		
		                       		
		                        		
			                            	왕王이 이 말을 따라 군대를 일으켜 촉蜀나라를 정벌하여 10월에 빼앗았다.
			                             
									
                        			
                        			
                        		
	                     		
			                       	
			                       	
	                     		
		                        
                        	
		                        
		                        
		                        
		                        
                        		
                        	
		                        
		                        
		                        
		                        
                        		
                        		
                        		
                        			
                        			
		                       		
		                       		
		                       		
		                       		
		                        		
			                            	진秦나라가 더욱 강하고 부유하게 되어 제후諸侯들을 경시하였다.
			                             
									
                        			
                        			
                        		
	                     		
			                       	
			                       	
	                     		
		                        
                        	
		                        
		                        
		                        
		                        
                        		
                        	
		                        
		                        
		                        
		                        	
		                        	
		                        
		                        
                        		
                        		
                        		
                        			
                        			
		                       		
		                       		
		                       		
		                       			
		                        			
		                        				
		                        				 
		                        			
		                       			
		                       			
		                       			
		                       				目
		                       		
		                       		
		                        		
			                            	[目]연燕나라 정승 자지子之가 소진蘇秦의 동생 소대蘇代와 혼인을 맺어 연燕나라의 권력을 얻고자 하였다.
			                             
									
                        			
                        			
                        		
	                     		
			                       	
			                       	
	                     		
		                        
                        	
		                        
		                        
		                        
		                        
                        		
                        	
		                        
		                        
		                        
		                        
                        		
                        		
                        		
                        			
                        			
		                       		
		                       		
		                       		
		                       		
		                        		
			                            	소대가 제齊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오자, 연燕나라 왕이 묻기를 “제齊나라 왕이 패자霸者가 되겠는가?”라고 하니, 대답하기를 “될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말하기를 “무슨 까닭인가?”라고 하자, 대답하기를 “그 신하를 믿지 않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연燕나라 왕이 오로지 자지에게만 맡겼다.
			                             
									
                        			
                        			
                        		
	                     		
			                       	
			                       	
	                     		
		                        
                        	
		                        
		                        
		                        
		                        
                        		
                        	
		                        
		                        
		                        
		                        
                        		
                        		
                        		
                        			
                        			
		                       		
		                       		
		                       		
		                       		
		                        		
			                            	녹모수鹿毛壽가 
연燕나라 왕에게 이르기를
注+① 녹鹿은 성姓이고 모수毛壽는 명名이다. “사람들이 
요堯임금을 어질다고 말하는 것은 천하를 사양하였기 때문입니다.
 
			                             
									
                        			
                        			
                        		
	                     		
			                       	
			                       	
	                     		
		                        
                        	
		                        
		                        
		                        
		                        
                        		
                        	
		                        
		                        
		                        
		                        
                        		
                        		
                        		
                        			
                        			
		                       		
		                       		
		                       		
		                       		
		                        		
			                            	이제 왕께서 나라를 자지에게 사양하시면 이는 왕께서 요임금과 이름을 같이 할 것입니다.”라고 하니, 연燕나라 왕이 인하여 나라를 자지에게 맡겼다.
			                             
									
                        			
                        			
                        		
	                     		
			                       	
			                       	
	                     		
		                        
                        	
		                        
		                        
		                        
		                        
                        		
                        	
		                        
		                        
		                        
		                        
                        		
                        		
                        		
                        			
                        			
		                       		
		                       		
		                       		
		                       		
		                        		
			                            	혹자가 말하기를 “
우禹임금은 
익益을 천거하고 
계啓의 사람들로 관리를 삼았는데
注+② 인人은 신하와 같으니, 계啓의 신하를 익益의 관리로 삼았음을 말한다., 늙어서 
천하天下를 익에게 전하였습니다.
 
									
                        			
                        			
                        		
	                     		
			                       	
			                       	
	                     		
		                        
                        	
		                        
		                        
		                        
		                        
                        		
                        	
		                        
		                        
		                        
		                        
                        		
                        		
                        		
                        			
                        			
		                       		
		                       		
		                       		
		                       		
		                        		
			                            	그런데 계가 그의 무리들과 함께 익을 공격하여 빼앗으니, 세상에서는 우임금이 명목상으로는 익에게 천하를 전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계로 하여금 스스로 빼앗게 하였다고 하였습니다.
			                             
									
                        			
                        			
                        		
	                     		
			                       	
			                       	
	                     		
		                        
                        	
		                        
		                        
		                        
		                        
                        		
                        	
		                        
		                        
		                        
		                        
                        		
                        		
                        		
                        			
                        			
		                       		
		                       		
		                       		
		                       		
		                        		
			                            	이제 왕께서 나라를 자지에게 맡겼다고 말하였으나 관리는 
태자太子의 사람이 아닌 사람이 없으니, 이는 명목상으로는 자지에게 맡겼으나 실질적으로는 태자가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라고 하니, 왕이 인하여 
인수印綬를 거두고 
삼백석리三百石吏부터 이상은 
인수印綬를 자지에게 바치라고 하였다.
注+③ 수綬는 음이 수壽이니 조수組綬이다. 한漢나라는 진秦나라의 제도를 이어받았는데, 승여乘與와 새수璽綬는 제왕諸王 이하에게 인印은 금金, 은銀, 동銅으로 차별하고 수綬는 적赤, 자紫, 청靑, 흑黑, 황黃으로 차별하였다. 삼백석리三百石吏는 동인銅印에 흑수黑綬인데 혹 황수黃綬로 하였다. 효效는 바치는 것이니, 인印을 자지子之에게 바치는 것이다. 
									
                        			
                        			
                        		
	                     		
			                       	
			                       	
	                     		
		                        
                        	
		                        
		                        
		                        
		                        
                        		
                        	
		                        
		                        
		                        
		                        
                        		
                        		
                        		
                        			
                        			
		                       		
		                       		
		                       		
		                       		
		                        		
			                            	자지가 
남면南面하여 왕의 일을 행하고 
쾌噲는 늙어서 정사를 듣지 않아 도리어 신하가 되었다.
注+④ 쾌噲가 늙어서 스스로 쉬면서 도리어 자지子之의 신하가 되었음을 말한 것이다.